라벨이 이용실태인 게시물 표시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대중교통 이용 27% 감소

이미지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분석한 결과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이용이 27% 감소하였고, 코로나-19 확산의 주요 시점에 따라 변동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은 2020년 코로나-19 시대의 대중교통 이용실태를 분석·발표하였다. ▣ 하루평균 수도권 26.9%, 광주권 31.5%, 대구권 30.8%, 대전권 29.2% 감소 이번 빅데이터 분석은 시내버스, 광역·도시철도 이용시 교통카드를 사용한 전국 약 67억 2천만건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는 2019년 91억 8천만 건보다 26.8% 감소하였고, 2019년 수도권 이용건수 67억 9천만 건보다도 적은 이용량이다. 특히, 주말과 공휴일의 대중교통 이용건수는 작년 대비 36.1% 감소하여 주중 △23.9%보다도 감소폭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주말·공휴일) 2019년 21억 9천만 건 → 2020년 14억 건(주중) 2019년 69억 9천만 건 → 2020년 53억 2천만 건 이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출·퇴근 목적 외에는 불필요한 외출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 하루 평균 교통카드 이용건수는 전국 평균 27.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광주권은 △31.5%로 감소폭이 가장 컸고, 대구권 △30.8%, 대전권 △29.2%, 수도권 △26.9%의 순이었다. 수단별 통행량 증감률을 살펴보면 광역·도시철도 △27.5%, 시내버스 △26.5%로 광역·도시철도의 감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권이 시내버스 이용률 감소폭이 △31.8%로 가장 높았으며, 광역·도시철도 이용률 감소폭은 대전권이 △34.0%로 가장 높았다.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대전권은 광역·도시철도 감소율이 시내버스 감소율보다 큰 반면, 광역·도시철도가 있어도 시내버스의 이용률이 높은 광주권은 시내버스의 감소율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대중교통 이용량도 코로나19 확산 변곡점을 따라 세 차례 크게 변화 2020년 우리나라의 대중교통 이용추이는 코로나-19 확산의 변곡점을

2020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발표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과 함께 국내 가구와 개인의 ▲인터넷 이용환경(컴퓨터, 모바일) 및 이용률, ▲이용행태(빈도, 시간, 목적), ▲주요 서비스 활용(동영상, 메신저 등)을 조사한「2020 인터넷이용실태조사(이하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 1999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국가별 ICT 발전지수(IDI)’ 측정 지표 등에 활용 코로나19 확산·사회적 거리두기로 비대면이 일상 속에 자리 잡고 있는 환경을 고려하여, 2020년 실태조사에서는 화상회의·원격근무 활용 여부를 처음으로 조사하는 등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생활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조사 결과, 가구 인터넷 접속률(99.7%)과 국민 이용률(91.9%, 0.1%p↑)은 전년과 거의 같았으나, 개인별 이용시간이 증가(주평균 20.1시간, 2.7시간↑)하고 ‘이동 중’ 이용비율이 감소(79.1%, 20.7%p↓) 하는 등 코로나 19로 인한 외부활동 감소가 인터넷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개인별 인터넷 이용시간은 2017년(15.7시간, 1.4시간↑) 2018년(16.5시간, 0.8시간↑), 2019년(17.4시간, 0.9시간↑)으로 2019년까지 증가세가 정체되어 왔으나 2020년에 대폭 증가 인터넷 서비스 활용처의 경우, ▲10대는 온라인 교육, ▲20~30대는 화상회의·원격근무, ▲40~50대는 인터넷쇼핑·뱅킹, ▲60대 이상은 동영상·메신저 등에서 연령대별 차별화를 보이는 등 비대면 환경이 全 세대의 인터넷 활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따른 급격한 환경변화 가운데 새롭게 주목받는 인터넷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① 인터넷, 코로나 시대 생활의 동반자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들이 인터넷으로 건강·의료정보를 획득(63.6%, 17.3%p↑)하고 마스크·손세정제 등 건강 관련 제품을 구입(41.9%, 17.1%p↑)하는 사례가 늘었고, 외부활동 제한으로 식재료·음식(51

새벽배송, 배송지연 시 자체 보상기준 없고 유통기한 등 표시 미흡

이미지
1인 가구,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문화의 확산 등 소비패턴 변화에 따라 새벽배송 시장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배송지연에 대한 소비자불만이 많고 유통기한 등 상품정보의 제공이 미흡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당일 자정 전에 상품을 주문하면 다음 날 아침 6∼7시 전에 배송해주는 서비스 <조사 개요> ① 새벽배송 온라인 쇼핑몰 상품정보제공 실태 조사 (조사대상) 소비자 이용 상위 6개 업체. 마켓컬리, 오아시스마켓, 쿠팡, 헬로네이처, 현대식품관, SSG닷컴 (조사방법) 온라인 모니터링 (조사기간) 2020.11.10. ∼ 12.8. (조사품목) 채소류·샐러드, 정육, 유제품, 냉동가공식품류, 베이커리·과자·간식류 300개 상품 ② 새벽배송 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 조사 (조사대상) 최근 6개월 이내 새벽배송 이용자 1,200명(소비자 이용 상위 3개 업체) 마켓컬리, 쿠팡, SSG닷컴 각 400명 (조사방법) 온라인 설문조사 (조사기간) 2020.10.15.~10.20.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2.65%p ※ 조사대상 업체 소비자 이용률(가나다순): 마켓컬리(39.4%), 오아시스마켓(1.6%), 쿠팡(35.8%), 헬로네이처(0.2%), 현대식품관(0.8%), SSG닷컴(16.4%) KAI 광고경기 전망지수 보고서(2020.1.) ▣ 새벽배송 서비스 관련 소비자불만, ‘배송지연’이 21.5%로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 에 따르면, 2018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새벽배송 관련 소비자불만은 총 144건이었다. 불만유형은 ‘배송지연’이 21.5%(31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품질하자’ 18.1%(26건), ‘오배송’ 15.3%(22건), ‘주문 상품 누락’ 10.4%(15건) 순으로 나타났다. *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 약정 배송시한을 초

전자제품 해외직구, 품질 및 A/S 불만이 가장 많아

이미지
  해외직구를 통해 전자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관련된 소비자불만과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 은 전자제품 해외직구 관련 소비자불만을 분석하고 이용 실태를 조사했다. □ 최근 3년간 전자제품 해외직구 관련 소비자불만 지속 증가 최근 3년간(2017년~2019년) 접수된 전자제품 해외직구 관련 소비자불만은 총 5,002건이며, 2017년 1,102건, 2018년 1,716건, 2019년 2,184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국제거래 소비자포털’과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 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 201372소비자상담센터’ 접수 건 거래 유형별로는 ‘구매대행’ 관련 소비자불만이 3,281건(65.6%)으로 가장 많았고, ‘직접구매’ 853건(17.0%), ‘배송대행’ 334건(6.7%) 순으로 나타났다. 불만 유형별로는 ‘제품하자·품질 및 A/S’가 1,423건(28.4%), ‘취소·환급 지연 및 거부’가 1,395건(27.9%)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 해외직구 거래유형 (구매대행) 구매대행 사업자를 통해 해외 상품을 주문하고 배송 받는 형태 (직접구매) 소비자가 해외 쇼핑몰에서 직접 상품을 구매하고 해외 판매자로부터 직접 배송 받는 형태 (배송대행) 해외 쇼핑몰에서 구매 후 배송대행 사업자를 통해 국내로 배송 받는 형태 [소비자 설문조사] ▶ (조사대상) 최근 1년간 전자제품 해외직구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 ▶ (조사방법) 온라인 설문조사(2020. 7. 24. ~ 7. 29.),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p * 구매품목, 구매국가, 구매이유, 구매 전 확인항목은 중복응답 허용 □ 모델별 각 1대만 주문하고, ‘반품절차’와 ‘반품비용’을 꼼꼼히 확인해야 최근 1년간 전자제품을 해외직구로 구입한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매 품목은 ‘음향기기(무선이어폰, 스피커, 헤드폰 등)’가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 조사

이미지
▲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으나,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소비자원 은 소비자에게 선택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가맹점 수 상위 8개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서비스 이용경험자 1,600명의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했다. 소비자 만족도는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상품 특성, 호감도의 3개 부문으로 나누어서 평가했다. * 배달서비스의 신속성, 서비스의 일관성 등 서비스 전달과정에 대한 만족도 * 음식의 구성 및 맛, 가격 및 가성비, 고객소통 및 정보제공 등 서비스 핵심 요소에 대한 만족도 * 소비자가 서비스를 체험하면서 느낀 주관적 감정에 대한 평가로 긍정·부정감정의 정도 < 조사개요 > o 조사대상 : 프랜차이즈 치킨 배달서비스(가맹점 수 상위 8개 사업자) 이용경험자 1,600명(사업자별 200명 균등할당) * BBQ, BHC, 교촌치킨, 굽네치킨, 네네치킨, 처갓집양념치킨, 페리카나, 호식이두마리치킨(가나다순) o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19.9.5.∼9.10.) o 분석개요 : 만족도는 부문별 가중 평균 적용(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2.50%p 종합만족도는 소비자 만족도의 3개 부문인 서비스 품질 만족도, 상품 특성 만족도, 호감도의 중요도(가중치)를 반영한 평균값으로, 조사대상 8개 치킨 프랜차이즈 배달서비스의 종합만족도는 평균 3.69점이었다. 사업자별로는 페리카나 3.79점, 처갓집양념치킨 3.77점, 네네치킨 3.73점, 호식이두마리치킨 3.71점, 굽네치킨 3.69점, BBQ·BHC 3.63점, 교촌치킨 3.56점 순이었다. 2015년 대비 8개 사업자 모두 종합만족도가 상승함. 네네치킨은 2015년 6위에서 2019년 3위로 순위가 상승했고, 호식이두마리치킨은 2015년 1위에서 2019년 4위로 순위

커피전문점 6곳 이용경험자 1,031명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 조사

이미지
▲ 커피전문점 6곳 이용경험자 1,031명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 조사 커피의 소비 증가와 함께 커피전문점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나,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소비자원 은 소비자에게 선택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매출액 상위 6개 커피전문점의 서비스 이용경험자 1,031명의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했다. 소비자 만족도는 커피전문점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상품 특성, 호감도의 3개 부문으로 나누어서 평가했다. * 커피전문점 시설, 소비자 요구에 대한 대응성 등 서비스 전달과정에 대한 만족도 ** 제품, 매장 접근성, 가격 및 부가혜택 등 서비스 핵심 요소에 대한 만족도 *** 소비자가 서비스를 체험하면서 느낀 주관적 감정에 대한 평가로 긍정·부정감정의 정도 < 조사개요 > o 조사대상 : 커피전문점 서비스(6개 사업자) 이용경험자 1,031명 * 스타벅스, 엔제리너스, 이디야커피, 커피빈, 투썸플레이스, 할리스커피(가나다순) ** 매출액 및 시장점유율을 고려하여 표본 수 할당 o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19.9.4.∼9.16.) o 분석개요 : 만족도는 부문별 가중 평균 적용(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30%p 종합만족도는 소비자 만족도의 3개 부문인 서비스 품질 만족도, 상품 특성 만족도, 호감도의 중요도(가중치)를 반영한 평균값으로, 조사대상 6개 커피전문점 서비스의 종합만족도는 평균 3.88점이었다. 사업자별로는 할리스커피 3.95점, 스타벅스 3.93점, 엔제리너스 3.86점 등의 순이었다. 2017년도와 비교하면 할리스커피(+0.23점), 엔제리너스(+0.13점), 커피빈(+0.13점), 투썸플레이스(+0.12점), 스타벅스(+0.10점), 이디야커피(+0.10점) 등 6개 사업자 모두 종합만족도 점수가 상승함.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6개 커피전문점 전체 평균이 3.97점이었고, 사업자

매출액 상위 6개 오픈마켓의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 조사

이미지
▲ 오픈마켓 소비자 만족도 평균 점수 상품 구매가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해 많은 소비자가 오픈마켓을 이용하고 있으나,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소비자원 은 소비자에게 선택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매출액 상위 6개 오픈마켓 사업자의 서비스 이용경험자 1,200명의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했다. 소비자 만족도는 오픈마켓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상품 특성, 호감도의 3개 부문으로 나누어서 평가했다. * 숙련된 직원 보유, 소비자 요구에 대한 대응성 등 서비스 전달과정에 대한 만족도 ** 상품 다양성 및 우수성, 가격 및 부가혜택, 배송 정확성 및 신속성 등 서비스 핵심 요소에 대한 만족도 *** 소비자가 서비스를 체험하면서 느낀 주관적 감정에 대한 평가로 긍정·부정감정의 정도 < 조사개요 > o 조사대상 : 오픈마켓 서비스(6개 사업자) 이용경험자 1,200명(업체별 200명 균등할당) * 다수의 판매자와 소비자가 온라인상에서 자유롭게 상품을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가상의 장터 ** 11번가, G마켓, 네이버스마트스토어(이하 네이버), 옥션, 인터파크, 쿠팡(가나다순) o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2019.5.3.∼5.29.). o 분석개요 : 만족도는 부문별 가중 평균 적용(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2.83%p 종합만족도는 소비자 만족도의 3개 부문인 서비스 품질 만족도, 상품 특성 만족도, 호감도의 중요도(가중치)를 반영한 평균값으로, 조사대상 6개 오픈마켓 서비스의 종합만족도는 평균 3.65점이었다. 사업자별로는 쿠팡 3.72점, G마켓·네이버 3.66점, 11번가·옥션 3.64점, 인터파크 3.56점 순이었다.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평균 3.64점이었고, 사업자별로는 쿠팡 3.71점, G마켓 3.65점, 11번가·옥션 3.64점, 네이버 3.63점 순으로 나타났다. 상품 특성 만족도는 상품

온라인 영어강의 서비스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 조사

이미지
▲ 온라인 영어강의 소비자 만족도, ‘정보 및 콘텐츠 품질’ 높고 ‘학습관리’ 낮아 자기계발 등을 위해 수강이 편리한 온라인 영어강의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으나,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소비자원 은 소비자에게 선택비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지도가 높은 4개 사업자의 온라인 영어강의 서비스에 대한 이용경험자 1,000명의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실태를 조사했다. 소비자 만족도는 온라인 영어강의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 상품 특성, 호감도의 3개 부문으로 나누어서 평가했다. ① 숙련된 직원 보유, 소비자 요구에 대한 대응성 등 서비스 전달과정에 대한 만족도 ② 학습관리, 정보 및 콘텐츠 품질, 이용편리성 및 혜택 등 서비스 핵심 요소에 대한 만족도 ③ 소비자가 서비스를 체험하면서 느낀 주관적 감정에 대한 평가로 긍정·부정감정의 정도 < 조사개요 > o 조사대상 : 온라인 영어강의 서비스(인지도가 높은 주요 4개 사업자) 이용경험자 1,000명 * 뇌새김, 스피킹맥스, 시원스쿨, 야나두(가나다순) ** 업체별 표본수 : 뇌새김(134명), 시원스쿨(406명), 스피킹맥스(127명), 야나두(333명) o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2019.5.11.∼6.10.) o 분석개요 : 만족도는 부문별 가중 평균 적용(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4.20%p 종합만족도는 소비자 만족도의 3개 부문인 서비스 품질 만족도, 상품 특성 만족도, 호감도의 중요도(가중치)를 반영한 평균값으로, 조사대상 4개 온라인 영어강의 서비스의 종합만족도는 평균 3.61점이었다. 사업자별로는 뇌새김 3.69점, 야나두 3.67점, 시원스쿨 3.59점, 스피킹맥스 3.44점 순이었다. 2017년도와 비교하여 뇌새김(+0.44점), 야나두(+0.09점), 시원스쿨(+0.15점), 스피킹맥스(+0.05점) 등 4개 사업자 종합만족도 점수가 모두 상승함.

인터넷이용실태조사, 60세 이상 고령층 인터넷 사용 크게 늘어

이미지
▲ 성별·연령별 인터넷이용률 추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 과 함께 국내 가구 및 개인의 ▲ 인터넷 이용환경(컴퓨터, 모바일) 및 이용률 ▲인터넷 이용행태(빈도, 시간, 목적) ▲ 인터넷 주요 서비스 활용(메신저, 이메일, SNS 등)을 조사한「2018 인터넷이용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 1999년부터 매년 실시, 국제전기통신연합 (ITU)의 ‘국가별 ICT 발전지수(IDI)’ 측정 지표로 활용되는 국내 가장 권위있는 인터넷 관련 통계조사 1. 인터넷 이용환경 가구 인터넷 접속률은 99.5%(전년 동일)로 거의 대부분의 가구에서 인터넷을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은 2012년(82.3%)을 기점으로 매년 감소하여 2018년 72.4%(전년대비 2.3%p↓)로 조사되었다. 반면, 가구 스마트폰 보유율은 2012년(65.0%) 대비 2018년 94.8%(전년 대비 0.7%p↑)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스마트폰 대중화가 가구 컴퓨터 보유율의 하락 추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 인터넷이용률 전년 대비 1.2%p 상승한 91.5%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 만 3세 이상 인구 중 최근 1개월 이내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한 자의 비율 지난 10년 간 이용률은 15.0%p 증가(2008년 76.5%→ 2018년 91.5%) 했는데, 성·연령별 이용률 격차가 대폭 감소하여 남녀노소 구분 없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이용률의 경우, 남성(93.9%)의 이용률이 여성(89.1%)보다 여전히 높았으나, 남녀 간 격차는 ‘08년 10.1%p(남성: 81.6%, 여성: 71.5%)에서 2018년 4.8%p(남성: 93.9%, 여성: 89.1%)로 좁혀졌다. 연령별 이용률의 경우, 2008년 대비 50대 이상의 이용률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전체 인터넷이용률의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이며,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