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갤럭시 버즈 라이브인 게시물 표시

이어폰이 선사하는 ‘듣지 않을 자유’, 노이즈 캔슬링

이미지
1978년, 미국 정부는 어느 음향 업체에 기술 개발을 의뢰했다. 기술의 목표는 비행기 조종사와 나사(NASA)의 우주인들이 제트 엔진과 로켓 엔진 소음에도 원활한 소통을 가능케 하는 것. 공적 용도로 개발된 이 기술은 1986년 군용 헤드셋에 처음 적용된 것을 시작으로 점차 그 사용 범위를 넓혀갔다. 이 기술이 바로 사람들이 일상 속 소음을 벗어나 미디어 사운드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노이즈 캔슬링(Noise Canceling)’이다. 소리 파동의 특성을 활용한 기술,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을 착용하면 귀의 바깥 통로가 어느 정도 차단된다. 때문에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외부 소음에 대한 노출이 줄어든다. 그러나 귀 내부를 완벽히 봉쇄하지 않는 이상 약간의 소음은 피할 수 없다. 이렇게 새어 들어오는 소음을 붙잡아 거르는 과정을 이해하려면, 소리의 파동, 즉 음파가 귀 내부까지 전달되는 과정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어떤 물질의 떨림에서 발생한 음파는 매개체를 통해 퍼져 나간다. 음파가 먼 거리를 지나 사람의 귀에 도달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 매개체 덕분. ‘매질’이라고도 불리는 이 매개체의 대표적인 예시는 사람의 주변에 늘 존재하는 공기다. 일상에서 문제없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것도, 우주에서 소리가 전달되지 않는 것도 공기의 유무 차이 때문이다. 노이즈 캔슬링은 이런 음파와 매질의 특성을 활용했다. 소음을 여과하는 방법에 따라 노이즈 캔슬링의 종류도 나뉜다. 소음과 비슷한 파동을 일으켜 상쇄 효과를 발생시키는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ctive Noise Canceling, ANC)과 매질을 활용해 소음의 유입을 막는 패시브 노이즈 캔슬링(Passive Noise Canceling, PNC)이 대표적인 노이즈 캔슬링의 두 가지 방식이다. 파동과 파동이 만나 발생하는 ‘상쇄’,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ctive Noise Canceling)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말처럼, 파동은 다른 파동으로 상쇄할 수 있다. 음파는 위아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