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반도체생산인 게시물 표시

2025년 6월 산업활동동향

이미지
무더운 6월, 산업은 다시 뛰기 시작했을까? 2025년 6월의 산업지표는 우리가 경제 회복의 초입에 서 있는지, 아니면 또다른 숨 고르기 국면인지를 고민 하게 합니다.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반도체 회복세’가 실제로 어떤 수치로 나타나는지, 소매판매와 투자 흐름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하나하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소비자 입장에서 체감되는 변화가 크지 않더라도, 산업의 전반적인 기류를 이해하는 건 향후 내 삶과도 맞닿아 있기 때문 입니다. 이번 산업활동동향을 통해, 6월 한 달간 대한민국 산업의 맥박을 짚어봅니다. 6월 산업활동, 생산은 살아났지만 소비·투자는 아직 2025년 6월, 전 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2% 증가 하며 반등했습니다. 특히 반도체(6.6%)와 자동차(4.2%)가 광공업 상승을 견인했으며, 금융·보험(3.4%)과 전문기술(1.6%) 등 서비스업도 동반 성장했습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4%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소비는 의복(4.1%), 화장품(0.3%) 등에서 판매가 늘며 전체적으로 0.5% 증가 했지만, 승용차 등 내구재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부진으로 3.7% 감소 , 건설기성은 건축 증가로 6.7% 상승 했지만,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3.6% 감소해 불안감을 남겼습니다. 경기지표는 혼조세입니다. 동행지수는 소폭 하락(-0.1p), 선행지수는 상승(+0.2p)하며 미래 기대감을 반영했습니다. 전반적으로 회복의 가능성은 보이지만, 소비와 투자는 확신을 주기엔 이른 단계입니다. 향후전망 앞으로의 산업 흐름은 반도체와 자동차가 핵심 키가 될 전망 입니다. 반도체는 생산능력·수출 모두 증가하고 있고, 자동차도 내수와 해외 모두에서 수요가 살아나는 흐름입니다. 서비스업은 금융·기술 분야 중심의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숙박·교육 등 민감 업종은 회복 속도가 더딜 수 있습니다. 소비는 고물가와 금리 상황, 해외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는 여전...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