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소비트렌드인 게시물 표시

경기도 농업인을 위한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회 공동개최

이미지
경기도농업기술원과 농촌진흥청은 도내 쌀, 오이, 포도 농가 관계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회’를 14일 개최했다. 이번 발표회는 농촌진흥청의 소비자 패널 자료를 분석해 농업인과 가공업체 등에게 경영 의사결정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마련됐다. 소비자 패널자료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소비자가 가계부에 연속적으로 기장한 수도권 653가구 패널을 대상으로 수집된 887만 개의 구매건수와 온라인 빅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이다. 이날 첫 번째 강의는 ‘빅데이터로 본 농식품 소비 트렌드’ 주제의 김성용 경상대학교 교수 발표와 쌀(이진홍 연구사), 오이(강진구 연구위원), 포도(김태영 이사) 등 3개 작목분야로 나눠 전문가 발표가 진행됐다. 이후에는 이병오 강원대학교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학계, 농민단체 및 연구개발 전문가 등이 참석한 자유 토론도 이어졌다. 김성용 교수는 “1인 가구 증가 및 소비자의 간편함에 대한 욕구 증가로 가정간편식 등 간편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와 식재료 배송서비스(Meal-Kit)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도농업기술원 이진홍 연구사도 쌀 소비트렌드 발표를 통해 “최근 쌀 소비감소, 가공식품 구매 증가 추세 속에서 30~40대 연령 계층에서 쌀밥(즉석밥), 누룽지 등 간편식 소비 증대가 예상되며 농가단위 가정간편식 시장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오이와 포도 등 경기도 근교 원예작물은 소비자 선호품종이 고당도, 미니로 변화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박인태 경기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은 “농식품 소비 트렌드를 읽어 농가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영농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경기도

농촌진흥청,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 대회

이미지
요즘 사람들은 농식품을 주로 온라인에서 가정간편식이나 디저트, 맞춤형 이유식을 구매함으로써 소비하며, 새벽 배송을 통해 신선하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생활환경이 빠르게 바뀌면서 농식품 소비 형태도 그에 맞춰 달라지고 있다고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분석 결과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농식품 소비 경향의 변화를 간략히 살펴보면, (오프에서 온으로) 지난 8년간(2010∼2017) 온라인 농식품 구매액은 354% 치솟은 반면, 오프라인 구매액은 6% 증가에 그쳤다. (엄마에서 셰프로) ‘싱글족’ 증가와 맞물려 ‘건강과 맛’을 공략한 가정간편식(2017, 3조 원) 시장은 엄마의 ‘집밥’을 대신하며 성장했다. * 가정간편식: HMR로 불리며,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대체 식품을 통칭 (주식에서 간식으로) 디저트 시장은 8.9조 원(2016) 규모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커진데다, 수입 과일도 꾸준히 찾고 있다(2000년 이후 121% 증가). (당일에서 새벽으로) 새벽 배송 시장도 100억 원(2015)대에서 4,000억 원(2018)으로 급성장하며, 신선도에 대한 수요를 반영했다. (연령에서 월령으로) 20배(2013∼2017) 증가한 친환경 이유식 시장(70억 원)은 아이의 ‘월령(개월 수)별’로 맞춤 재료를 제공하고 있다. 887만 개(2010∼2017) 이상의 가계부 구매 건수와 온라인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28일 오전 9시 농촌진흥청에서 열리는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곁들여 더욱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 2010∼2017 연속 기장 패널: 수도권 653가구, 2017 단년도 분석: 지방광역시 포함 1,678 가구 또한, 도시 가구의 가계부에서 엄선한 14품목(식량작물부터 GAP까지)의 구매 동향도 눈길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쌀) 지난해 가구당 쌀 구매액(2010년 대비)은 28% 준 반면, 즉석밥(햇반 등)은 46% 상승한 까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