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반도체인 게시물 표시

삼성 450조원 투자 요약: 반도체·AI·청년 일자리까지 한눈에

이미지
삼성의 대규모 투자 발표 배경 삼성전자 는 향후 5년간 국내에 450조원을 투입하며 반도체·AI·배터리·디스플레이 등 핵심 산업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계획은 글로벌 AI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생산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지역 균형 발전과 청년 일자리 창출까지 함께 추진하려는 종합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핵심 투자 분야 한눈에 정리 다음 표는 방문자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무엇에 얼마나 투자되는가’를 한 번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핵심 정보만 정리한 것입니다. 투자 분야 핵심 내용 반도체 평택 5라인 신설, 2028년 본격 가동 AI 인프라 전남·구미 AI데이터센터 구축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생산거점 구축 추진 디스플레이 아산 8.6세대 OLED 라인 양산 예정 청년 일자리 5년간 6만명 채용·교육 프로그램 확대 지역 투자 확대와 인재 전략 삼성은 수도권 외 지역에도 대규모 AI데이터센터와 생산라인을 구축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SSAFY·희망디딤돌·C랩 등 다양한 청년 교육 및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 기반 인재 육성과 고용 창출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반도체·AI 중심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는 만큼 삼성의 450조원 투자는 국내 기술 생태계 전반에 큰 파급력을 가져올 전망입니다. 특히 2028년 이후 주요 시설이 가동되면 글로벌 공급망 영향력이 확대되고, 지역 균형 발전과 청년 고용 역시 가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삼성 450조원 투자 자세히 보기

2025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반도체 주도, 역대 최대 10월 실적

이미지
2025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발표 산업통상부 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10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달 ICT 수출은 233.3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2.2% 증가하며 9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역대 10월 기준 최대 실적이며,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ICT 산업의 경쟁력이 견조함을 보여줍니다. 수입은 129.6억 달러로 2.9% 감소해, 무역수지는 103.7억 달러의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2025년 10월 ICT 수출입 주요 지표 수출액: 233.3억 달러 (전년 대비 +12.2%) 수입액: 129.6억 달러 (전년 대비 -2.9%) 무역수지: 103.7억 달러 흑자 주요 수출 품목: 반도체, 통신장비 반도체 강세, AI 수요가 수출을 이끌다 ICT 수출의 주역은 단연 반도체였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157.4억 달러로 25.4%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3분의 2를 차지했습니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 AI 서버 및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반도체 수출은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가며 한국의 핵심 수출 동력임을 재확인했습니다. 통신장비 역시 베트남과 인도의 수요 증가로 2.5% 상승했으나, 디스플레이(-8.8%)와 휴대폰(-11.8%)은 단가 하락과 부품 수요 둔화로 감소했습니다. 중국·유럽·미국 중심의 지역별 수출 성장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4.9%), 베트남(+3.8%), 유럽연합(+29.2%), 미국(+5.8%) 등 주요 시장에서 수출이 고르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은 반도체 수출이 131.4% 급증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일본은 디스플레이와 휴대폰 수출 부진으로 4.6% 감소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반도체 중심의 글로벌 수요 회복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향후전망 향후에도 반도체 단가 상승과 AI 인프라 수요 확대로 ICT 수출 호조세...

2025년 11월 1~10일 수출입: 반도체·자동차 수출이 성장 견인

이미지
2025년 11월 초 수출입 동향 요약 관세청 이 발표한 2025년 11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잠정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수출은 15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하였고, 수입은 170억 달러로 8.2% 늘었습니다. 무역수지는 12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수출 성장세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 주력 품목의 회복세가 눈에 띄며, 중국과 미국, 유럽연합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품목별 수출입 변화와 특징 이번 기간 동안 반도체 수출이 17.7%, 승용차 16.2%, 선박 8.7% 증가하며 전체 수출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석유제품(-14.0%)과 무선통신기기(-21.1%)는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수입에서는 반도체 제조장비(59.2%), 기계류(20.1%)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에너지 수입은 원유(-20.1%), 가스(-50.3%) 등 전체적으로 28% 감소했습니다. 구분 금액(억달러) 전년동기대비 수출 158 +6.4% 수입 170 +8.2% 무역수지 -12 적자 지속 주요국가별 수출입 동향 국가별로는 중국(수출 +11.9%, 수입 +19.9%)과 미국(수출 +11.6%, 수입 +25.5%)이 모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유럽연합으로의 수출도 10.0% 증가했으며, 반면 베트남과 일본은 각각 -11.5%, -11.9% 감소했습니다. 상위 3개국(중국, 미국, 베트남)의 수출 비중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9.3%를 차지했습니다. 향후 전망 11월 중순 이후에도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글로벌 유가 하락과 원자재 수입 둔화로 무역수지 적자는 일정 부분 유지될 수 있습니다. 관세청 은 향후 정정 통계(2026년 2월 확정)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연간 흐름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기업들은 반도체와 기계류 중심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원자재 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2025년 9월 산업활동동향 요약: 생산↑ 투자↑ 소비는 숨고르기

이미지
2025년 9월 산업활동, 생산 늘고 소비는 숨고르기 국가데이터처 가 발표한 ‘2025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우리 경제는 전반적으로 생산이 늘고 소비는 소폭 둔화 된 가운데, 투자와 경기 지표가 개선세를 보이며 회복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통계는 산업 전반의 움직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자료로, 경제 체온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평가됩니다. 생산: 서비스업이 견인, 반도체가 중심 9월 전산업생산은 전월보다 1.0% 증가 했습니다. 광공업 생산이 자동차(-18.3%)와 기계장비(-6.9%) 부진으로 1.2% 줄었으나, 서비스업 생산이 1.8% 늘며 전체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특히 반도체(19.6%) 가 생산 확대를 주도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전체 생산이 6.7% 증가 했습니다. 구분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전산업생산 +1.0 +6.7 광공업 -1.2 +11.6 서비스업 +1.8 +6.2 소비: 내구재는 선전, 의복은 주춤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월보다 0.1% 감소 했습니다.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는 3.9% 증가 했으나, 의복(-5.7%) 등 준내구재와 차량연료(-0.1%) 등 비내구재 소비가 줄었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11.1% 늘어, 소비심리가 점진적으로 회복되고 있습니다. 투자: 설비·건설 모두 큰 폭 증가 기업의 투자 움직임은 활발했습니다. 9월 설비투자는 전월보다 12.7% 증가 했으며, 특히 반도체 제조용 기계와 운송장비 투자가 대폭 늘었습니다. 건설기성도 11.4% 증가 해, 5개월 만에 반등했습니다. 다만 건설수주는 전년보다 8.6% 감소해 향후 변동성은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기: 완만한 회복 흐름 지속 경기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 하며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갔습니다. 선행지수도 0.1포인트 올랐는데, 이는 수출입 가격 비...

기초과학연구원, 거울처럼 매끄러운 흑연 필름 합성 성공

이미지
거칠던 흑연, 거울처럼 변신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의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이 혁신적인 흑연 필름 생산법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기존 흑연보다 결정 크기를 10,000배 키우고, 성장 속도는 20배 이상 높인 기술 로, 흑연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크게 확장했습니다. ▲ 거울처럼 매끄러운 흑연 필름의 합성 메커니즘과 표면 이미지     결정이 크고 표면은 매끄러운 고품질 흑연 기존의 합성 흑연은 결정립이 작고 표면에 주름이 많아 성능에 한계가 있었지만, IBS 연구팀은 니켈-몰리브데넘(Ni-Mo) 합금으로 만든 다공성 기판을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 했습니다. 이 방식은 주름 없는 표면을 구현하고, 성장 속도도 초당 6.2개의 원자층으로 대폭 향상시켰습니다. 그 결과, 흑연 필름은 이론적 한계에 가까운 강도와 전도성을 갖추게 되었으며, AI 칩, 센서,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될 수 있습니다. ▲ 거울처럼 매끄러운 흑연 필름의 샘플 이미지 및 투과 전자현미경 이미지     기술적 의미와 산업 파급력 이번 기술은 단순히 새로운 합성 방식에 그치지 않고, 고성능 전자소자와 미래 에너지 저장 기술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소재 혁신입니다. 특히, 고출력 반도체, MEMS 소자, 차세대 배터리 음극재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응용될 수 있어 파급력이 매우 큽니다. 논문명:  Synthesis and Properties of Mirror-Like Large-Grain Graphite Films.   흑연 필름의 미래는 더욱 밝습니다 이번 연구는 고품질 흑연 필름을 대면적으로 맞춤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향후 센티미터를 넘어 미터 단위의 확장도 계획 중입니다. 흑연을 활용한 첨단 기술 산업의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보통신산업 9월 수출 223.6억 달러! 반도체로 11개월 연속 상승

이미지
2024년 9월,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1개월 연속 증가하며 223.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역대 최고치인 136.3억 달러를 달성하며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KOSIS통계보기 2024년 9월 ICT 수출 실적 분석 1. 반도체 수출 동향 9월 반도체 수출은 AI(인공지능) 시장 성장과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로 인해 136.3억 달러에 도달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60.7% 상승했으며, 시스템 반도체도 AI 기술 발전에 따라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출 증가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를 급격히 끌어올리고 있으며, 이는 곧 우리 일상 속 더 똑똑한 기기와 서비스의 보급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차나 AI 기반의 스마트 가전이 더 널리 보급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관련 산업의 발전도 가속화될 것입니다. 2. 휴대폰 및 컴퓨터·주변기기 휴대폰 수출은 중국과 베트남을 중심으로 신규 스마트폰 수요가 증가하면서 25.1% 상승한 17.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부문에서는 SSD와 같은 저장장치의 수출이 168.8%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104.8%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늘어난 재택근무와 원격 학습의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컴퓨터와 저장장치의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클라우드 서비스 및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라 관련 기기들의 수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주요 지역별 수출 실적 1. 중국 중국(홍콩 포함)으로의 수출은 91.8억 달러로 22.6% 증가했습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출이 성장을 이끌었으며, 중국은 우리나라 ICT 수출의 41.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AI와 5G...

삼성전자, 차량용 LPDDR4X 메모리로 퀄컴 솔루션 강화

이미지
삼성전자 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번 퀄컴 과의 협력으로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플랫폼에 탑재될 LPDDR4X 메모리에 대한 인증을 획득하며, 제품 공급을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삼성전자가 글로벌 완성차 및 부품 업체와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삼성전자는 이번 협력을 통해 차량용 메모리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혁신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퀄컴의 협력 배경 삼성전자가 퀄컴과 협력하게 된 배경에는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차량의 전장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번 협력은 퀄컴의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 플랫폼에 삼성의 LPDDR4X 메모리를 공급하는 것으로, 양사 간의 첫 번째 협력 사례입니다. 이는 삼성전자가 보유한 메모리 기술력과 퀄컴의 차량용 플랫폼 기술이 결합하여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새로운 혁신을 창출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LPDDR4X 메모리의 특징 LPDDR4X는 높은 성능과 저전력을 자랑하는 차량용 메모리로, 영하 40℃에서 영상 105℃까지의 극한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합니다. 또한, 자동차 전자부품 협회(AEC-Q100)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여 차량용으로 사용될 때 신뢰성을 확보했습니다. 이러한 성능은 미래의 스마트카와 자율주행 차량에서 더욱 중요하게 작용할 것입니다. 삼성전자의 LPDDR4X는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개발되어, 차량 내 다양한 전자 시스템에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삼성전자 차량용 메모리 LPDDR4X 제품 이미지 LPDDR4X와 IVI 시스템의 연관성 LPDDR4X 메모리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VI 시스템은 차량 내부의 엔터테인먼트와 정보 제공 기능을 결합한 시스템으로, 사용자 경험을 혁신적으로 개선합니다. 삼성의 LPDDR4X는 이러한 IVI 시스템의 ...

2023년 3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157.8억 달러, 수입 118.5억 달러

이미지
2023년 3월 정보통신산업은 수출 157.8억불, 수입 118.5억불, 무역수지 39.9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ICT 수출액(157.8억불)은 전년 동월(232.6억불) 대비 32.2% 감소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 및 반도체 업황 부진 지속으로 9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수출규모는 2022.12월(168.8억불) 이후 3개월 만에 150억불 이상으로 회복하였다. ※ ICT 수출(억불) : (2022.12)168.8 → (2023.1)131.0 → (2023.2)128.2 → (2023.3)157.8 품목별로는 반도체(△33.9%), 디스플레이(△41.4%), 휴대폰(△49.3%), 컴퓨터·주변기기(△52.5%), 통신장비(△9.2%)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40.1%), 베트남(△20.0%), 미국(△33.3%), 유럽연합(△30.2%), 일본(△10.7%) 등이 감소하였다. ICT 수입액(118.5억불)은 전년 동월(128.7억불) 대비 7.9%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베트남, 일본, 미국 등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87.3억불, △33.9%) 반도체 업황 부진에 따른 출하 감소 및 단가 하락 지속되며 시스템(36.3억불, △18.4%) 및 메모리(45.7억불, △44.3%) 감소 * 시스템 반도체 수출(억불, %) : (2022.12)42.7(9.9↑) → (2023.1)29.0(△25.0) → (2023.3)36.3(△18.4) * 메모리 반도체 수출(억불, %) : (2023.1)27.7(△57.3) → (2023.2)29.2(△53.9) → (2023.3)45.7(△44.3) 디램 단가 추이(8Gb, $) : (2022.1~4)3.41 → (2022.5~6)3.35 → (2022.7)2.88 → (2022.8~9)2.85 → (2022.10~12)2.21 → (2023.1~3)1.81 다만, 메모리 감소폭 축소, 베트남向 시스템반도체 수출(7.4억불, 20.4...

2021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이미지
중소벤처기업부 (이하 중기부)는 10월 26일(화), 2021년도 3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발표했다. ■ 총괄 : 3분기 기준 역대 최고인 288억달러(전년동기대비 13.2%↑) 2021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3.2% 증가한 288억달러로 3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2010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 * 역대 3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88(2021.3Q), (2위) 269(2017.3Q), (3위) 261(2012.3Q) 1분기와 2분기에도 분기별 수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데 이어 3분기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올해 중소기업 수출은 신기록을 이어가는 기록적인 성과를 보였다. * 역대 1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70(2021.1Q), (2위) 252(2018.1Q), (3위) 245(2012.1Q) * 역대 2분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95(2021.2Q), (2위) 272(2018.2Q), (3위) 264(2014.2Q) 월별 수출실적도 2020.11월부터 11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 수출증감률(%) : (2020.11)12.0→(2021.1)14.5→(4)26.5→(7)18.7→(8)19.8→(9)2.8 ■ 품목별:20대 품목 중 반도체(48.2%↑)·반도체제조용장비(47.7%↑)·철강판(44.6%↑)· 합성수지(44.4%↑)가 큰폭으로 성장(증가율순) ① (반도체 : 8.7억달러) 반도체 수출단가의 가파른 상승세, 중화권수주 급증 등으로 7, 8월 수출이 나란히 역대 1,2위 기록(48.2%↑) * 월별 반도체 수출액(억달러) : (2021.7월)3.0 → (8월)3.0 → (9월)2.7 ② (반도체제조용장비 : 10.9억달러) 반도체시장 호황으로 글로벌기업(대만, 미국 등)의 공격적인 공장 투자 증설에 따라 장비 수요가 급증했고, 역대 최초로 분기 수출 10억달러 돌파(47.7%↑) * 월별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출액(억달러) : (2021.7월)3.6 → (8월)3.8 → (9월...

2021년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213.4억불, 수입 113.7억불

이미지
2021년 9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지속되는 코로나19 상황에도 정보통신기술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96년 이래 26년 만에 최고의 월 수출액 달성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세계 경기 회복과 디지털 전환 확대로 주력 시장과 주력 품목에서 모두 수출 호조세 지속 * (품목) 반도체·패널 6개월, 휴대폰 3개월, 컴퓨터·주변기기 4개월 연속 두자리 증가 (국가) 중국(홍콩)·베트남·미국 6개월, 유럽연합 8개월, 일본 5개월 연속 두자리 증가 중소‧중견기업들도 정보통신기술 수출비중이 높은 품목 등을 중심으로 11개월 연속 수출액 두 자리 증가를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 * (반도체) 11개월(이중 시스템 반도체는 14개월), (컴퓨터‧주변기기) 6개월 연속 두자리 증가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기술 수출 현황 (전년 동월 대비) (중소·중견기업 49.0억불, 19.8%↑) 반도체(24.3억불, 51.1%↑), 컴퓨터·주변기기(1.9억불, 40.3%↑) 등은 증가, 전기장비(3.3억불, △7.5%)는 감소 * (15.4억불, 2.4%↑) 전기장비(1.8억불, 3.5%↑), 컴퓨터‧주변기기(1.3억불, 19.4%↑) 등은 증가, 접속부품(1.0억불, △4.5%)은 감소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목별 (반도체) 9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27.4% 증가한 122.3억불로 역대 두번째로 높은 수출액을 기록하였으며, 5개월 연속(2021.5~9월)  100억불 상회 * 반도체 역대 수출 순위(억불) : ①(2018.9)125.4, ②(2021.9)122.3, ③(2021.8)117.9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메모리 반도체(79.5억불, 28.6%↑)와 시스템 반도체 (37.5억불, 31.7%↑, 역대 최고 수출액) 동반 상승 * 반도체 수출에서 30%를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2020년 연 수출액 최초 300억불 돌파 ※ (2021년 1∼9월까지 누적액 : 282.3억불) (디스플레이) 9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5.7% 증가한 24.4...

삼성전자, 업계 최선단 14나노 EUV DDR5 D램 양산

이미지
삼성전자 가 EUV(극자외선, Extreme Ultra-Violet) 공정을 적용한 업계 최선단 14나노 D램 양산에 들어갔다. 삼성전자는 2020년 3월 업계 최초로 EUV 공정을 적용한 D램 모듈을 고객사들에게 공급한 바 있으며, 업계에서 유일하게 EUV 멀티레이어 공정을 적용해 최선단 14나노 D램을 구현하는 등 차별화된 공정 기술력을 선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회로를 보다 세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EUV 노광 기술을 적용해 D램의 성능과 수율을 향상시켜, 14나노 이하 D램 미세 공정 경쟁에서 확고한 우위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5개의 레이어에 EUV 공정이 적용된 삼성전자 14나노 D램은 업계 최고의 웨이퍼 집적도로 이전 세대 대비 생산성이 약 20% 향상됐다. 또한, 삼성전자 14나노 D램 제품의 소비전력은 이전 공정 대비 약 20% 개선됐다. 삼성전자는 이번 신규 공정을 최신 DDR5(Double Data Rate 5) D램에 가장 먼저 적용한다. DDR5는 최고 7.2Gbps의 속도로 DDR4 대비 속도가 2배 이상 빠른 차세대 D램 규격으로 최근 인공지능, 머신러닝 등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식이 고도화 되면서 데이터센터, 슈퍼컴퓨터, 기업용 서버 시장 등에서 고성능 DDR5에 대한 수요가 지속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선단의 14나노 공정과 높은 성숙도의 EUV 공정기술력을 기반으로 차별화된 성능과 안정된 수율을 구현해, DDR5 D램 대중화를 선도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삼성전자는 고용량 데이터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이번 공정으로 단일 칩 최대 용량인 24Gb D램까지 양산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램개발실장 이주영 전무는 “삼성전자는 지난 30년간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반도체 미세 공정의 한계를 극복해 왔으며, 이번에도 가장 먼저 멀티레이어에 EUV 공정을 적용해 업계 최선단의 14나노 공정을 구현했다”며, “고용량, 고성능 뿐만 아니라 높은 생산성으로 5G·AI·메타버스 등 빅데이터 시대에 필요한 ...

2차원 소재 차곡차곡 쌓아 새로운 인공 물질을 자유자재 디자인

이미지
반도체 초격자 서로 다른 원자의 주기적 배열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합성한 것이다. 이는 고성능 반도체, 레이저, 디스플레이 산업에 널리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LED(발광다이오드) 기술은 질화갈륨 등 화학물질을 수 나노미터 층으로 반복 구성한 초격자 구조를 통해 완성됐다. * 초격자(superlattice):두 종류 이상의 물질이 주기적인 층을 이루고 있는 구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각 층의 두께는 수 nm (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정도이다. 그런데 기존 초격자 구조 소재는 강한 공유 결합으로 인해 2차원 반도체에는 활용되기 어려웠다. 여러 반도체 중 두께가 거의 없는 2차원 반도체는 초소형·저전력 전자기기 구현의 핵심 소재로 꼽힌다. 하지만 이제까지 층간 약한 상호작용으로 2차원 반도체를 원자 단위에서 두 종류 이상 쌓아 제어하는 기술은 구현되지 못했다. 기초과학연구원 (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조문호 부연구단장(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서로 다른 원자층 반도체를 차곡차곡 쌓는 물질 성장법을 개발했다. 이로써 원자층 두께의 2차원 반도체 초격자 구조를 가진 신물질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따라서 새로운 양자 정보 반도체 플랫폼을 제시하며 양자컴퓨팅 원천 기술 확보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2차원 반도체 물질을 두 층의 단일 접합을 통해 만드는 기술은 알려졌다. 하지만, 층과 층 사이에 약한 공유 결합으로 인해 박막이 균일하게 쌓아지지 않아 3층 이상으로 쌓는 기술은 불가능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접합 기술을 연속으로 사용, 서로 다른 원자층 반도체가 9층까지 반복되는 반도체 초격자 구조를 처음으로 구현했다. 연구진은 금속유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2차원 반도체인 이황화몰리브덴(MoS2), 이황화텅스텐(WS2), 이셀레늄화텅스텐(WSe2) 등을 종류와 순서를 제어하여 쌓아 새로운 구조를 가진 인공 반도체 소재를 개발해냈다. * 금속유기화학기상증착법: 진공 상태에서 기판을 넣고 증기압이 높은 유기 금속 화합물의 증기들의 ...

2021년 5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77.3억불, 수입 105.1억불

이미지
2021년 5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77.3억불, 수입 105.1억불, 무역수지는 72.2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수출)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177.3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27.4% 증가하며, 2020.6월 이후 12개월 연속 증가세 * 최근 수출 추이(억불) : (2월)152.6(11.4%↑) → (3월)174.1(8.9%↑) → (4월)170.6(32.6%↑) 이는, 역대 5월 수출액 중 2위 수출 규모에 해당 ※ 5월 수출 순위(억불) : ① 185.0억불(2018), ② 177.3억불(2021) ③ 154.0억불(2017) 일평균 수출(8.5억불, 21.0일)도 전년 동월(6.5억불, 21.5일) 대비 30.5% 증가 반도체 30개월(2018.11월)만에 100억불 돌파 등 ICT 3대 주력 품목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 호조세 지속 *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중국(홍콩포함, 19.3%↑), 베트남(39.3%↑), 미국(30.5%↑), 유럽연합(34.4%↑), 일본(12.9%↑) 등 주요국 모두 증가 (수입)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05.1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17.7% 증가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목별 (전년 동월 대비) (반도체 : 101.1억불, 24.0%↑)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 등으로 메모리(65.7억불, 13.6%↑)와 시스템(30.2억불, 55.7%↑, 역대 최고 수출액) 동반 상승하며, 2018.11월(107.9억불)이후 30개월만에 100억불대 재진입 (디스플레이 : 17.8억불, 38.7%↑) 모바일 수요 확대 등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액정표시장치(LCD) 관련 부분품 수출 확대 지속 OLED(9.7억불, 64.2%↑), LCD(4.8억불, 7.1%↑), 부분품(3.3억불, 34.6%↑) 증가 (휴대폰 : 10.4억불, 43.0%↑) 완제품(4.1억불, 20.8%↑)·부분품(6.2억불, 62.9%↑) 동시 증가세가 지속되며, 7개월 연속 수출 증가...

2021년 3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74.1억불, 수입 109.3억불

이미지
2021년 3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74.1억불, 수입 109.3억불, 무역수지는 64.9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수출)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174.1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8.9% 증가하며, 2020.6월 이후 10개월 연속 증가세 유지 * 최근 수출 추이(억불) : (2020.12월)179.6(24.7%↑) → (2021.1월)162.8(21.5%↑) → (2021.2월)152.6(11.4%↑) 일평균 수출(7.3억불, 24.0일)도 전년 동월(6.7억불, 24.0일) 대비 8.9% 증가 1, 2월에 이어, 3개월 연속으로 동월 대비 수출액 중 역대 2번째로 높은 실적을 달성하며, 높은 수출 성장세를 유지    ※ 3월 수출 순위 : ① 189.4억불(2018), ② 174.1억불(2021), ③ 161.4억불(2017) 1분기 수출도 두 자릿수가 증가한 13.6% 증가율을 기록하며, 역대 1분기 중 2번째로 높은 수출 실적을 기록  ※ 1분기 수출 순위(억불) : ①523.1억불(2018), ②489.6억불(2021), ③440.1억불(2017) 중국(홍콩포함, 7.7%↑), 미국(4.1%↑), 유럽연합(25.7%↑)등 증가, 베트남(△3.8%), 일본(△1.8%)은 감소 (수입)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09.3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15.7% 증가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목별 (전년동월 대비) (반도체 : 95.7억불, 7.9%↑) 견조한 수요 등으로 메모리(61.2억불, 8.2%↑)와 시스템(29.0억불, 9.3%↑) 반도체가 동반 상승하며 9개월 연속 증가 (디스플레이 : 16.9억불, 2.9%↑) 모바일 수요 확대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관련 부분품 수출 확대 지속 OLED(8.4억불, 32.9%↑), 부분품(3.6억불, 8.7%↑) 증가, LCD(4.9억불, △8.5%) 감소 (휴대폰 : 11.0억불, 8.7%↑) 완제품(4.4억불, △9.6%)은 감소이나, 카메라 모듈 등 부...

가장 얇고 넓은 반도체, 단결정으로 만든다

이미지
보통의 결정 소재는 수많은 결정들이 합쳐진 다결정 고체다. 그런데 결정들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 결함은 소재 특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단결정 합성은 이러한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다. 그러나 결정 구조를 완벽하게 이어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그간 기술적으로 매우 어려웠다. * 단결정(single-crystal) : 전체 시료 내 원자들이 연속적·주기적으로 배열된 고체상태를 말한다. 그레인(grain)은 한 방향으로 배열된 영역을 말하는데, 전체 시료가 단 하나의 그레인이면 단결정이다. 그러나 보통의 물질은 그레인이 1012개 정도로 아주 많고 이들 간의 경계는 소재의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킨다. 기초과학연구원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이영희 단장(성균관대 교수)과 김기강 연구위원(성균관대 부교수), 최수호 박사후연구원은 김수민 숙명여대 교수, 한영규 동국대 교수와 공동으로 2차원 반도체 소재를 단결정으로 대면적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단결정 합성의 핵심 원리를 규명함으로써 장비와 기판 크기에 따라 대면적 합성이 가능해졌다. 이로써 고품질 2차원 반도체의 첨단소자 분야 응용이 기대된다.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 이하 TMD)은 얇은 2차원의 반도체이다. 한 층이 원자 3개 크기와 맞먹는 나노미터(10-9m) 두께를 갖는다. 실리콘과 유사한 전기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차세대 전자소자, 광소자, 센서, 촉매 등에 쓰임새가 높다. 충분히 큰 TMD 단결정을 만들기 위해 최근까지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뚜렷한 성과가 보고된 바 없었다. 연구진은 원자 수 개 크기의 톱니 모양 표면을 갖는 금 기판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다결정 박막 결함은 결정들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생긴다. 단결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원자 수준에서 결정 성장 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시켜야 한다. 연구진은 금 기판 위에서 TMD 단결정이 생김을 우연히 발견하고, 금 기판이 액체 상태에서 응고될 때 한 방향으...

2021년 1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63.0억불, 수입 107.4억불

이미지
2021년 1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63.0억불, 수입 107.4억불, 무역수지는 55.5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수출)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163.0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21.7% 증가하며, 2020.6월 이후 8개월 연속 증가세 유지 * 최근 수출 추이(억불) : (10월)163.9(5.9%↑) → (11월)165.6(15.8%↑) → (12월)179.8(24.9%↑) 역대 1월 수출액 중 2번째로 높은 수출 실적에 해당 * 1월 수출 순위(억불) : ①176.9(2018.1월), ②163.0(2021.1월), ③144.3(2019.1월) 일평균 수출(7.2억불, 22.5일)도 전년 동월(6.2억불, 21.5일)대비 16.3% 증가 반도체(20.5%↑), 디스플레이(32.1%↑), 휴대폰(76.3%↑) 등 주요 품목 모두 증가 중국(홍콩포함, 23.7%↑), 베트남(18.9%↑), 미국(23.9%↑), 유럽연합(10.0%↑), 일본(4.2%↑) 등 주요 지역 모두 증가 (수입)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07.4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21.7% 증가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목별 (전년동월 대비) (반도체 : 87.8억불, 20.5%↑) 수요확대 지속 등으로 메모리(53.2억불, 24.9%↑)와 시스템반도체(29.1억불, 16.0%↑)가 동반 상승하며 7개월 연속 증가 (디스플레이 : 20.7억불, 32.1%↑) 액정장치(LCD) 단가 상승, 모바일 수요 등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출 증가 OLED(12.2억불, 52.1%↑) 및 LCD(5.3억불, 10.5%↑) 동시 증가 (휴대폰 : 12.0억불, 76.3%↑) 신규 스마트폰 출시 효과 등으로 완제품 (3.8억불, 87.4%↑)·부분품(8.2억불, 71.5%↑)이 동시 증가, 3개월 연속 증가 * 주요 증가 요인 : 중국(부분품, 202.6%↑), 미국(완제품, 136.6%↑) 등 (컴퓨터·주변기기 : 9.9억불, 2.6%↑) 보조기억장치(SSD 등 7.0억불, 1....

IBS, 양자점 반도체 효율 낮추는 숨은 원인 규명

이미지
밀도범함수 이론(DFT) 계산을 이용하여 얻은 전도대의 오비탈 구조(a) 및 오제현상에 대한 도식(b). 계산을 통해 예측된 전자 오비탈을 통해 전자가 양자점 표면에 주로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공간적으로 국한된 들뜬 전자들은 충돌하기 쉬우며, 이 때문에 전자 간 충돌에 의한 인트라밴드 오제현상이 일어난다. 기존의 오제현상은 가전자대의 정공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반면, 이번에 관측된 오제현상은 전도대의 전자 그리고 전자 간 충돌이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기초과학연구원 (IBS) 조민행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장(고려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자가도핑 양자점을 시분해 분광법을 통해 연구한 결과, 양자점을 활용한 반도체의 성능을 저해하는 새로운 요인을 찾아냈다. 양자점(Quantum Dot)은 지름이 2~10nm(나노미터‧10억 분의 1m) 수준에 불과한 반도체 입자다. 그 크기에 따라 다른 주파수의 빛을 방출하는 등 독특한 전기적‧광학적 성질을 지닌다. 현재 양자점을 특성을 활용한 양자점 디스플레이(QLED)나 양자 폭포 레이저 등 다양한 기술이 응용 및 연구되고 있다. * 양자 폭포 레이저(Quantum Cascade laser) : 대간 전이가 아닌, 대내 전자 전이를 기반으로 한 양자점 레이저. 기존 레이저와 달리 원~중적외선 파장 영역(일반적으로, 4~11 μm)의 빛을 방출한다. 양자점과 같은 반도체에는 전자가 머무를 수 있는 특정 궤도(에너지 준위)들로 구성된 두 개의 밴드가 존재한다. 여기서 전자가 차 있는 아래쪽의 밴드를 ‘가전자대’, 전자가 비어있는 위쪽 밴드를 ‘전도대’, 그리고 이 둘 사이의 에너지 차이를 밴드갭(Band Gap)이라 부른다. 밴드 내의 에너지 준위들은 일종의 사다리와 같아서, 외부 에너지(빛)를 받은 전자는 사다리의 위 칸으로 이동한다. 이를 들뜬(excited) 전자라고 부르며, 전자가 사라진 빈자리를 정공(hole)이라 한다. 시간이 지나 에너지를 잃게 되면, 전자는 다시 사다리의 아래층, 즉 낮은 에너...

2020년 11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65.6억불, 수입 103.8억불

이미지
▲ 정보통신분야 수출·수입액(매년 11월 기준)  2020년 11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65.6억불, 수입 103.8억불, 무역수지는 61.8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수출)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165.6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15.8% 증가하며, 6개월 연속 증가 기록 ※ 수출 현황(억불) : (8월) 152.2(0.2%↑) → (9월) 176.2(11.9%↑) → (10월) 164.0(5.9%↑) 일평균 수출(7.2억불, 23일)도 전년 동월(6.1억불, 23.5일)대비 18.3% 증가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16.1%↑), 디스플레이(27.7%↑), 휴대폰(24.9%↑), 컴퓨터·주변기기(4.7%↑) 등 증가 주요 지역별로는 중국(홍콩포함, 8.1%↑), 베트남(35.2%↑), 미국(19.4%↑), 유럽연합(24.9%↑) 증가, 일본(△13.8%) 감소 (수입)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03.8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14.2% 증가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목별 (전년동월 대비) (반도체 : 86.7억불, 16.1%↑) 메모리(51.9억불, 7.3%↑) 및 시스템(29.8억불, 39.2%↑) 반도체 모두 호조세를 유지하며, 5개월 연속 증가 ※ 시스템반도체의 경우 ‘96년 이후 월간 최고 수출액 달성 (디스플레이 : 21.8억불, 27.7%↑) 액정표시장치(LCD) 단가 상승, 모바일 수요 확대 등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부분품 증가 (휴대폰 : 12.8억불, 24.9%↑) 완제품(4.2억불, 20.9%↑)·부분품(8.6억불, 26.9%↑)이 동시 증가하며, 4개월 만에 수출 증가 전환 ※ 주요 증가 요인 : 중국(부분품, 103%↑), 미국(완제품, 31.2%↑) 등 (컴퓨터·주변기기 : 10.4억불, 4.7%↑) 보조기억장치(SSD 등 6.9억불, 7.3%↑)를 중심으로 14개월 연속 수출 증가 ② 주요 지역별 (전년동월 대비) ▲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 (중국 : 77.2억불, 8.1%↑) 반도체(51...

SK하이닉스, 업계 최고층 ‘176단 4D 낸드’ 개발

이미지
SK하이닉스 가 업계 최고층인 176단 512Gb(기가비트) TLC(Triple Level Cell) 4D 낸드플래시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SK하이닉스는 이 제품을 솔루션화하기 위해 지난달 컨트롤러 업체에 샘플을 제공했다. SK하이닉스는 96단 낸드플래시부터 CTF(Charge Trap Flash)와 고집적 PUC(Peri Under Cell) 기술을 결합한 4D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176단 낸드는 3세대 4D 제품으로 업계 최고 수준의 웨이퍼 당 생산 칩 수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비트 생산성은 이전 세대보다 35% 이상 향상돼 차별화된 원가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 2분할 셀 영역 선택 기술을 새롭게 적용해 셀(Cell)에서의 읽기 속도는 이전 세대 보다 20% 빨라졌다. 또한 공정 수 증가 없이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도 적용해 데이터 전송 속도는 33% 개선된 1.6Gbps를 구현했다. SK하이닉스는 내년 중반, 최대 읽기 속도 약 70%, 최대 쓰기 속도 약 35%가 향상된 모바일 솔루션 제품을 시작으로 소비자용 SSD와 기업용 SSD를 순차적으로 출시하는 등 응용처별 시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낸드플래시는 층수가 높아지면서 셀 내부의 전류 감소, 층간 비틀림 및 상하 적층 정렬 불량(Stack misalignment)에 따른 셀 분포 열화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어려움을 ▲ 셀 층간 높이 감소 기술 ▲ 층별 변동 타이밍(Timing) 제어 기술 ▲ 초정밀 정렬(alignment) 보정 등 혁신적인 기술로 극복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176단 낸드를 개발했다. 또한 176단 4D 낸드 기반으로 용량을 2배 높인 1Tb(테라비트) 제품을 연속적으로 개발해 낸드플래시 사업 경쟁력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SK하이닉스 낸드개발 최정달 담당은 “낸드플래시 업계는 집적도 향상과 생산성 극대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SK하이닉스는 4D 낸드의 개척자로서 업계 최고의 ...

2020년 10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64억불, 수입 102.2억불

이미지
▲ 정보통신분야 수출·수입액(매년 10월 기준)  2020년 10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64.0억불, 수입 102.2억불, 무역수지는 61.8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수출)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164.0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6.0% 증가하며, 5개월 연속 증가 기록 ※ 수출 현황(억불) : (7월) 149.9(3.3%↑) → (8월) 152.3(0.2%↑) → (9월) 176.3(11.9%↑) 일평균 수출액(7.8억불, 21일)도 전년 동월(6.7억불, 23.0일)대비 16.0% 증가 주요 품목별로는 반도체(10.1%↑), 디스플레이(10.6%↑), 컴퓨터·주변기기(5.9%↑) 증가, 휴대폰(△11.3%) 감소 주요 지역별로는 중국(홍콩포함, 0.7%↑), 베트남(28.2%↑), 미국(8.8%↑), 유럽연합(6.5%↑) 증가, 일본(△9.9%) 감소 (수입)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02.2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9.2% 증가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미국, 유럽연합 등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목별 (반도체 : 87.5억불, 10.1%↑) 메모리(54.3억불, 9.0%↑) 및 시스템(28.2억불, 15.0%↑) 반도체 등 전반적으로 수출 증가 * 디(D)램(14.2%↑),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90.7%↑) 등 주요품목 수출 호조세 유지 (디스플레이 : 21.1억불, 10.6%↑) 신규 스마트폰 출시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부분품 증가, 액정 디스플레이(LCD)는 소폭 하락 (컴퓨터·주변기기 : 10.0억불, 5.9%↑) 보조기억장치(SSD 등 6.8억불, 11.3%↑)를 중심으로 13개월 연속 수출 증가 (휴대폰 : 11.8억불, △11.3%) 코로나19 재 확산 조짐에 따른 수요 위축 등으로 완제품(3.7억불, △16.0%)·부분품(8.1억불, △9.0%) 동시 감소 ② 주요 지역별 (중국 : 74.4억불, 0.7%↑) 반도체(51.2억불, 4.7%↑), 휴대폰(4.7억불,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