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산양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1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산양, 백두대간의 생태 회복 신호

이미지
산양, 한반도 산악지대의 살아있는 화석 기후에너지환경부 는 2025년 11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산양을 선정했습니다. 산양은 이름에 ‘양’이 들어가지만 실제로는 소과에 속하는 중형 포유류로, 회갈색 털과 원통형 뿔이 특징입니다. 과거 무분별한 밀렵과 서식지 훼손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월악산을 중심으로 한 복원사업 덕분에 이제는 강원도 고성군에서 경상북도 경주시까지 서식지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 변화는 한반도 생태계의 회복력을 보여주는 희망적인 신호입니다. 복원사업으로 다시 살아난 산양의 발자취 2007년부터 시작된 월악산 산양 복원사업은 2014년까지 총 22마리를 방사하며 기틀을 다졌고, 2024년 기준 최소 183마리가 안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했습니다. 현재 산양은 백두대간을 따라 남북으로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높은 산악 지형을 선호해 험준한 바위 지대에서도 민첩하게 생활합니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폭설과 먹이 부족 문제는 여전히 산양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구분 내용 학명 Naemorhedus caudatus 몸길이 105~130cm 체중 25~35kg 주요 서식지 강원도~경북 백두대간 위협 요인 기후변화, 밀렵, 서식지 단절 ▲ 2025년 11월 멸종위기 야생생물 산양 (출처: 국립생태원) 지속 가능한 보호와 미래 전망 산양은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허가 없이 포획하거나 훼손할 경우 최대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 벌금이 부과됩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폭설, 먹이 부족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지만, 꾸준한 보호 활동과 복원 정책이 이어진다면 산양은 한반...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