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동차 등록대수인 게시물 표시

2024년 자동차 주행거리로 읽는 삶의 변화와 도시의 움직임

이미지
2024년 자동차 주행거리, 단순 통계일까? 우리 삶을 바꾸는 신호일까? 한국교통안전공단 이 발표한 2024년 자동차 주행거리 통계를 보면, 그저 수치만 담겨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들여다보면, 그 속엔 우리의 삶과 도시의 모습이 바뀌고 있다는 징후가 숨어 있습니다. 자동차 등록대수 현황 왜 자동차 주행거리는 계속 늘어날까? 3430억 km . 2024년 우리나라 모든 차가 달린 거리입니다. 전년보다 2.3%나 더 달렸습니다. 왜 늘었을까요? 전기차가 많아지며 주행 부담이 줄었기 때문 택배, 배달, 출장 등 비대면 시대의 생활 방식이 만든 변화 지역 간 인프라 차이로 차량 이동의 중심이 도시 밖으로 이동 중 그림 하나로 보는 변화 아래 이미지는 최근 10년간 자동차 등록대수, 연간 주행거리, 평균 유가 의 흐름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등록대수는 꾸준히 늘었고, 유가는 요동쳤지만, 주행거리는 다시 증가세를 탔습니다. ▲ 2024년 자동차 등록대수 및 주행거리 통계 그래프 같은 데이터를 표 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 자동차 등록대수 (천 대) 연간 주행거리 (백만 km) 평균 유가 (원) 2015 20,548 298,323 1,405 2020 24,023 332,024 1,285 2023 25,757 335,460 1,601 2024 26,134 343,127 1,575 통계가 말하지 않는 것: 우리 사회의 변화 이제 자동차는 ‘소유’보다 ‘활용’의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는 차량 유지비 부담이 낮아, 실제로 많이 운전되는 경향 이 강합니다. 2024년엔 기타연료 차량 주행거리 25.5% 증가 라는 수치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아래 표를 보면, 연료별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명확히 볼 수 있습니다: 연료 유형 등록대수 증감률 주행거리 증감률 전기·수소 등 기타연료 +28.1% +25.5% 경유 -3.4% -2.8% ...

2018년도 자동차주행거리 통계 발표, 전년대비 2.3%증가

이미지
▲ 최근5년(2014-2018) 연도별 자동차 주행거리 한국교통안전공단은 ’2018년 자동차주행거리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자동차 주행거리는 3,271억km로 전년대비 2.3% 증가했다고 밝혔다. 자동차등록대수는 22,188천대에서 22,882천대로 3.1% 증가한 반면, 자동차 1대당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39.5km에서 39.2km으로 0.7% 하락했다. 사용연료별 주행거리는 경유자동차가 164,264백만km로 전년대비 4.7% 증가, 사상 처음으로 전체 주행거리의 절반 이상인 50.2%를 차지했다.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116,952백만km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으며, LPG차량의 경우 36,063km로 전년대비 4.9%가 감소했다. 친환경자동차로 분류되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자동차의 경우 6,211백만km로 전년대비 33.7% 증가했으나, 전체 주행거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가 유일하게 0.7% 감소하였고, 세종특별자치시가 16.7%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주민등록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전년대비 지하철 이용객이 증가하였으나 버스 이용객이 감소하였고, 승용차 일반형과 화물차에서 주행거리가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전년대비 주민등록세대수의 증가(13.0%)가 주행거리 증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 공단 권병윤 이사장은 “2018년 자동차주행거리 통계는 국가통계포털과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공단 교통안전정보관리시스템에서 일반인도 쉽게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하고 “2018년 자동차주행거리 통계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기관과 연구원 등에 배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교통안전공단 홍보실 이상현 차장(☎ 054-459-703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한국교통안전공단

2018년 6월 말 현재 자동차 등록대수 2,288만 대, 친환경차 비중 1.7% 넘어

이미지
국토교통부가 운영하고 있는 자동차관리정보시스템(VMIS)에 따르면 2018년 6월 말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2017년 말에 비해 약 1.6% 증가한 22,882,035대로 집계되어, 인구 2.3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증가세가 전반적으로 둔화추세이기는 하나, 1인 가구 증가, 소비자의 세컨드카 수요 등으로 당분간 완만하지만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여 올해 말에는 자동차 2천 3백만 대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산차는 2,084만 대(91.1%), 수입차는 204만 대(8.9%)로 수입차 점유율 역시 꾸준히 증가(2017.6월 8.0%→ 2018.6월 8.9%)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자동차로 분류되는 하이브리드, 전기, 수소자동차는 39만 대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에서 1.7%로 늘어났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정부의 친환경차(Green Car) 보급확대 정책과 국민들의 높은 관심에 따라 전기차는 36,835대를 등록하여 1년 만에 2.3배, 수소차는 358대로 2.4배, 하이브리드차는 355,871대로 1.3배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당 보유차량 증가추세에 따라 기존 차량 외에 전기차를 동시에 등록한 승용자동차의 소유자는 10,380명으로 전년 대비 약 2.7배 증가하였으며, 전기차의 중고차거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앞으로도 미세먼지 저감 및 연비에 대한 국민적 관심으로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패턴도 이에 맞춰 변화될 것이라며, 시장의 흐름과 변화에 맞는 자동차 정책이 가능하도록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국토교통부

2017년 말 자동차 등록대수 2,253만 대, 인구 2.3명당 1대꼴 보유

이미지
국토교통부는 2017년 12월 말 현재, 우리나라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2016년도보다 72만 5천 대(3.3%) 늘어난 22,528,295대로 집계 되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인구 2.3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063만 대(91.6%)이며, 수입차는 190만 대(8.4%)로, 수입차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7년도 증가폭은 가장 많이 증가한 2015년보다 약 1% 감소한 추세(2015년 4.3%→2017년 3.3%)로 자동차 내수 진작을 위한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이 종료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2017년도 연료 종류별 자동차의 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휘발유와 LPG차량은 등록 대수가 각각 1,037만 대, 210만 대로 비중은 지속해서 소폭으로 감소(휘발유: 2011년 49.7%→2017년 46.0%, LPG: '11년 13.2%→9.3%)하는 추세이고, 경유차는 등록 대수가 958만 대로, 증가세가 둔화(2011년 36.4%→2017년 42.5%)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의 “친환경차(Green Car)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친환경자동차(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의 등록대수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는 2016년 말에 등록대수가 10,855대 이었으나, 2017년 말에는 25,108대로 1년 만에 약 2.3배 증가하였고, 수소차도 2017년 말 170대로 전년 대비 약 2배 증가하였다. 이는 전체 등록차량 중 친환경차의 비중이 1.5%를 넘어서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자동차 등록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자동차 신규 등록: 0.5% 증가(2016년 대비), 국산차 0.4%, 수입차 -0.1% 2017년 자동차 신규 등록대수는 184만 5천 대로 2016년 183만 6천 대 보다 9,480대가 증가하였다. 국산차는 156만 9천 대(85.0%)이며 수입차는 26만 8...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