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생산량인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자동차산업, 수출·내수·생산 모두 상승세

이미지
2025년 8월, 자동차산업이 역대 최고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에 따르면, 2025년 8월 자동차산업은 수출, 내수, 생산 모두에서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며 2개월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차의 성장세가 두드러졌으며, 수출액과 누적 수출액 모두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수출액은 역대 최고치, 친환경차가 주도 자동차 수출액은 55.0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6% 증가하며 역대 8월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전기차 수출은 무려 78.4% 증가한 22,528대를 기록했고, 모델 중에서는 EV3와 인스터(캐스퍼 수출명)가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유럽 지역 수출은 전기차 수요에 힘입어 54%나 증가하며 전체 수출을 견인했습니다.   2025년 8월 자동차 수출 동향 전체 수출액: 55.0억 달러 (▲8.6%) 전기차 수출: 22,528대 (▲78.4%) EU 지역 수출: 7.92억 달러 (▲54.0%) 친환경차 전체 수출: 69,497대 (▲26.6%) 내수·생산도 동반 상승, 친환경차 점유율 50% 돌파 내수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8.3% 증가한 13.9만대를 기록하였으며, 이 중 친환경차는 7만대로 전체 내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전기차는 내수에서 55.7% 증가한 24,319대를 기록해 눈에 띄는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자동차 생산 역시 32.1만대로 7.1% 증가하며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8월 생산량을 달성했습니다. 향후전망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차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9월 중 전기차 누적 내수 판매량은 지난해 연간 판매량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산업은 중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외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의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전망입니다.

2020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잠정)

이미지
1. 총괄 2020년 어업생산량은 371만톤으로 전년(386만톤) 대비 3.8%(-15만톤) 감소 일반해면(연·근해)어업은 수온 상승 영향으로 난류성 어종인 멸치, 갈치, 살오징어 등의 자원량 증가로 전년 대비 2.2% 증가 천해양식어업은 전년에 비해 해양환경(긴 장마, 기상악화) 변화 등으로 생산 비중이 높은 김류, 미역류, 굴류 등의 양식 작황 부진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 원양어업은 어획 비중이 높은 가다랑어, 꽁치 등의 자원량 감소에 따른 어획 부진으로 전년 대비 13.3% 감소 내수면어업은 전염병(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활동 자제로 뱀장어, 메기, 송어류의 소비 부진 등으로 전년 대비 3.8% 감소 2020년 어업생산금액은 8조 7,582억 원으로 전년(8조 3,663억 원) 대비 4.7%(3,919억 원) 증가 연․근해어업은 어획 비중이 높은 멸치, 갈치, 참조기, 살오징어 등 어획량 증가 및 출하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 천해양식어업은 해양환경 악화, 양식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굴류, 김류, 미역류 등의 판매 가격 상승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 원양어업은 어획량 비중이 높은 다랑어류(68.2%) 중 가다랑어, 꽁치 등은 자원량 감소에 따른 조업 부진으로 전년 대비 6.7% 감소 내수면어업은 경기침체(코로나19)로 생산량이 많은 뱀장어, 메기, 송어류의 출하량 감소 및 소비 부진으로 전년 대비 8.4% 감소 2. 어업별 생산동향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3만 2천톤으로 전년(91만 2천톤) 대비 20천톤 (2.2%) 증가 연·근해 주변 해역 수온 상승 등의 영향으로 멸치, 갈치, 살오징어 등의 어획량은 증가한 반면, 고등어류, 삼치류 등은 해양환경(긴 장마, 기상악화) 등에 의해 대형선망어업 등 출어 자제 및 조업 부진으로 어획량 감소 천해양식어업 생산량은 230만9천톤으로 전년(2,410천톤) 대비 10만 1천톤(-4.2%) 감소 경기침체에 따른 경영자금 확보를 위해 중․대형어인 조피볼락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