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경기선행지수인 게시물 표시

2025년 5월 산업활동, 생산·소비·투자 모두 줄어든 진짜 이유

이미지
2025년 5월 산업활동, 왜 우리 경제가 멈춰 있는 걸까? 최근 뉴스에서 “경기 둔화”, “기업 투자 위축”이라는 말 자주 들으셨을 겁니다. 그런데 이 말들이 숫자로 나타나면 어떤 모습일까요? 통계청 이 발표한 2025년 5월 산업활동 통계를 보면 지금 우리 경제가 어떤 상태인지 조금 더 분명히 보입니다. 전산업생산지수 2025년 5월 산업활동 인포그래픽 요약 아래 이미지는 2025년 5월 산업활동 을 한눈에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기어가 경제의 각 부문을 나타내며, 대부분 하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2025년 5월 산업활동 기어 인포그래픽 요약 이미지 생산·소비·투자·경기 모두 감소하거나 정체되어 있습니다. 즉, 경제의 주요 기어들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고 있다는 뜻입니다. 2025년 5월 산업활동 생산 감소, 왜 줄었을까? 2025년 5월 산업활동에서 전체 생산은 지난달보다 1.1% 줄었습니다 . 광공업은 2.9% 감소 했고, 서비스업도 소폭 줄었습니다. 특히 의약품 생산이 10.4%나 감소 했는데, 이는 코로나 이후 급증했던 수요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생산이 줄면 기업은 제품을 덜 만들고, 그만큼 일자리나 임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산업 현장의 온도는 확실히 내려가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산업활동 소비 흐름은 어떤가요? 소비는 소매판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2025년 5월 산업활동 통계에 따르면 전체 소비는 보합 상태입니다. 의복·전자기기 판매는 늘었지만, 화장품·음식료 같은 일상 소비는 줄었습니다 . 서민 체감 경기가 여전히 좋지 않다는 뜻이죠. 우리가 실제로 지갑을 열 때도 점점 더 신중해지고 있다는 게 이 지표에 반영된 것입니다. 2025년 5월 산업활동 투자 부진, 기업은 왜 움츠러들까? 설비투자는 4.7%, 건설기성은 3.9% 각각 감소 했습니다. 기업들이 장비나 공사를 줄이고 있는 건데요, 가장 큰 이유는 ‘앞으로가 불안하다’는 심리 때문입니다. 특히...

통계청, 2023년 11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건설업, 공공행정,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5%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2.5% 증가 (광공업생산) 1차금속(-5.7%)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12.8%), 기계장비(8.0%)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3.3% 증가 * D램,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 생산 증가 * 웨이퍼가공장비, 반도체조립장비 등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기계장비(-13.8%)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42.4%), 1차금속(11.2%) 등에서 생산이 늘어 5.3% 증가 제조업 재고는 전월대비 2.4% 감소, 전년동월대비 3.1% 증가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9%로 전월대비 1.8%p 상승 (서비스업생산) 도소매(1.0%)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금융‧보험(-0.7%), 운수‧창고(-1.4%)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1% 감소 * 은행 및 저축기관, 기타 금융업 등에서 감소 * 해상 운송업, 항공 여객 운송업 등에서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도소매(-1.5%)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3.8%), 보건‧사회복지(4.2%) 등에서 생산이 늘어 1.9%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0.4%)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2.6%),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6%)에서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1.0% 증가 * 승용차, 가전제품 등에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2.6%), 승용차 등 내구재(0.3%)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7%)에서 판매가 줄어 0.3% 감소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무점포소매(6.0%),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2.8%), 백화점(8.2%), 대형마트(6.5%)에서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전문소매점(-2.9%), 면세점(-21.0%), 편의점(-7.9%), 슈퍼마켓 및 잡화점(-1.8%)에서 판매가 감소 3. 투자 (설비투자) 항공기 등 운송장비...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