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서비스업생산인 게시물 표시

2025년 5월 산업활동, 생산·소비·투자 모두 줄어든 진짜 이유

이미지
2025년 5월 산업활동, 왜 우리 경제가 멈춰 있는 걸까? 최근 뉴스에서 “경기 둔화”, “기업 투자 위축”이라는 말 자주 들으셨을 겁니다. 그런데 이 말들이 숫자로 나타나면 어떤 모습일까요? 통계청 이 발표한 2025년 5월 산업활동 통계를 보면 지금 우리 경제가 어떤 상태인지 조금 더 분명히 보입니다. 전산업생산지수 2025년 5월 산업활동 인포그래픽 요약 아래 이미지는 2025년 5월 산업활동 을 한눈에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기어가 경제의 각 부문을 나타내며, 대부분 하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2025년 5월 산업활동 기어 인포그래픽 요약 이미지 생산·소비·투자·경기 모두 감소하거나 정체되어 있습니다. 즉, 경제의 주요 기어들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않고 있다는 뜻입니다. 2025년 5월 산업활동 생산 감소, 왜 줄었을까? 2025년 5월 산업활동에서 전체 생산은 지난달보다 1.1% 줄었습니다 . 광공업은 2.9% 감소 했고, 서비스업도 소폭 줄었습니다. 특히 의약품 생산이 10.4%나 감소 했는데, 이는 코로나 이후 급증했던 수요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생산이 줄면 기업은 제품을 덜 만들고, 그만큼 일자리나 임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산업 현장의 온도는 확실히 내려가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산업활동 소비 흐름은 어떤가요? 소비는 소매판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2025년 5월 산업활동 통계에 따르면 전체 소비는 보합 상태입니다. 의복·전자기기 판매는 늘었지만, 화장품·음식료 같은 일상 소비는 줄었습니다 . 서민 체감 경기가 여전히 좋지 않다는 뜻이죠. 우리가 실제로 지갑을 열 때도 점점 더 신중해지고 있다는 게 이 지표에 반영된 것입니다. 2025년 5월 산업활동 투자 부진, 기업은 왜 움츠러들까? 설비투자는 4.7%, 건설기성은 3.9% 각각 감소 했습니다. 기업들이 장비나 공사를 줄이고 있는 건데요, 가장 큰 이유는 ‘앞으로가 불안하다’는 심리 때문입니다. 특히...

통계청, 2023년 11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1. 생산 (전산업생산) 건설업, 공공행정,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광공업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0.5%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늘어 2.5% 증가 (광공업생산) 1차금속(-5.7%)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12.8%), 기계장비(8.0%) 등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대비 3.3% 증가 * D램,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 생산 증가 * 웨이퍼가공장비, 반도체조립장비 등 생산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기계장비(-13.8%)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반도체(42.4%), 1차금속(11.2%) 등에서 생산이 늘어 5.3% 증가 제조업 재고는 전월대비 2.4% 감소, 전년동월대비 3.1% 증가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9%로 전월대비 1.8%p 상승 (서비스업생산) 도소매(1.0%)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금융‧보험(-0.7%), 운수‧창고(-1.4%)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0.1% 감소 * 은행 및 저축기관, 기타 금융업 등에서 감소 * 해상 운송업, 항공 여객 운송업 등에서 감소 전년동월대비로는 도소매(-1.5%)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3.8%), 보건‧사회복지(4.2%) 등에서 생산이 늘어 1.9% 증가 2. 소비 (소매판매)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0.4%)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2.6%),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6%)에서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1.0% 증가 * 승용차, 가전제품 등에서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2.6%), 승용차 등 내구재(0.3%)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7%)에서 판매가 줄어 0.3% 감소 (소매업태별 판매) 전년동월대비 무점포소매(6.0%),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2.8%), 백화점(8.2%), 대형마트(6.5%)에서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전문소매점(-2.9%), 면세점(-21.0%), 편의점(-7.9%), 슈퍼마켓 및 잡화점(-1.8%)에서 판매가 감소 3. 투자 (설비투자) 항공기 등 운송장비...

2021년 2/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이미지
1.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1년 2/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은 전년 동 분기 대비 16개 시·도에서 모두 증가했다. 서울(8.0%), 부산(6.0%), 충남(5.7%), 제주(5.5%) 등은 금융·보험, 운수‧창고, 도소매 등에서 호조를 보여 증가 (서울) 금융‧보험(11.8%), 운수‧창고(25.1%), 도소매(6.2%) 등에서 증가 (부산)운수‧창고(12.0%), 도소매(5.9%), 금융‧보험(6.2%) 등에서 증가 (충남)운수‧창고(13.4%), 전문‧과학‧기술(17.9%), 수도‧하수‧폐기물처리(22.0%) 등에서 증가 (제주)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40.8%), 도소매(7.5%), 숙박‧음식점(10.3%) 등에서 증가 2. 시도 소매판매 2021년 2/4분기 시·도 소매판매는 전년 동 분기대비 3개 시·도에서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12개 지역에서는 판매가 감소했다. 제주(15.7%)는 면세점, 서울(6.4%), 부산(4.8%)은 백화점, 면세점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울산(-5.8%), 전북(-5.1%), 대전(-4.3%), 광주(-4.2%), 인천(-4.0%) 등은 슈퍼·잡화·편의점, 승용차·연료소매점, 전문소매점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울산) 슈퍼·잡화·편의점(-14.6%), 승용차·연료소매점(-4.9%), 전문소매점(-3.5%) 등에서 판매가 감소 (전북) 전문소매점(-5.8%), 승용차·연료소매점(-5.3%), 슈퍼·잡화·편의점(-6.6%) 등에서 판매가 감소 (대전) 슈퍼·잡화·편의점(-13.4%), 승용차·연료소매점(-6.1%), 전문소매점(-2.7%) 등에서 판매가 감소 (광주) 승용차·연료소매점(-8.1%), 슈퍼·잡화·편의점(-13.3%) 등에서 판매가 감소 (인천) 슈퍼·잡화·편의점(-10.5%), 전문소매점(-4.8%) 등에서 판매가 감소 2021년 2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hwp 출처:  통계청

2020년 4/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이미지
1.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0년 4/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서울은 증가하였으나 15개 시․도에서는 감소 서울(0.9%)은 금융·보험(23.8%), 부동산(7.7%) 등에서 호조를 보여 증가  인천(-11.5%), 제주(-9.4%), 강원(-5.1%) 등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도소매 등에서 부진하여 감소 (인천) 운수·창고(-37.1%), 숙박·음식점(-26.5%), 교육(-7.4%), 예술·스포츠·여가(-33.6%), 협회·수리·개인(-12.8%) 등에서 감소 (제주)도소매(-16.7%), 숙박·음식점(-16.3%), 운수·창고(-21.3%), 예술·스포츠·여가(-38.0%), 교육(-5.5%) 등에서 감소 (강원)숙박·음식점(-27.2%), 예술·스포츠·여가(-33.9%), 운수·창고(-11.9%), 교육(-4.5%), 도소매(-3.0%) 등에서 감소 2. 시도 소매판매 2020년 4/4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2개  시·도에서 증가하였으나, 13개는 감소, 1개 보합 경기(0.6%), 경남(0.5%)은  승용차·연료소매점, 대형마트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경기) 승용차·연료소매점(7.0%), 대형마트(5.5%)에서 증가 (경남) 승용차·연료소매점(10.9%), 대형마트(0.2%)에서 증가  제주(-32.7%), 서울(-11.7%), 인천(-10.2%), 부산(-7.6%) 등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백화점, 슈퍼·잡화·편의점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제주) 면세점(-73.4%), 전문소매점(-24.6%)에서 주로 감소 (서울) 전문소매점(-14.3%), 면세점(-26.6%), 백화점(-8.4%)에서 주로 감소 (인천) 면세점(-95.8%), 슈퍼·잡화·편의점(-3.8%), 전문소매점(-1.7%)에서 주로 감소 (부산) 전문소매점(-10.9%), 면세점(-75.7%), 백화점(-6.4%)에서 주로 감소 자세히보기 출처:  통계청

2020년 3/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이미지
1.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0년 3/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서울은 증가하였으나, 15개 시․도에서는 감소 인천(-11.6%), 제주(-8.7%), 강원(-5.6%) 등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예술·스포츠·여가, 도소매 등에서 부진하여 감소 (인천) 운수‧창고(-39.3%), 숙박·음식점(-20.5%), 교육(-7.0%), 도소매(-4.2%), 예술·스포츠·여가(-33.8%) 등에서 감소 (제주) 도소매(-14.8%), 운수‧창고(-21.5%), 예술‧스포츠‧여가(-42.3%), 숙박·음식점(-13.8%), 교육(-6.7%) 등에서 감소 (강원) 예술·스포츠·여가(-45.7%), 숙박·음식점(-19.5%), 운수·창고(-12.6%), 교육(-3.4%), 도소매(-1.8%) 등에서 감소 서울(2.2%)은 금융·보험(27.6%), 부동산(16.2%)에서 호조를 보여 증가 2. 시·도 소매판매 2020년 3/4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8개 시·도에서 증가하였으나, 8개 지역에서는 감소 전남(3.4%), 충남(1.7%), 경남(1.3%) 등은 승용차·연료소매점, 슈퍼·잡화·편의점 등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제주(-30.4%), 인천(-9.4%), 서울(-7.8%), 부산(-2.5%), 광주(-1.7%) 등은 백화점,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제주) 면세점(-79.4%), 전문소매점(-16.8%)에서 주로 감소 (인천) 면세점(-89.5%), 전문소매점(-2.8%)에서 주로 감소 (서울) 전문소매점(-13.6%), 면세점(-17.3%), 백화점(-4.8%)에서 주로 감소 (부산) 면세점(-72.7%), 전문소매점(-5.9%)에서 주로 감소 (광주) 전문소매점(-5.4%), 백화점(-12.8%)에서 주로 감소 첨부파일 출처:  통계청

통계청, 2020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이미지
  (광공업생산) 전국은 자동차, 전자부품(반도체제외)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5.1% 감소 경기(3.2%)는 반도체, 기타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대구(-25.1%), 서울(-20.0%), 대전(-15.8%)은 자동차, 의복, 전자부품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운수·창고, 숙박·음식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3.4% 감소 모든 지역에서 감소한 가운데, 제주(-12.9%), 인천(-11.6%), 부산(-5.6%)은 숙박·음식, 운수·창고 등의 생산이 줄어 전국평균보다 더 크게 감소 (소매판매) 전국은 승용차·연료소매점, 무점포 소매, 슈퍼마켓·잡화점 등의 판매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1.9% 증가 제주(-28.1%), 서울(-8.3%), 인천(-5.2%)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한 반면, 전남(10.2%), 충남(8.7%), 광주(8.0%) 등은 승용차·연료소매점, 슈퍼·잡화·편의점 등의 판매가 늘어 증가 (건설수주) 전국은 주택, 공장‧창고, 발전‧통신 등의 수주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16.8% 증가 충남(-51.9%), 강원(-38.2%), 전남(-36.4%)은 주택, 기타토목, 도로·교량 등의 수주가 줄어 감소한 반면, 울산(162.4%), 경북(143.5%), 서울(80.7%)은 주택, 기계설치 등의 수주가 늘면서 크게 증가 (수출) 전국은 승용차, 기타석유제품, 차량부품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분기대비 20.3% 감소 모든 지역에서 감소한 가운데, 울산(-39.9%), 대구(-36.2%), 전남(-31.2%)은 기타 석유제품, 승용차, 기타일반기계류 등이 부진하여 전국평균보다 더 크게 감소 (고용률) 전국 고용률은 60.0%로, 20대, 50대 등의 고용률이 내려 전년동분기대비 -1.3%p 하락 대전(1.0%p), 전남(0.7%p), 충북(0.4%p) 등의 고용률은 상승한 반면, 대구(-2.7%p), 제주(-2.6%p), 경기(-1.9%p) 등의 고용률은 하락 (소비자물가) 전국은...

2019년 1분기 지역경제동향, 고용률은 59.6% 실업률 4.5%

이미지
▲ 2019년 1분기 시도별 실업률(%) 및 전년동분기대비 증감(%p) 전국 광공업생산은 기계장비, 전자부품, 화학제품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2.1% 감소 대구(6.8%), 울산(4.5%), 충북(4.0%) 등은 전기장비, 자동차, 전자부품 등의 호조로 증가한 반면, 인천(-10.3%), 충남(-8.4%), 서울·전북(-7.6%) 등은 의약품, 기계장비, 화학제품 등의 부진으로 감소 전국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기대비 0.9% 증가 울산(-1.8%), 강원(-0.8%), 전북(0.1%)은 교육, 숙박·음식점, 협회·수리·개인 등의 부진으로 감소 또는 낮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제주(3.9%), 전남(2.0%), 경기(1.9%)는 정보통신, 보건·복지 등의 호조로 비교적 높은 증가 전국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대비 1.7% 증가 부산·울산·경북(-2.6%), 경남(-2.0%) 등은 승용차·연료소매점, 전문소매점 등의 부진으로 감소하였으나, 제주(10.2%), 서울(2.9%), 인천(0.6%) 등은 면세점 등이 호조를 보여 증가 전국 건설수주는 전년동기대비 9.4% 감소 인천(206.0%), 대전(173.3%), 광주(115.0%) 등은 주택의 전반적인 호조에 따라 증가한 반면, 강원(-88.4%), 세종(-78.8%), 부산(-61.2%) 등은 발전·송전, 주택, 도로·교량 등의 수주가 줄면서 감소 전국 수출은 반도체, 선박, 액정디바이스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8.5% 감소한 1,327억 달러로 나타났음 세종(30.0%), 강원(7.5%), 울산(1.9%)은 자동차부품, 시멘트, 자동차 등의 호조로 증가하였으나, 제주(-19.5%), 충남(-16.1%), 전북(-15.5%) 등은 반도체부품, 반도체, 화학제품 등의 부진으로 감소 전국 수입은 반도체 제조장비, 원유, 석유정제품, 가스 등의 감소에 따라 전년동기대비 6.8% 감소한 1,234억 달러로 나타났음 세종(8.0%), 경북(3.0%), 전남(1.7%) 등은 ...

2017년 1/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이미지
(시도 서비스업생산) 2017년 1/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16개 시·도 모두 증가 인천(3.6%), 제주(3.2%), 충남(2.9%) 등은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부동산·임대 등에서 호조를 보여 증가율이 높은 반면, 울산(0.6%), 전남(1.3%), 전북(1.5%) 등은 전문·과학·기술, 숙박·음식점, 운수 등에서 부진하여 증가율이 낮음. (시도 소매판매) 2017년 1/4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제주, 인천, 충남 등 9개 시·도 증가 제주(5.7%), 인천(3.1%), 충남(2.7%) 등은 대형마트, 슈퍼마켓 및 편의점 등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한 반면, 울산(-1.9%), 전남(-1.0%) 등은 백화점, 전문소매점 등에서 판매가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감소 2017년 1/4분기 서울 서비스업생산은 숙박․음식점, 운수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보건․사회복지, 금융․보험, 부동산․임대 등에서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2.7% 증가 2017년 1/4분기 서울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4.2%), 백화점(-6.9%)에서 감소하였으나, 대형마트(18.8%), 슈퍼마켓․편의점(1.7%) 등에서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0.6% 증가 2017년 1/4분기 부산 서비스업생산은 숙박․음식점, 전문․과학․기술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부동산․임대 등에서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2.1% 증가 2017년 1/4분기 부산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2.0%), 백화점(-1.7%)에서 감소하였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3.5%), 슈퍼마켓․편의점(5.6%) 등에서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1.2% 증가 2017년 1/4분기 대구 서비스업생산은 숙박․음식점, 교육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보건․사회복지, 금융․보험, 도소매 등에서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2.4% 증가 2017년 1/4분기 대구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1.7%), 대형마트(-4.5%)에서 감소하였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3.7%), 백화점(8.1%), 슈퍼마켓·편의점(4...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