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계층이동인 게시물 표시

2023년 소득이동통계: 계층 이동률 34.1%, 청년층이 가장 활발

이미지
소득이동통계란 무엇인가 국가데이터처 가 발표한 「2023년 소득이동통계」는 15세 이상 국민의 소득 변화를 추적해 계층 이동 현황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국세청의 과세자료와 등록센서스를 결합한 약 1,100만 명 규모의 표본을 토대로, 개인의 근로·사업소득 증감, 소득계층 간 상향 또는 하향 이동률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한 국가 통계입니다. 2023년 소득이동성의 주요 결과 2023년 전체 소득이동성은 34.1% 로, 소득 분위 간 이동이 있었던 사람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그중 상향 이동한 비율은 17.3% , 하향 이동한 비율은 16.8% 로 상향 이동이 다소 많았습니다. 소득이 상승한 사람은 전체의 64.0%였고, 하락한 사람은 33.9%로 집계되었습니다. 청년층의 이동성이 가장 높았으며, 노년층으로 갈수록 소득이 고정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구분 전체 남자 여자 청년층 중장년층 노년층 소득이동성 34.1% 33.3% 35.2% 40.4% 31.5% 25.0% 상향 이동 17.3% 16.6% 18.1% 23.0% 14.7% 9.9% 하향 이동 16.8% 16.6% 17.1% 17.4% 16.8% 15.1% 계층 이동의 의미와 향후 변화 전망 1분위(하위 20%)의 소득 탈출률은 29.9% , 5분위(상위 20%) 유지율은 85.9% 로 전년보다 소폭 하락했습니다. 이는 경기 둔화와 고용 불안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앞으로 디지털 산업 성장과 맞춤형 복지정책이 강화되면, 청년층의 상향 이동성이 다시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국가데이터처 는 향후에도 소득 분포와 이동 경향을 지속적으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2023년 소득이동통계 자세히 보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