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동물병원인 게시물 표시

서울시 광견병 예방 총정리: 접종 지원·미끼약 살포 안내

이미지
가을철 광견병, 이렇게 대비하세요 서울시 는 가을 야외활동 증가에 맞춰 반려동물 접종 지원과 야생동물 미끼예방약 살포를 시행합니다. 광견병은 인수공통 전염병이지만, 제때 접종하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접종 지원 핵심 10.16~10.31, 3개월령 이상 개·고양이 대상. 지정 동물병원에서 시술료 1만원만 부담하면 접종 가능합니다. 반려견은 동물등록 필수, 고양이는 등록 없이 접종 가능하며 병원별 백신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 대상 기간 비용 유의사항 반려견 10.16~10.31 시술료 1만원 동물등록 필수, 지정 병원 반려묘 10.16~10.31 시술료 1만원 등록 불필요, 지정 병원 ▲ 반려동물 광견병 예방접종 포스터 야생동물 미끼예방약 살포 10.13~10.27, 외곽 산·하천·둘레길 등 145km에 약 4만 개 살포. 2~3cm 네모 형태로 동물이 섭취 시 면역 형성됩니다. 발견하셔도 만지지 마시고, 반려동물은 접촉하지 않게 해주세요. ▲ 야생동물 광견병 미끼예방약 살포 현장 경고 안내 향후전망 서울시는 봄·가을 정기 사업으로 접종률과 등록률을 높이고, 서식지 모니터링을 강화해 광견병 무발생을 이어가겠습니다. 시민 여러분께서는 기간 내 접종과 현장 수칙 준수를 부탁드립니다.

반려견, 3살 이하 소화기 질환, 4살 이상 피부 질환 주의

이미지
▲ 반려견이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주요 원인 20위권 분포 농촌진흥청은 동물병원 진료 기록(전자차트)을 바탕으로 반려견의 나이와 품종에 따른 내원 이유를 분석해 발표했습니다. 예방 접종 외에 진단 결과를 보면 피부염·습진(6.4%)으로 찾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외이염 (6.3%), 설사(5.2%), 구토(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 외이염: 반려견에서 흔히 일어나는 귓병으로 외이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임(출처: Merck and the Merck Veterinary Manual). 반려견 진료 모습나이별로 보면 3살 이하는 설사와 구토 발생 비율이 높아 파보 바이러스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을 비롯한 소화기 질환의 예방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피부염·습진, 외이염 발생 비율이 높은 4살 이상은 피부 질환 발병 여부를 세심하게 관찰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7살 이상은 심장질환, 신부전, 유선종양,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등 진행성·퇴행성 질환 발생이 크게 늘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진단 결과를 품종별로 보면 몰티즈와 푸들은 외이염, 시츄와 요크셔테리어는 피부염과 습진이 자주 발생했습니다. 특히, 시츄 품종은 다른 반려견 품종에 비해 안구 질환이 많았습니다. * 속눈썹이 안으로 말려서 각막을 자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됨(출처: Christmas, R.E., 1992.). 이번 조사는 국내 동물병원(11곳)의 반려견 진료 기록 1만 5,531건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조사 대상 반려견의 평균 나이는 4.8살이었으며, 1살~3살이 전체의 53%였습니다. 10살 이상도 17.3%였으며, 가장 나이가 많은 반려견은 20살이었습니다. 많이 내원한 품종으로는 몰티즈(25.2%), 푸들(15.5%), 포메라니안(8.8%), 시츄(7.4%), 믹스견(7.2%), 요크셔테리어(6.8%), 치와와(4%) 순이었고, 믹스견을 제외한 6개 품종의 반려견이 전체의 67.7%를 차지했습...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