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망률인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인구동향, 출생 증가·사망 감소로 인구감소폭 완화

이미지
2025년 8월, 인구 감소세 완화의 신호 2025년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구조에 긍정적인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국가데이터처 가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출생아 수는 2만 86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했습니다. 사망자는 2만 8,971명으로 9.8% 감소하며, 자연감소 인구 규모는 –8,105명으로 완화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혼인은 늘고, 이혼은 줄어들며 전반적인 사회 회복세가 감지됩니다. 구분 2024년 8월 2025년 8월 증감률(%) 출생아 수 20,103명 20,867명 +3.8% 사망자 수 32,121명 28,971명 -9.8% 혼인 건수 17,527건 19,449건 +11.0% 이혼 건수 7,616건 7,196건 -5.5% 자연증가(명) -12,018 -8,105 감소폭 완화 출생률 회복과 혼인 증가의 의미 출생아 수가 20개월 만에 꾸준히 상승세를 보인 것은 저출산 완화의 신호로 평가됩니다. 특히 서울과 경기 지역의 출생 증가율이 각각 9.3%, 7.6%로 높았으며, 첫째아 비중이 62.9%로 2%p 증가했습니다. 이는 결혼과 첫 출산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혼인 건수 또한 전년 대비 11% 증가해,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 2025년 8월 인구동향: 출생․사망 (출처: 국가데이터처) 사망자 감소와 사회 회복세 올해 여름 폭염과 감염병 영향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수는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2025년 8월 사망자 수는 2만 8,971명으로, 2024년 대비 약 3,150명 줄었습니다. 특히 고령층 사망률이 안정세를 보이며, 의료 접근성과 예방의료 확대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편, 이혼율은 1.7로 낮아져 가족 관계 유지율이 개선된 모습입니다. ▲ 2025년 8월 인구동향: 혼인․이혼 (출처: 국가데이터처) 향후전망 이번 인구동향은 인구 감소세가 다소 완화되는 ...

A형간염 고위험군 무료 예방접종 실시

이미지
▲ A형간염 고위험군 예방접종 홍보 포스터 질병관리본부 는 2020년 1월 13일부터 20∼30대(1980~1999년생) A형간염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무료 예방접종을 2월 1일부터는 40대(1970∼79년생)까지 확대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만성 B형간염 및 C형간염 환자, 간경변 환자 등 A형간염 감염 시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률이 높은 만성 간질환자 등 20-30대(1980∼1999년생)는 낮은 항체보유율을 고려하여 항체검사 없이 바로 예방접종을 실시하였으나, 40대(1970∼1979년생)는 항체검사 후 항체가 없을 경우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 예방접종대상 만성 간질환자 범위 > B18 만성바이러스성 간염(Chronic viral hepatitis) K70.3 알콜성 간경변증(Alcoholic cirrhosis) K73.8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만성 간염(Other chronic hepatitis, NEC) K73.9 상세불명의 만성 간염(Chronic hepatitis, unspecified) K74 간의 섬유증 및 경변증(Fibrosis and cirrhosis of liver) K75.4 자가면역성 간염(Autoimmune hepatitis) K83.0 담관염(Cholangitis): 원발성 담관염과 경화성 담관염 두 상병 진단기준 모두 충족 (Primary cholangitis and sclerosing cholangitis) M35.1 기타중복증후군(Other overlap syndrome) E83.0 윌슨병(Wilson’s disease) I82.0 버드-키아리 증후군(Budd-Chiari syndrome) 질병관리본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대상 질환으로 진료 받은 이력이 있는 사람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아 40대 접종 대상자에게도 개인별 알림 문자를 발송할 예정이다. * 관련 근거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6조의2(정보 제공 요청 등) 안내받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