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노랑부리백로인 게시물 표시

새들의 낙원, 서천 노루섬의 비밀과 생태 보존 이야기

이미지
사람은 떠나고 새들이 머무는 섬, 노루섬 해양수산부 는 2025년 10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에 위치한 준보전무인도서 노루섬(獐島) 을 선정했습니다. 노루섬은 높이 약 20m, 길이 약 90m, 면적 3,161㎡의 작은 섬으로, 서천 육지와는 약 5.5km 떨어져 있습니다. 과거 1970년대까지 주민이 거주했으나 현재는 건물 터만 남아 있으며, 지금은 새들이 주인으로 살아가는 생태의 보고로 자리 잡았습니다. 노루섬의 생태적 가치와 특징 노루섬은 암석지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벌넓적꽃등에, 담황줄말미잘, 갈고둥 등 다양한 생물이 공존합니다. 특히, 멸종위기 1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저어새 와 노랑부리백로 가 번식하는 새들의 낙원으로 유명합니다.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생태적 가치를 인정해 2021년 ‘이용가능무인도서’에서 ‘준보전무인도서’로 관리유형을 변경했습니다. 항목 내용 소재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712-3 면적 3,161㎡ 토지 소유 국유지 (기획재정부 소유) 관리 유형 준보전무인도서 주요 서식 생물 저어새, 노랑부리백로, 매, 검은머리물떼새 지정일 2021년 12월 24일 향후 전망과 보존 방향 현재 노루섬은 출입이 제한된 보호 구역으로, 연구와 관찰 목적으로만 일부 접근이 가능합니다. 해양수산부는 노루섬을 포함한 무인도서의 생태보존과 서식 환경 개선을 지속 추진하며, 향후에는 생태 탐조 프로그램과 디지털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생물 다양성 연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노루섬은 인간이 떠난 자리에 자연이 되살아난 아름다운 예로, 우리 모두가 지켜야 할 생태유산입니다. ▲ 2025년 10월 무인도서 포스터 (출처: 해양수산부)

멸종위기Ⅰ급 노랑부리백로 세종보 인근 최초 발견

이미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 은 지난 6월 12일 세종보 인근(세종시 금남면) 농경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의 먹이활동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황새목 백로과에 속한 노랑부리백로는 우리나라 서해안 연안의 갯벌이나 무인도에서 번식하는 종으로 낙동강 유역, 속초 등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으나 서해 방향 내륙 지역인 세종보 인근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발견된 노랑부리백로는 중국 등지에서 월동을 마치고 국내 다른 서식처나 러시아로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크기는 약 65cm로 1년 이상 성장한 개체이며, 현재까지 단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노랑부리백로는 갯벌 매립, 서식지 파괴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국제적인 수준의 보호 및 보전이 필요한 종이다. 세계적으로 약 3,000마리가 남아있으며 동남아, 일본 남부, 중국 남동부 등에서 월동하다가 여름에 번식을 위해 한반도나 러시아로 이동하는 여름철새다. 국내에서는 서해안 섬 지역, 연안 갯벌 등에서 종종 발견된다. * 여름철새: 봄부터 초여름 무렵에 월동지에서 번식지로 도래하여 산란·번식 등을 마치고 다시 온난한 월동지로 가는 철새 노랑부리백로의 몸길이는 약 65㎝ 내외로 온몸이 흰색이고 부리와 발은 노란색, 다리는 검은색을 띤다. 번식기에 발달하는 머리의 긴 장식깃들이 특징이다. 해안의 만, 간석지, 갯벌, 해안 습지 등지에 서식하며, 물고기나 갑각류 등을 잡아먹는다. ※ 노랑부리백로는 번식기에 머리에 장식깃(또는 번식깃)이 발달되며, 암컷이나 수컷 모두 장식깃이 발달하므로 장식깃으로 암수를 구별하기는 어려움 노랑부리백로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세계적색목록(Red list)에 등재된 취약(Vulnerable, VU) 종이며, 한국 국가생물적색목록에도 위기(Endangered, EN) 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8년부터 4대강 16개 보 구간을 대상으로 조류를 포함한 육상생물상(양서류, 파충류, 조류,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