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동차정책인 게시물 표시

현대·기아·BMW 등 26만 대 리콜… 전기차 화재 위험 포함

이미지
전기차 포함, 현대·기아 등 26만여 대 리콜 실시 국토교통부 는 2025년 10월 30일, 현대자동차·기아·BMW·스텔란티스코리아 등 4개사가 제작·판매한 총 57개 차종, 260,184대의 차량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리콜은 차량 화재나 시동 꺼짐, 주행 중 동력 상실 등 안전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들이 확인되면서 진행되는 조치입니다. 현대·기아, 전기차 BMS 결함으로 화재 가능성 현대차의 ‘포터Ⅱ Electric’ 85,355대와 기아의 ‘봉고Ⅲ EV’ 54,532대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소프트웨어 설계 미흡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두 회사는 10월 30일부터 순차적으로 무상 수리를 시행합니다. 또한 현대차 ‘투싼’, 기아 ‘셀토스’ 및 ‘스포티지’ 등 일부 내연기관 모델에서도 연료필터 설계 오류로 시동 꺼짐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이미 10월 29일부터 리콜이 진행 중입니다. 제조사 주요 차종 결함 원인 대상 대수 현대자동차 포터Ⅱ Electric, 투싼 등 BMS 소프트웨어 설계 미흡, 연료필터 오류 101,559대 기아 봉고Ⅲ EV, 셀토스, 스포티지 BMS 설계 미흡, 연료필터 오류 84,212대 BMW 520d 등 50개 차종 시동모터 수분 유입 71,010대 스텔란티스 짚그랜드체로키 엔진 감지부품 제조 불량 3,403대 자동차리콜센터 리콜 확인 및 향후 조치 차량 소유자는 자동차리콜센터( www.car.go.kr )에서 차량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하면 본인의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 자비로 수리한 경우, 해당 제작사에 수리비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향후 국토교통부는 제작 결함 관리 강화 및 리콜 정보 투명 공개를 통해 소비자 안전 확보에 더욱 힘쓸 계획입니다.

자동차 안전·친환경 3대 제도 개정…페달오조작방지부터 전기차 배터리까지

이미지
국토교통부, 자동차 안전·친환경 기준 3대 제도 개정 추진 국토교통부 는 국민 안전과 친환경차 활성화를 위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2025.10.24.~12.23.) 했습니다. 이번 개정은 급발진 사고를 막는 ‘페달오조작방지장치’ 의무화, 전기차 배터리의 ‘잔존수명 표시장치’ 의무화, 그리고 전기·수소 트랙터 길이 기준 완화 등 총 세 가지 주요 제도 개선이 핵심입니다. 페달오조작방지장치 의무화 2029년부터 신형 승용차에는, 2030년부터는 3.5톤 이하 승합·화물·특수차에도 ‘페달오조작방지장치’ 장착이 의무화됩니다. 운전자가 실수로 급가속 페달을 밟을 때 차량이 전·후방 1~1.5m 범위의 장애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출력을 제한하여 사고를 방지합니다. 이는 2025년 발효되는 국제기준(UN R175)과 동일한 수준으로, 주차장 급발진이나 골목길 충돌 사고를 크게 줄일 전망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잔존수명 표시장치 의무화 전기차 사용자의 가장 큰 불안 요소 중 하나가 배터리 성능 저하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배터리의 잔존수명(State of Health)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배터리 잔존수명 표시장치’ 설치를 의무화합니다. 이를 통해 중고 전기차 거래의 투명성이 높아지고, 재사용·재제조 등 2차 배터리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기·수소 트랙터 길이 기준 완화 기존 경유 트랙터는 16.7m로 제한되어 있었으나, 전기·수소 트랙터의 배터리·수소용기 배치 특성을 고려해 19m까지 허용됩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 화물차 보급이 한층 확대되고, 운송 효율성과 탄소 저감 효과가 동시에 기대됩니다. 또한 자동차 전후면 등화장치에 제작사 상표를 결합할 수 있도록 규정을 완화해 브랜드 식별성과 기술 개발을 지원합니다. 정책 구분 시행 시기 적용 대상 핵심 효과 페달오조작방지장치 2029~2030 승용·3.5톤 이하 차량 급발진 사고...

현대·포드 등 5개사 4만여 대 차량 자발적 리콜 실시

이미지
현대·포드 등 5개사 4만여 대 자발적 리콜 실시 국토교통부 는 현대자동차, 포드, 벤츠, 디앤에이모터스, 스텔란티스 등 5개사에서 제작 또는 수입한 차량 40,380대에서 제작 결함이 확인되어 자발적으로 리콜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운전자 여러분께서는 해당 차량의 리콜 대상 여부를 자동차리콜센터에서 반드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차종이 리콜 대상인가요? 현대차 팰리세이드는 보닛 잠금장치의 강건성 문제로, 포드 익스플로러는 안전벨트 버클 고정 볼트 조립 불량이 원인입니다. 디앤에이모터스의 UHR125는 교류발전기 홀센서 결함, 벤츠는 GLC 시리즈 등의 조향장치 부품 체결 불량, 스텔란티스의 짚랭글러는 원격 시동 안테나 조립 불량으로 리콜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리콜 대상 확인 및 조치 방법은? 차량 소유자는 자동차리콜센터 (www.car.go.kr)에서 차량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해 리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콜이 확정된 차량은 제작사에서 문자 또는 우편으로 통보하며, 결함 시정 전 자비 수리 시 비용 보상도 신청 가능합니다. 향후 전망 자동차 제작사들의 자발적 리콜은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한 긍정적 조치입니다. 앞으로도 국토교통부와 제조사 간 협력이 강화되어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 관리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차량 소유자분들은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교통안전에 함께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