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인구통계인 게시물 표시

세계 인구 102억 명 돌파, 한국 인구 절반으로 감소? 2072년 전망

이미지
전 세계적으로 인구 변화는 경제, 사회,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한국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인구 구조의 변화는 노동력 감소와 사회적 부담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4년부터 2072년까지의 세계와 한국의 인구 변화를 살펴보고, 향후 전망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장래인구추계 ▲ 세계와 한국의 인구규모(단위: 백만 명, %) 세계 인구 변화 전망 2024년 세계 인구는 약 81억 6천만 명으로 예상되며, 2072년에는 102억 2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1970년 대비 약 2.2배 증가한 수치로, 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인구 증가에 기인합니다. 아프리카 인구는 2024년 15억 2천만 명에서 2072년 32억 1천만 명으로 약 2.1배 증가할 것입니다. 반면 유럽은 2024년 7억 5천만 명에서 2072년 6억 4천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경제적 불균형과 사회적 갈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각국의 정책 대응이 중요해집니다. ▲ 세계와 한국의 인구 추이 한국 인구 변화 전망 한국 인구는 2024년 약 5,200만 명에서 2072년에는 약 3,60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4년 대비 31% 감소한 수치로, 출산율 저하와 인구 고령화가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2072년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47.7%로, 매우 심각한 수준의 고령화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고령화는 사회 복지 시스템의 과부하와 경제적 부담을 증가시키고, 젊은 세대의 사회적, 경제적 역할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입니다.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고, 노년층의 경제 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적 지원이 중요합니다. 주요 국가별 인구 순위 변화 2024년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는 인도(약 14억 5천만 명), 중국(약 14억 2천만 명) 순으로, 한국은 29위, 북한은 56위입니다. 2072년에는 인도와 중국의 순

작년 첫 인구감소 이후, 올해도 3개월 연속 감소세 지속

이미지
행정안전부 는 2021년 3월 말(2021.3.31.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는 51,705,905명으로, 2020년(51,829,023명/2020.12.31. 기준)에 비해 123,118명이 줄어들어(거주불명자 직권말소를 제외하면, 순수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에 의한 감소는 10,370명임) 2020년에 사상 첫 인구가 감소한 이후 올해도 3개월 연속 인구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주민등록법」개정에 따라 ‘거주불명자에 대한 사실조사’ 근거가 마련되어 5년 이상 거주지를 등록하지 않은 장기 거주불명자에 대한 사상 첫 사실조사가 전국 읍·면·동에서 동시에 추진되었으며, 장기 거주불명자 116,177명이 직권말소(2021.3.31. 기준)되어, 2021년 3월말 주민등록 인구통계 집계에서 제외되었다. *「주민등록법」제20조의2 및 제20조의3(2019. 12. 3. 신설, 2020. 12. 4. 시행) * 건강보험, 기초연금 등 20여종 행정서비스 이용 내역조사 및 시·군·구 사실조사 (※ 이용내역이 없는 경우 직권말소 조치하고, 향후 거주 확인시 주민등록 거주자 등록) 2021년 1분기(2021.3.31.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 3개월 연속 주민등록 인구감소 ▴세대수 지속 증가 ▴아동·청소년·청년 인구 감소 ▴고령 인구 비중 증가 ▴자연적 요인(출생등록자수-사망말소자수)에 의한 감소 지속 ▴세종·경기를 제외한 나머지 자치단체의 인구감소 등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전체 세대수는 작년에 이어 증가(64,277세대, 0.28%↑)하였으며, 2021년 3월 말 23,157,385세대를 기록하였다. 올해 1분기 동안 평균 세대원수는 사상 최저치인 2.23명으로 감소하였고,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던 4인 세대 이상이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져 역대 최저치(19.6%)를 기록하였다. 1인 세대는 910만 세대(9,139,287세대, 39.5%)를 돌파하여 전체 세대를 통틀어 40%를 눈앞에 두고 있다. * 1, 2인세대가 전체의 63.1%

2019년말 주민등록 인구 5,185만명, 1년간 2만 명 증가

이미지
행정안전부 에 따르면 2019년말 주민등록 인구는 51,849,861명으로, 2018년말 51,826,059명에 비해 23,802명 늘었다. 주민등록 인구는 매년 늘고 있지만, 인구증가 폭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5,000~5,100만 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 2008년~2019년 주민등록 인구 현황 성별로 보면 여자는 25,985,045명(50.1%), 남자는 25,864,816명(49.9%)이며, 50대 이하에서는 남자 인구가 더 많았고, 60대 이상에서는 여자 인구가 더 많았다. 연령대별 분포는 40대(16.2%)와 50대(16.7%)가 전체 인구 3분의 1을 차지하였고,  60대 이상 22.8%, 10대 이하 17.6%, 30대 13.6%, 20대 13.1%이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15~64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2.0%를 차지하고. 65세 이상 인구(15.5%)와 0~14세 인구(12.5%) 차이는 더 벌어졌다. 2018년과 비교하여 0~14세 인구는 16만 명, 15~64세 인구는 19만 명이 감소하였고, 65세 이상 인구는 38만 명 증가하여 800만 명을 넘었다. 주민등록 인구의 평균연령은 42.6세로, 평균연령보다 낮은 지역은 세종(36.9세), 광주·경기(40.8세), 울산(40.9세), 대전(41.3세) 등 7개 시‧도이다. 2019년 지난 한해 지역별 주민등록 인구변동을 살펴보면, 시·도에서 2018년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곳은 경기(162,513명), 세종(26,449명), 제주(3,798명), 인천(2,384명), 충북(755명) 총 5곳이고, 서울(△36,516명), 부산(△27,612명), 대구(△23,738명), 전북(△17,915명), 대전(△15,066명), 전남(△14,225명) 등 12개 시·도 인구는 감소하였다. 시·군·구에서 2018년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 화성(56,674명), 시흥(24,995명), 용인(24,483명) 등을 포함한 63곳이다. 경기 부천(△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