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지방부동산인 게시물 표시

2025년 9월 미분양 주택 총정리: 지역·규모 핵심 수치

이미지
2025년 9월 미분양 주택 동향 요약 2025년 9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6,762호로 전월 대비 소폭 증가했습니다. 수도권은 15,351호, 지방은 51,411호로 나타나며, 전체의 77%가 지방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번 통계는 국토교통부 공개 자료를 기반으로 요약했습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흐름 비교 수도권은 경기 지역 중심으로 미분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반면 지방은 대구, 대전, 울산 등 주요 광역시는 감소세를 보이며 일부 안정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강원과 전남 등 지방 중소도시는 여전히 공급 대비 수요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규모별 분석과 의미 60~85㎡의 중형 주택이 전체 미분양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실수요층의 주택 구입력 저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85㎡ 초과 대형 주택은 소폭 증가세로, 교체 수요가 다소 정체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금리 수준과 전세가 안정에 따른 구매심리 위축의 결과로 해석됩니다. 구분 미분양 수(호) 비고 전국 66,762 전월 대비 +0.2% 수도권 15,351 경기 비중 80% 이상 지방 51,411 영·호남, 충청권 중심 준공 후 미분양 27,248 전월 대비 -1.2% 60~85㎡ 중형 47,714 가장 높은 비중 85㎡ 초과 대형 11,362 소폭 증가세 향후전망 올해 4분기에는 금...

2025년 8월 전국 미분양 주택 66,613호 전월 대비 7.0% 증가

이미지
2025년 8월, 미분양 주택 6만6천 세대 넘겨 2025년 8월 말 기준,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66,613호로 집계되어 전월보다 7.0%(4,369호) 증가했습니다. 이는 3개월 만에 다시 6만6천 호를 넘긴 수치로,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수도권·지방 모두 증가… 준공 후 미분양도 여전 수도권 미분양은 14,631호로 전월 대비 10.1% 증가했고, 지방은 51,982호로 6.2% 늘어났습니다. 특히 서울은 1,106호로 7.1% 증가, 경기도는 12.8% 급등했습니다. 준공 후에도 미분양 상태인 주택은 27,584호로 전월보다 1.9% 증가해 완공 후에도 분양이 안 되는 구조적 문제도 엿보입니다. 전용 85㎡ 초과 대형 주택 미분양 급증 전용면적 85㎡ 초과 주택의 미분양은 11,361호로 전월 대비 11.8% 증가했으며, 중소형 주택(85㎡ 이하)도 6.1% 증가했습니다. 수요자 중심의 실수요 위주 시장에서 대형 주택은 상대적으로 외면받고 있는 셈입니다. 구분 2025년 7월 2025년 8월 증감률 전국 62,244 66,613 +7.0% 수도권 13,283 14,631 +10.1% 지방 48,961 51,982 +6.2% 준공 후 미분양 27,057 27,584 +1.9% 미분양 장기화 우려… 정책 전환 필요성 대두 현재 추세라면 미분양은 연말까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급 위주 정책보다는 수요 회복을 위한 금융 완화, 실수요자 지원책 강화 등이 절실해 보입니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 장기화는 건설사의 자금난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시장 안정화를 위한 신속한 대응이 요구됩니다.

2025년 7월 미분양 주택 6만2천호…수도권·지방 모두 감소세

이미지
2025년 7월 미분양 주택, 다시 감소세 전환 국토교통부 가 발표한 2025년 7월 말 기준 자료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총 62,244호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월보다 2.3% 감소한 수치로, 연초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 2025년 7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수도권·지방 모두 감소…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 수도권의 미분양은 13,283호로 전월 대비 4.7% 줄었으며, 지방도 48,961호로 1.7%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7,057호로 1.3% 증가해, 공급 이후에도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이 일부 지역에서 지속되고 있습니다. 서울은 오히려 소폭 증가했고, 경기는 5.2% 줄어든 모습이 눈에 띕니다. 면적별 격차 뚜렷…대형 평형은 증가 85㎡를 초과하는 대형 평형 미분양 주택은 전월보다 4.3% 증가한 10,166호로 집계된 반면, 85㎡ 이하 소형 평형은 3.5% 감소한 52,078호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실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접근 가능한 중소형 주택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택시장 향후 전망 전국적으로 미분양 물량이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부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증가와 대형 평형의 누적은 주택시장 회복이 지역과 면적에 따라 상이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향후 금리 변화와 정책 방향에 따라 미분양 흐름은 유동적일 수 있으며, 예의주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2015년 전국 땅값 2.40% 상승, 거래량은 2006년 이후 최대

이미지
2015년 전국 땅값 상승, 지역별 차이와 이유는? 2015년 한 해 동안 전국적으로 땅값이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국토교통부 에 따르면 전년 대비 2.40% 상승했으며, 이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전국의 지가 상승과 거래량 증가가 이어졌는데, 그 배경과 지역별 차이는 무엇일까요? 방문자분이 궁금해할 사항들을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1. 전국 지가변동률과 상승 배경 2015년 지가 상승률은 전국 평균 2.40%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특히 저금리 기조와 규제 완화가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끌었습니다. 이처럼 금리 인하와 부동산 규제 완화가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이해한다면 앞으로의 부동산 흐름도 예측하기 쉬울 것입니다. 2. 수도권과 지방 지가, 어디가 더 올랐나? 많은 분이 수도권과 지방 중 어디의 땅값이 더 많이 올랐을지 궁금할 것입니다. 흥미롭게도 지방이 수도권보다 더 큰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지방의 연간 지가변동률은 2.77%로, 수도권(2.19%)을 웃돌았습니다. 특히 제주도 는 7.57% 상승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제2공항 발표 등 개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에서 가장 눈에 띄는 지역은? 서울은 연간 2.69% 상승해 소폭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경기(1.73%)와 인천(1.95%)은 평균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특히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에서는 개발 이슈가 상대적으로 적어 상승폭이 낮았습니다. 3. 시·군·구별 땅값 상승과 그 이유 세부적으로 보면, 서귀포시 가 7.97% 상승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이는 제2공항 개발 발표와 혁신도시 개발 등 다양한 개발 호재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이처럼 특정 개발 프로젝트가 발표되면 해당 지역의 땅값은 단...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