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신선식품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 2.4% 상승, 물가 흐름 한눈에 보기

이미지
2025년 10월 물가, 2.4% 상승한 이유는?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습니다. 이는 지난 9월(2.1%)보다 0.3%p 높아진 수치로, 서비스와 공업제품, 농축수산물의 가격이 고르게 오른 결과입니다. 자세한 통계는 국가데이터처 에서 발표한 공식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분 전월비(%) 전년동월비(%) 총지수 0.3 2.4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0.4 2.2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0.4 2.5 생활물가지수 0.0 2.5 신선식품지수 -0.9 -0.8 공업제품·서비스·농축수산물 상승이 주도 10월 물가 상승의 주요 요인은 서비스(2.5%), 공업제품(2.3%), 농축수산물(3.1%)의 가격 인상입니다. 특히 교통(3.4%), 음식·숙박(3.2%), 기타 서비스(4.3%) 등 개인 서비스 부문이 오름세를 이끌었습니다. 반면 신선채소(-14.1%)와 식용유(-7.7%) 등은 하락해 일부 완화 효과를 냈습니다. 생활물가 2.5% 상승, 체감물가 여전히 높아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5% 상승하며 체감물가 부담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식품 부문은 3.0%, 비식품은 2.2% 상승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세종과 경남이 2.7%로 가장 높고, 인천이 2.2%로 가장 낮았습니다. 전반적으로 전국 모든 지역에서 물가가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향후전망 11월 이후 물가는 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 흐름에 따라 완만한 변동이 예상됩니다. 정부는 공공요금 동결 기조를 이어가고 있으나, 서비스 부문과 개인소비 회복이 이어질 경우 근원물가는 당분간 2%대 중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물가 안정세는 경기 둔화와 수입 물가 추이에 달려 있을 전망입니다.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 자세히 보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