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생물다양성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멸종위기종 ‘노란잔산잠자리’, 생태와 보호 필요

이미지
10월의 멸종위기종, 노란잔산잠자리를 아시나요? 환경부 는 2025년 10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노란색 줄무늬가 특징인 ‘노란잔산잠자리’를 선정하였습니다. 이 잠자리는 하천 중류의 고운 모래에 서식하며, 모래 채취와 환경 변화로 생존 위협을 받고 있어 보호가 절실한 종입니다. 멸종위기종 검색 노란잔산잠자리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노란잔산잠자리는 몸길이 약 70~77mm로 대형 잠자리에 속합니다. 금속성 광택의 짙은 청록색 몸통에 노란 줄무늬가 있으며, 성숙한 암컷은 등황색 날개를 지녔습니다. 유충은 고운 모래 속에 숨어 지내며, 2년에 한 번 성충으로 우화합니다. 성충과 유충 모두 육식성으로 곤충을 먹습니다. 항목 내용 서식지 하천 중류의 저산지 및 구릉지 서식형태 유충은 모래 속, 성충은 큰 나무 주변 식성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 육식성 분포 한국(연천, 경상도), 일본, 극동 러시아 보호등급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노란잔산잠자리, 왜 보호가 필요한가요? 노란잔산잠자리 유충은 하천의 고운 모래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모래 채취나 개발로 인한 서식지 훼손은 치명적인 위협이 됩니다. 현행법에 따라 무단 포획·훼손 시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노란잔산잠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하천 생태계 보전이 중요합니다.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멸종위기종 보존에 큰 힘이 됩니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지속적인 서식지 모니터링과 교육 캠페인을 통해 이들을 보호하고자 합니다.

식충식물 자주땅귀개, 9월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선정

이미지
식충식물 자주땅귀개, 9월의 멸종위기종으로 선정 자연 생태계의 다양성과 보호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환경부 는 9월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자주땅귀개'를 선정하였습니다. 자주땅귀개는 국내 산속 습지에서 드물게 서식하는 식충식물로, 기후변화와 개발로 점차 그 서식처가 줄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주땅귀개란 어떤 식물인가요? 자주땅귀개는 높이 약 10cm로 자라며, 주걱 모양 잎 사이에서 자주색 꽃을 피웁니다. 꽃은 귀이개를 닮아 이름이 붙여졌고, 꽃잎 끝이 입술 모양이며 꽃뿔은 아래를 향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땅속줄기에는 포충낭이 달려 있어 물속 작은 생물을 잡아먹으며 영양분을 보충합니다. ▲ 자주땅귀개 Utricularia yakusimensis (출처: 국립생태원)     서식 환경과 보호 필요성 이 식물은 제주도와 전남, 경남 등 일부 습지에서만 발견되며, 햇빛이 잘 들고 수분이 풍부한 산속 습지에서 살아갑니다. 하지만 습지의 개발 및 오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점점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어, 2005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습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보기 국립생태원에서 보기 자연 보호의 시급성과 우리의 역할 자주땅귀개는 단순한 희귀식물이 아니라, 생태계의 건강성을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이런 멸종위기 식물의 보호가 필수적이며, 우리 모두의 관심과 실천이 중요합니다. 자주땅귀개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국립생태원 누리집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1회 경기생물다양성 탐사(BioBlitz)’ 참가자 모집

이미지
▲ 제1회 경기생물다양성 탐사(BioBlitz) 포스터 경기도 는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1박2일간 남한산성도립공원에서 개최되는 ‘제1회 경기생물다양성 탐사(BioBlitz)’에 참가할 학생과 학부모, 도민 등 참가자 200명을 오는 23일까지 선착순 모집한다고 8일 밝혔다. 올해 처음 열리는 ‘경기생물다양성 탐사’는 ‘도시를 치유하는 경기의 자연’이라는 가치를 시민참여로 이루고 지키기 위한 생물다양성 보전 활동으로 전문가와 함께하는 탐사 활동을 통해 다양한 생물과 생태, 생물들이 연결된 ‘생태계’를 이해함으로써 시민들이 생태계 보전에 기여하기 위해 기획됐다. 역사와 문화, 자연을 품은 남한산성도립공원 내 남한산초등학교 베이스캠프를 중심으로 ▲생물종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Walk 프로그램 ▲생물종 결과 공유 및 토의 ▲전문가와 대화의 시간인 Talk 프로그램 ▲다양한 전시와 체험이 어우러진 생물다양성한마당 등 자연과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모든 연령대가 참가할 수 있는 ‘교육탐사(초급)’와 중학생 이상 참가 가능한 ‘전문가 탐사(중급)’ 등 수준별 2개 과정으로 나눠 진행되며, 참가비는 과정에 상관없이 1인당 2만 원이다. 초등학생과 학부모, 초급자 등이 주로 참여하게 될 ‘교육탐사’는 식물, 곤충, 척추동물, 포유류 등이 있는 4개 지정된 곳을 이동하며 보고 체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함께 중학생 이상 관심자와 지역활동가 등 중급자가 참여하는 ‘전문가 탐사(중급)’는 ‘성안탐사대’와 ‘성벽길 탐사대’ 등 2개로 나뉘어 식물, 버섯, 곤충, 거미, 양서.파충류 등 남한산성 일대에 서식하는 생물 10여종을 조사해 생물종 목록을 작성하는 형태로 구성됐다. 이밖에도 사전 신청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야간 곤충탐사와 새벽 조류탐사 등도 진행될 예정이다. 초등학생 이상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참가신청은 경기도 홈페이지 ( https://gg.go.kr/bioblitz...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