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골다공증인 게시물 표시

꽃벵이 추출물, L-트립토판으로 뼈 건강 지표 성분 입증

이미지
꽃벵이 추출물, 뼈 건강을 지키는 L-트립토판의 힘 농촌진흥청 과 한국한의학연구원 공동연구 결과, 식용곤충인 꽃벵이(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 추출물이 골다공증 완화와 뼈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연구진은 꽃벵이 추출물 속 주요 성분이 필수 아미노산인 L-트립토판(L-Tryptophan) 임을 확인했으며, 이 성분이 뼈 흡수를 억제하고 골밀도를 높이는 데 핵심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과학으로 확인된 꽃벵이 추출물의 항 골다공증 효과 실험에서는 쥐의 골세포 유사 세포(MLO-Y4)에 염증인자(IL-1)와 파골세포 유도물질(RANKL)을 처리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유도한 뒤, 꽃벵이 추출물과 분획물을 함께 처리했습니다. 그 결과 파골세포 수와 면적이 현저히 감소하며, 뼈 흡수 억제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염증성 골소실이 있는 쥐에게 2주간 꽃벵이 추출물을 먹인 결과, 해면골 소실이 억제되고 뼈의 단단함(골밀도, BMD)과 치밀도(골체적비, BV/TV)가 모두 증가했습니다.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농도도 유의하게 감소했습니다. 실험 항목 결과 변화 파골세포 수 및 면적 현저히 감소 골밀도 (BMD) 증가 골체적비 (BV/TV) 증가 염증성 인자 (TNF-α) 감소 L-트립토판, 꽃벵이 품질관리의 지표 성분(Q-Marker)로 제시 이번 연구에서는 꽃벵이 추출물의 주요 성분으로 L-트립토판 을 분리·동정하고, 이를 품질관리 지표(Q-Marker) 로 제시했습니다. 연구진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DAD)를 이용해 정밀 분석을 수행했으며, L-트립토판의 함량은 1.93 ± 0.05 µg/mg 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상관계수(R²)는 0.9999 이상, 정밀도(RSD)는 1.42%로 나타나 매우 신뢰성 높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분석법은 향후 꽃벵이 추출물의 표준화와 기능성 식품 소재화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향후 전망 농촌진흥청 은 이번 연...

국산 쌀보리 ‘베타원’ 비만·골다공증 억제 효능 뛰어나

이미지
농촌진흥청 은 국산 쌀보리에 비만과 골다공증을 억제하는 복합 효능이 있음을 국내 최초로 밝히고, 그 중 ‘베타원’ 품종의 효능이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골다공증: 갱년기가 되면 여성호르몬 감소로 골 교체에 변화가 나타나서 파골세포가 녹인 부위를 새로운 뼈로 완전히 채우지 못하고 골 손실이 일어남, 갱년기에 여성의 약 60% 정도에서 발생 국립식량과학원은 순천대학교와의 공동 연구로 ‘새쌀’과 ‘흰찰’ 등 주요 쌀보리 추출물에서 지방세포 분화 억제와 골밀도 개선 효능을 확인하고, 이를 특허출원했다. * 특허출원: ‘보리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치료용 조성물’(10-2018-0161106), ‘베타원조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10-2020-0108849) 특히 ‘베타원’ 품종에서 비만과 골다공증을 억제하는 복합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베타원’은 2015년에 개발된 찰성 쌀보리로 국내 보리 가운데 기능성분인 베타글루칸 함량이 11.4%(‘새찰쌀’ 6.5%)로 가장 높은 품종이다. * 베타글루칸: 면역력강화, 혈중콜레스테롤 감소, 심혈관질환, 당뇨병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베타원’은 지방전구세포(3T3-L1)를 이용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시험에서 10μg/mL의 추출물에서도 지방세포 분화를 95% 억제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파골세포 형성 억제 효과 시험에서도 10μg/mL의 추출물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저농도인 1μg/mL에서도 유의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추출물이 신호전달과정에서 골다공증을 발생케 하는 중요한 요소인 ‘NFATc1’ 발현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세포와 파골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에서 ‘베타원’ 추출물은 각 처리 농도에서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타원’은 현재 산업체와 통상실시를 맺고, 전라남도 영광군과 광주광역시에서 100% 계약재배로 생산되고 있으며, 일부 대형마트에서 구매할 수 있다. 올 가을에는 신기술보급사업으로 영광...

흑미 호분층 추출물,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

이미지
▲ 흑미 이용 제품 중, 흑미 호분층 과립[자료제공=농촌진흥청] 흑미에서 추출한 기능성 물질이 골다공증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흑미(黑米)는 미국 의학과 영양 분야 전문가들이 선정한 20대 건강식품 중 하나로 기능성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풍부해 비만을 예방하고 노화를 막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2016년 농촌진흥청 연구에서도 흑미 호분층 추출물이 비만 모델의 흰쥐와 경도 비만 여성의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을 확인했다. 농촌진흥청은 을지대학교, 고려대학교와 공동으로 실험한 결과, 흑미 호분층 추출물이 골다공증 예방을 통해 뼈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 호분층: 종자 껍질 안쪽에 호분립(종자에 있는 저장 단백질의 특징적인 구조)을 다량으로 함유한 세포층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골다공증 모델의 흰쥐에 12주 동안 적용한 결과,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먹지 않은 흰쥐에 비해 골밀도는 8% 높아졌고, 뼈 속 칼슘과 무기질 함량은 18% 늘어났다. 뼈의 강도도 11% 유의하게 증가해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했다. 이는 흑미 호분층 추출물이 뼈 건강에 관련된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함으로써, 조골세포의 형성과 뼈 속 무기질 함량의 증가를 돕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45~69세의 폐경 여성 46명에게 평소 식습관을 유지하면서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캡슐 형태로 12주간 먹게 했다. 그 결과, 갱년기의 주요 증상을 나타내는 지표인 갱년기 지수(Kupperman 지수)가 섭취 전보다 15.8%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 갱년기 지수 : 안면홍조, 발한, 불면증, 신경질, 우울증, 어지럼증, 피로감, 관절통/근육통, 머리아픔, 가슴 두근거림, 질 건조감으로 구성된 갱년기 여성의 증상 개선 평가하는 가장 보편적 방법(WHO, NIH) 농촌진흥청은 흑미에서의 기능성 물질 추출 방법과 갱년기 증상 완화 등 4건에 대한 특허(10-1791574, 10-1706295, 10-1851149...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