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서비스업인 게시물 표시

2025년 6월 산업활동동향

이미지
무더운 6월, 산업은 다시 뛰기 시작했을까? 2025년 6월의 산업지표는 우리가 경제 회복의 초입에 서 있는지, 아니면 또다른 숨 고르기 국면인지를 고민 하게 합니다. 뉴스에서 자주 접하는 ‘반도체 회복세’가 실제로 어떤 수치로 나타나는지, 소매판매와 투자 흐름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하나하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소비자 입장에서 체감되는 변화가 크지 않더라도, 산업의 전반적인 기류를 이해하는 건 향후 내 삶과도 맞닿아 있기 때문 입니다. 이번 산업활동동향을 통해, 6월 한 달간 대한민국 산업의 맥박을 짚어봅니다. 6월 산업활동, 생산은 살아났지만 소비·투자는 아직 2025년 6월, 전 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1.2% 증가 하며 반등했습니다. 특히 반도체(6.6%)와 자동차(4.2%)가 광공업 상승을 견인했으며, 금융·보험(3.4%)과 전문기술(1.6%) 등 서비스업도 동반 성장했습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2.4%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소비는 의복(4.1%), 화장품(0.3%) 등에서 판매가 늘며 전체적으로 0.5% 증가 했지만, 승용차 등 내구재는 오히려 줄었습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부진으로 3.7% 감소 , 건설기성은 건축 증가로 6.7% 상승 했지만,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3.6% 감소해 불안감을 남겼습니다. 경기지표는 혼조세입니다. 동행지수는 소폭 하락(-0.1p), 선행지수는 상승(+0.2p)하며 미래 기대감을 반영했습니다. 전반적으로 회복의 가능성은 보이지만, 소비와 투자는 확신을 주기엔 이른 단계입니다. 향후전망 앞으로의 산업 흐름은 반도체와 자동차가 핵심 키가 될 전망 입니다. 반도체는 생산능력·수출 모두 증가하고 있고, 자동차도 내수와 해외 모두에서 수요가 살아나는 흐름입니다. 서비스업은 금융·기술 분야 중심의 완만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숙박·교육 등 민감 업종은 회복 속도가 더딜 수 있습니다. 소비는 고물가와 금리 상황, 해외 변수에 따라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는 여전...

2025년 4월 산업활동동향

이미지
2025년 4월 전 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0.8% 감소 했습니다. 광공업(-0.9%)과 서비스업(-0.1%)에서 생산이 줄었고,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 부문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소비 측면에서는 통신기기, 의복 등의 판매 감소로 소매판매가 0.9% 줄었습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는 증가했지만, 기계류 감소로 전체적으로 0.4% 하락했고, 건설기성도 건축 부문 부진으로 0.7% 감소했습니다. 반면, 경기지표는 동행지수와 선행지수가 각각 0.2p, 0.3p 상승하며 개선 흐름을 보였습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광공업(4.9%)과 서비스업(0.7%)이 증가해 전체 산업 생산은 0.4% 늘었습니다. 산업 전반의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소폭 감소했지만, 향후 경기 회복 신호도 일부 감지되는 상황입니다. ▲ 2025년 4월 산업활동 동향 인포그래픽(출처:통계청)

2025년 3월 산업활동 동향

이미지
통계청 이 발표한 2025년 3월 전산업 생산은 서비스업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광공업 등에서 증가하여 전월 대비 0.9% 증가하였습니다. 소매판매는 통신기기·컴퓨터 등의 판매 부진으로 전월 대비 0.3% 감소하였고,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의 감소로 전월 대비 0.9% 감소, 건설기성은 토목 및 건축 공사 실적 부진으로 전월 대비 2.7% 감소하였습니다. 전산업생산지수 경기 측면에서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3p 상승,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p 상승하였습니다. 주요 산업별 동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 의약품 등의 호조에 힘입어 전월 대비 2.9% 증가하였으나, 기계장비에서는 감소가 나타났습니다. 서비스업 생산은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증가했으나, 도소매, 금융·보험 등에서 감소하여 전월 대비 0.3% 감소하였습니다. 소매판매에서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와 의복 등 준내구재의 판매가 늘었지만,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의 판매가 줄어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에서는 증가했으나, 기계류에서 투자가 줄어 감소하였고, 건설기성은 토목 및 건축 모두에서 공사실적이 줄었습니다. ▲ 2025년 3월 산업활동 동향 인포그래픽(출처:통계청)

통계청, 2023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이미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반도체·전자부품,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 동분기대비 7.4% 감소 제주(3.1%), 세종(2.3%), 강원(1.6%)은 전기·가스업, 전기장비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하였으나, 경기(-16.2%), 부산(-8.5%), 충북(-7.9%)은 반도체·전자부품, 전기·가스업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금융·보험, 운수·창고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 동분기대비 2.8% 증가 제주(-1.7%), 세종(-1.4%), 강원(-0.3%)은 정보통신, 부동산, 숙박·음식점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인천(7.6%), 서울(6.6%), 대전(3.5%)은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0.3% 감소 대전(5.4%), 부산(4.6%), 전북(3.3%)은 전문소매점,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늘어 증가하였으나, 제주(-7.4%), 대구(-5.0%), 전남(-4.9%)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 (건설수주) 전국은 주택, 공장·창고 등의 수주가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37.5% 감소 광주(337.5%), 인천(26.6%), 울산(23.3%)은 주택, 발전·통신 등의 수주가 늘어 증가하였으나, 대전(-66.6%), 전남(-62.2%), 경북(-54.3%)은 주택, 기계설치 등의 수주가 줄어 감소 3. 수출 전국은 메모리 반도체, 경유, 컴퓨터 주변기기 등의 수출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12.0% 감소 경남(25.1%), 대구(12.9%), 인천(5.9%)은 선박, 기타 유기·무기화합물, 승용차 등의 수출이 늘어 증가하였으나, 전남(-32.8%), 세종(-31.7%), 충남(-31.1%)은 경유, 인쇄회로, 메모리 반도체 등의 수출이 줄어 감소 4. 고용 (고용률) 전국은 63.2%로, 30대, 60세이상, 50대 등의 고용률이 올라 전년동분기대비 0.5%p 상승 경기(-0.4%p)의 고용률은 하락하였으나, ...

통계청, 2022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이미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자동차·트레일러, 의약품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1.3% 증가 충남(-4.7%), 서울(-3.6%), 전남(-2.5%)은 반도체·전자부품, 기계장비,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부산(16.4%), 대구(8.6%), 광주(8.3%)는 운송장비, 자동차·트레일러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숙박·음식점,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5.9% 증가 모든 지역에서 증가한 가운데, 제주(8.3%), 인천(8.0%), 부산(7.7%)은 숙박·음식점, 운수·창고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슈퍼마켓·잡화점, 면세점 등의 판매가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0.1% 감소 경남(2.7%), 인천(2.5%), 대구(2.4%)는 승용차·연료소매점, 면세점 등의 판매가 늘어 증가하였으나, 광주(-3.2%), 충북(-2.0%), 전북(-1.8%)은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 (건설수주) 전국은 공장·창고, 주택 등의 수주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29.4% 증가 대구(-46.6%), 광주(-32.6%), 대전(-28.6%)은 주택 등의 수주가 줄어 감소하였으나, 세종(293.7%), 강원(272.5%), 부산(217.3%)은 토지조성, 사무실·점포, 주택 등의 수주가 늘어 증가 3. 수출 (수출) 전국은 경유, 석유제품, 승용차 등의 수출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6.0% 증가 제주(-31.5%), 강원(-11.7%), 대전(-8.8%)은 반도체·부품, 중화학공업품, 일반기계 등의 수출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대구(46.6%), 울산(26.4%), 인천(23.7%)은 기타 유기·무기화합물, 경유, 프로세스·컨트롤러 등의 수출이 늘어 증가 4. 고용 (고용률) 전국은 62.8%로, 30대, 20대, 50대 등의 고용률이 올라 전년동분기대비 1.5%p 상승 경남(-0.4%p)의 고용률은 하락하였으나, 제주(3.4%p), 경기(2.7%p), 울산(1.8%p)의 고용률은 ...

통계청, 2021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이미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반도체·전자부품,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5.0% 증가 대전(-9.9%), 광주(-8.7%), 울산(-2.2%)은 담배, 자동차·트레일러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세종(13.0%), 경기(12.4%), 충북(10.5%)은 반도체·전자부품, 의료정밀, 전기장비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금융·보험업, 도소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3.9% 증가 모든 지역에서 증가한 가운데, 인천(4.7%), 부산(4.4%), 서울(4.3%)은 운수·창고, 금융·보험 등의 생산이 늘어 전국 평균보다 더 크게 증가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전문소매점, 무점포소매 등의 판매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5.1% 증가 울산(-2.9%)은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하였으나, 부산(5.9%), 서울(5.7%), 대전(5.1%)은 전문소매점, 백화점 등의 판매가 늘어 증가 (건설수주) 전국은 주택, 기계설치 등의 수주가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3.6% 감소 울산(125.5%), 전북(116.5%), 제주(44.8%)는 발전·통신, 주택 등의 수주가 늘어 증가하였으나, 부산(-65.8%), 강원(-53.0%), 세종(-45.4%)은 주택, 사무실‧점포 등의 수주가 줄어 감소 3. 수출 (수출) 전국은 메모리반도체, 기타 유기 및 무기화합물, 기타 석유제품 등의 수출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26.5% 증가 대전(-9.4%), 광주(-2.0%)는 축전기·전지, 승용차 등의 수출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제주(80.5%), 전남(61.6%), 강원(39.5%)은 집적회로 반도체·부품, 철강 판, 중화학 공업품 등의 수출이 늘어 증가 4. 고용 (고용률) 전국은 61.3%로, 20대, 50대 등의 고용률이 올라 전년동분기대비 0.9%p 상승 제주(-0.4%p), 세종(-0.3%p), 울산(-0.3%p) 등의 고용률은 하락하였으나, 경기(1.8%p), 대구(1.4%p), 강원(1.4%p) 등의 고용률은 상...

통계청, 2021년 1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이미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반도체, 자동차·트레일러, 기계장비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4.5% 증가 부산(-7.1%), 경남(-4.2%), 강원(-3.9%)은 기계장비, 기타운송장비, 의약품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경기(11.2%), 충북(8.7%)은 반도체·전자부품, 화학제품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금융·보험업, 도소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2.2% 증가 제주(-6.4%), 인천(-4.9%), 강원(-1.0%)은 정보통신, 운수·창고, 숙박·음식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서울(6.3%), 대구(2.6%), 경기(1.8%)는 금융·보험업, 도소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무점포소매,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6.3% 증가 제주(-8.1%), 인천(-2.6%)은 면세점, 슈퍼마켓·잡화점·편의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하였으나, 대구(9.5%), 대전(8.3%), 광주(5.1%)는 승용차·연료소매점,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늘어 증가 (건설수주) 전국은 공장·창고, 주택, 기타 건축 등의 수주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25.0% 증가 울산(-63.3%), 광주(-49.9%), 전북(-40.1%)은 주택, 도로·교량 등의 수주가 줄어 감소하였으나, 제주(168.5%), 경북(135.6%), 충남(103.4%)은 발전·통신, 주택 등의 수주가 늘어 증가 3. 수출 (수출) 전국은 승용차, 메모리반도체, 선박 등의 수출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12.5% 증가 인천(-1.0%)은 의약품, 선박, 수송 기타장비 등의 수출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강원(34.7%), 충북(24.0%), 전남(22.3%)은 전기·전자 기타제품, 의약품, 철강판 등의 수출이 늘어 증가 4. 고용 (고용률) 전국은 58.6%로, 30대, 20대, 40대 등의 고용률이 내려 전년동분기대비 1.3%p 하락 전북(1.2%p), 대구(1.0%p), 세종(0.1%p)의 고용률은 상승하였으나...

통계청, 2020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이미지
1. 생산 (광공업생산) 전국은 반도체, 기타기계장비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0.9% 증가  서울(-14.5%), 대구(-10.4%), 경남(-6.6%)은 의복, 금속가공제품, 기타운송장비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하였으나, 광주(11.9%), 경기(10.2%), 인천(5.6%)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1.7% 감소  서울(2.2%)은 금융·보험업 등의 생산이 늘어 증가하였으나, 인천(-11.6%), 제주(-8.7%), 강원(-5.6%)은 운수·창고, 도소매, 예술·스포츠·여가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 2. 소비·건설 (소매판매) 전국은 무점포 소매, 승용차·연료소매점 등의 판매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1.8% 증가 제주(-30.4%), 인천(-9.4%), 서울(-7.8%)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한 반면, 전남(3.4%), 충남(1.7%), 경남(1.3%)은 승용차·연료소매점, 슈퍼·잡화·편의점 등의 판매가 늘어 증가 (건설수주) 전국은 주택, 기계설치, 공장·창고 등의 수주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36.2% 증가 제주(-63.6%), 인천(-35.8%), 광주(-20.8%)는 주택, 철도·궤도 등의 수주가 줄어 감소하였으나, 부산(307.0%), 전남(227.7%), 경북(162.0%)은 주택, 기계설치 등의 수주가 늘어 증가 3. 수출 전국은 기타석유제품, 기타일반기계류, 경유 등의 수출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3.3% 감소 대전(46.8%), 광주(20.3%), 충북(13.0%)은 기타집적회로 반도체·부품, 승용차, 의약품 등의 수출이 늘어 증가하였으나, 부산(-19.0%), 경남(-18.7%), 울산(-16.9%)은 승용차, 선박, 기타석유제품 등의 수출이 줄어 감소 4. 고용 전국 고용률은 60.4%로, 20대, 40대, 30대 등의 고용률이 내려 전년동분기대비 1.1%p 하락 전북(1.1%p), 세종(1.0%...

통계청, 2020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이미지
  (광공업생산) 전국은 자동차, 전자부품(반도체제외)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5.1% 감소 경기(3.2%)는 반도체, 기타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였으나, 대구(-25.1%), 서울(-20.0%), 대전(-15.8%)은 자동차, 의복, 전자부품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운수·창고, 숙박·음식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3.4% 감소 모든 지역에서 감소한 가운데, 제주(-12.9%), 인천(-11.6%), 부산(-5.6%)은 숙박·음식, 운수·창고 등의 생산이 줄어 전국평균보다 더 크게 감소 (소매판매) 전국은 승용차·연료소매점, 무점포 소매, 슈퍼마켓·잡화점 등의 판매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1.9% 증가 제주(-28.1%), 서울(-8.3%), 인천(-5.2%)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한 반면, 전남(10.2%), 충남(8.7%), 광주(8.0%) 등은 승용차·연료소매점, 슈퍼·잡화·편의점 등의 판매가 늘어 증가 (건설수주) 전국은 주택, 공장‧창고, 발전‧통신 등의 수주가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16.8% 증가 충남(-51.9%), 강원(-38.2%), 전남(-36.4%)은 주택, 기타토목, 도로·교량 등의 수주가 줄어 감소한 반면, 울산(162.4%), 경북(143.5%), 서울(80.7%)은 주택, 기계설치 등의 수주가 늘면서 크게 증가 (수출) 전국은 승용차, 기타석유제품, 차량부품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분기대비 20.3% 감소 모든 지역에서 감소한 가운데, 울산(-39.9%), 대구(-36.2%), 전남(-31.2%)은 기타 석유제품, 승용차, 기타일반기계류 등이 부진하여 전국평균보다 더 크게 감소 (고용률) 전국 고용률은 60.0%로, 20대, 50대 등의 고용률이 내려 전년동분기대비 -1.3%p 하락 대전(1.0%p), 전남(0.7%p), 충북(0.4%p) 등의 고용률은 상승한 반면, 대구(-2.7%p), 제주(-2.6%p), 경기(-1.9%p) 등의 고용률은 하락 (소비자물가) 전국은...

통계청, 2020년 1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

이미지
(광공업생산) 전국은 전자부품, 기계장비 등이 늘어 전년동분기대비 4.9% 증가 서울(-13.2%), 제주(-12.3%), 울산(-6.5%)은 의복·모피, 음료, 자동차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한 반면, 경기(22.9%), 전남(1.6%)은 반도체,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증가 (서비스업생산) 전국은 숙박·음식, 운수·창고, 도소매 등의 생산이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1.1% 감소  서울(2.3%)은 금융보험, 부동산업의 생산이 늘어 증가하였으며, 제주(-10.3%), 대구(-4.4%), 경북(-4.3%) 등은 정보통신, 숙박·음식 등의 생산이 줄어 감소  (소매판매) 전국은 전문소매점, 면세점, 백화점 등이 부진하여 전년동분기대비 2.9% 감소 전남(3.9%)은 슈퍼·잡화·편의점,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등이 늘어 증가한 반면, 제주(-14.8%), 대구(-9.9%), 인천(-9.1%) 등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의 판매가 줄어 감소 (건설수주) 전국은 철도 및 궤도, 주택, 항만 및 공항 등의 수주가 줄어 전년동분기대비 1.5% 감소 세종(302.4%), 울산(157.7%), 충북(109.7%) 등은 주택, 발전·송전, 관공서 등의 수주가 늘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인천(-53.3%), 전남(-30.2%), 제주(-25.3%) 등은 주택, 기계설치, 사무실·점포 등의 수주가 줄어 감소 (수출) 전국은 기타 유기 및 무기 화합물, 승용차, 액정 디바이스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4% 감소 대전(25.3%), 충북(11.0%), 제주(10.9%)는 수송기타장비, 컴퓨터주변기기, 기타 집적회로 등의 수출이 늘어 증가하였으며, 전남(-11.5%), 전북(-9.9%), 대구(-8.3%) 등은 기타 유기·무기화합물, 차량부품, 기타 일반기계류 등이 줄어 감소 (고용률) 전국 고용률은 59.9%로, 60대 이상, 30대 고용률이 올라 전년동분기대비 0.3%p 상승 충남(-2.0%p), 대구(-1.5%p), 인천(-0.8%p) 등의 고용률은 하락한 반면, 대전(1.8%p)...

2019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 전년동기대비 고용률 0.4%p 상승, 실업률 0.5%p 하락

이미지
▲ 2019년 3분기 시도별 고용률 및 실업률 전국 광공업생산은 의료정밀광학, 화학제품, 1차금속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0.8% 감소 대전(13.1%)은 담배, 기계장비, 강원(1.4%)은 식료품, 의약품 등의 호조로 증가하였으나, 제주(-7.0%)는 음료, 식료품, 인천(-6.9%)은 의약품, 기계장비, 전북(-5.4%)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의 부진으로 감소 ※ 세종시 증가율(7.4%)은 대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으나 사업체수 과소로 하위 업종지수 미작성 전국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기대비 1.6% 증가 충북(-0.3%)은 도소매, 숙박·음식점, 인천·울산(-0.1%)은 교육, 숙박·음식점 등의 부진으로 감소하였으나, 서울(2.9%), 전남(2.1%)은 금융·보험, 보건·복지, 제주(2.0%)는 도소매, 금융·보험 등의 호조로 증가 전국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대비 2.4% 증가 충북(-4.2%), 대전(-2.5%), 충남(-2.3%)은 전문소매점, 대형마트의 부진으로 감소하였으나, 제주(9.8%)는 면세점, 전문소매점, 서울(5.2%)은 면세점, 승용차·연료소매점, 경남(1.4%)은 승용차·연료소매점이 호조를 보여 증가 전국 건설수주는 전년동기대비 3.9% 감소 인천(182.7%), 경남(72.8%)은 주택, 공장·창고, 토지조성, 충남(81.0%)은 기계설치, 주택의 호조로 증가한 반면, 강원(-83.9%)은 발전·송전, 전북(-82.6%)은 도로·교량, 세종(-70.7%)은 공장·창고, 주택 등이 줄면서 감소 전국 수출은 반도체, 액정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12.2% 감소한 1,349억 달러로 나타났음 세종(12.0%)은 차량부품, 인쇄회로, 경남(10.0%)은 선박, 냉장고 등의 호조로 증가한 반면, 경기(-23.8%), 제주(-16.9%)는 반도체 및 반도체부품, 전북(-19.7%)은 차량부품 및 일반기계류 등의 부진에 따라 감소 전국 수입은 원유, 반도체 제조장비, ...

2019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 전년동기대비 고용률 61.3% 실업률 4.1%

이미지
▲ 2019년 2분기 시도별 고용률 및 실업률 전국 광공업생산은 기계장비, 화학제품, 의료정밀광학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0.8% 감소 대전(19.1%), 광주(6.4%), 대구(4.2%) 등은 전자부품, 기계장비, 전기장비 등의 호조로 증가하였으나, 제주(-6.7%), 전북(-6.3%), 서울(-5.7%) 등은 전기·가스업, 화학제품, 전기장비 등의 부진으로 감소 전국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기대비 1.4% 증가 부산(-0.3%), 울산(-0.3%)은 금융·보험, 교육, 숙박·음식점 등의 부진으로 감소하였으나, 인천(1.9%), 경기(1.6%), 광주(1.4%) 등은 보건·복지, 전문·과학·기술, 정보통신 등의 호조로 비교적 높은 증가 전국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대비 2.0% 증가 대구(-2.9%), 광주(-2.6%), 충북(-2.3%) 등은 전문소매점, 대형마트 등의 부진으로 감소하였으나, 제주(7.2%), 서울(5.4%) 등은 면세점, 전문소매점 등이 호조를 보여 증가 전국 건설수주는 전년동기대비 4.9% 감소 광주(297.3%)는 사무실·점포, 대전(229.4%) 및 세종(124.2%)은 주택 등의 수주가 늘면서 증가한 반면, 울산(-62.3%), 전북(-57.6%), 경북(-57.1%) 등은 주택, 도로·교량 등의 수주가 줄면서 감소 전국 수출은 메모리 반도체, 액정디바이스, 컴퓨터 주변기기 등의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8.5% 감소한 1,387억 달러로 나타났음 울산(10.8%), 경남(10.3%) 등은 선박, 승용차, 일반기계류 등의 호조로 증가한 반면, 제주(-30.2%), 경기(-17.0%), 전북(-14.4%) 등은 반도체부품, 메모리 반도체, 화학제품 등의 부진에 따라 감소 전국 수입은 반도체 제조장비, 원유, 액정디바이스 등의 감소에 따라 전년동기대비 3.4% 감소한 1,286억 달러로 나타났음 세종(136.0%), 경남(8.1%), 충북(5.9%) 등은 곡물, 철강재, 반도체부품 등을 중심으로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