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중소기업수출인 게시물 표시

2025년 3분기 무역, 중소기업 수출 11.9%↑…전체 6.5% 성장

이미지
2025년 3분기, 무역 회복세 뚜렷 관세청 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은 전년 동분기 대비 6.5% 증가한 1,850억 달러, 수입액은 1.5% 늘어난 1,624억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활약이 돋보였으며, 교역기업 수도 23만여 개로 꾸준히 늘었습니다. 기업규모별 무역 동향 – 중소기업이 성장 주도 대기업의 수출은 자본재 중심으로 5.1% 증가했고, 중견기업은 7.0%, 중소기업은 11.9% 증가해 전 부문에서 플러스 성장을 보였습니다. 수입은 대기업이 0.9% 감소했으나 중견기업(4.6%), 중소기업(8.5%)이 상승하며 전체 무역 증가세를 견인했습니다. 구분 수출액 (억 달러) 전년동분기 대비 증감률(%) 수입액 (억 달러) 전년동분기 대비 증감률(%) 전체 1,850 +6.5 1,624 +1.5 대기업 1,223 +5.1 949 -0.9 중견기업 323 +7.0 284 +4.6 중소기업 298 +11.9 374 +8.5 ▲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잠정) (출처: 관세청,국가데이터처) 산업별 흐름과 향후 전망 산업별로는 전기전자(15.0%), 운송장비(9.3%) 등 제조업 중심의 수출이 늘며 회복세를 이끌었습니다. 반면 도소매업은 3.2% 감소했으나 수입은 10.2% 증가해 내수 소비 회복세를 반영했습니다. 향후 4분기에는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와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라 수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5년 3분기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자세히 보기

2025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270.0억달러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

이미지
  중소벤처기업부 는 2025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이 27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 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24년 1분기 이후 5분기 연속 증가세다.  주요 수출 품목은 화장품, 자동차,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으로, 특히 화장품과 자동차는 1분기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화장품은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에서 수출이 증가하며 수출 시장 다변화를 이루고 있으며, 자동차는 CIS 지역에서 한국산 중고차의 인기로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다.  주요 수출국 중 중국, 일본, 홍콩 등 6개국은 수출이 증가했으나, 미국, 베트남 등 4개국은 감소했다.  대미 수출은 화장품은 증가했으나, 이차전지 관련 장비 등의 수요 둔화로 전체적으로 감소했다.  한편, 3월부터 발효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조치로 해당 품목의 수출이 감소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소기업 수출은 주력 품목의 강세로 5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미국의 관세 조치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  정부는 중소기업의 관세 대응을 위한 추가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수출 호조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2025년 1분기 품목별 중소기업 수출액(단위 : 백만달러,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