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오디오북인 게시물 표시

소비자원, 오디오북 서비스 만족도, ‘재생기능’ 높고 ‘가격’ 낮아

이미지
최근 디지털 콘텐츠 및 스트리밍 서비스의 소비자 이용이 증가하면서, 오디오북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 이 오디오북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등을 조사한 결과, 재생기능에 대한 만족도는 높고 가격과 관련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오디오북 : 글자로 되어 있는 종이책 또는 전자책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 국내 오디오북 시장 규모(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등) : (2019년) 약 171억 원 → (2020년) 약 300억 원 추정 ■ 조사개요 o 조사대상 : 오디오북 서비스(상위 3개 사업자) 이용경험자 약 800명 * 밀리의 서재, 스토리텔, 윌라 오디오북(가나다순) ※ 구독형 월정액제 서비스 운영업체 중 앱 다운로드 수, 사용자 수, 오디오북 권수 등 기준 상위 3개 업체 o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2022.5.11. ∼ 5.18.) o 분석개요 : 만족도는 부문별 가중 평균 적용(5점 리커트 척도),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41%p ■ ‘재생기능’ 만족도 높고, ‘가격’ 만족도는 낮아 조사대상 3개 업체의 오디오북 서비스의 종합만족도는 평균 3.47점으로 다른 유사 콘텐츠 이용 서비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윌라 오디오북 3.49점, 스토리텔 3.46점, 밀리의 서재 3.45점 순이나, 업체 간 점수 차이는 오차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2020년 전자책(E-BOOK) 서비스 3.64점, 2021년 온라인 동영상(OTT) 서비스 3.55점 등 해당 서비스 업종의 특성을 반영해 평가하는 서비스상품 만족도의 6개 요인(가격, 가청도, 상품, 재생기능, 구매취소 및 환불, 부가기능) 중에서는 ‘재생기능’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3.68점으로 가장 높았고, ‘가격’ 만족도가 평균 3.24점으로 가장 낮았다. 서비스 품질 및 상품의 만족도를 구성하는 일부 세부 요인에서는 업체 간 점수에 차이가 있었다. 화면 구성의 이용 용이성·접근성 등을 평가하는 ‘효율성’과 재생기

‘2019 새로운 경기,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종이책)’ 공모

이미지
▲ 2019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사업 포스터 경기도 가 미 발간 도서 제작 지원을 통한 출판 산업 활성화를 위해 총 1억 2천만 원 규모의 ‘2019 새로운 경기,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종이책 분야)’ 공모를 26일부터 8월 13일까지 진행한다. 공모 주제와 분야는 제한이 없으며, 2020년 1월 이내 출간이 가능한 작품을 보유한 도내 중소출판사(대표자 포함 종사자 10인 이내)이면 신청 가능하다. 접수된 작품 중 총 12편을 선정, 편당 1,000만 원의 제작지원금을 지급하며, 이 중 저자 지원금은 300만 원, 출판사 지원금은 700만 원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총 15개 출판사를 지원했으나 올해는 종이책 분야로 12개를 지원하는 대신 독립출판물 오디오북 제작지원 분야를 신설, 8개를 지원한다. 지난해보다 5개가 추가된 총 20개 출판사가 혜택을 받게 될 예정이다. 오디오북 분야는 오는 8월 중 모집공고가 진행될 예정이다. 지난해 지원도서 15편 중 ‘고사성어로 보는 스토리 경제학’(글라이더)은 2019 (사)행복한아침독서(비영리 독서운동단체) 추천도서로 선정되었으며 ‘한나 아렌트 사유의 전선들’(두 번째 테제)은 교보문고 작은 출판사의 주목할 만한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 ‘조선 축구를 지켜라!’(청어람주니어)는 2019 아침독서신문 추천 도서로, ‘우리 괴물을 말해요’(제철소)는 2019 서울도서관의 한 도서관 한 책 읽기에 선정되었으며 다른 지원도서들도 저자 강연 초청과 인형극 공연을 진행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 조한경 경기도 콘텐츠정책과장은 “우수한 원고를 가지고 있지만 이를 책으로 발간하지 못하고 있는 중소출판사들이 많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도내 중소출판사에 보탬이 되길 바라며 도민들에게도 좋은 책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2019 새로운 경기,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종이책 분야)’ 공모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경기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 www.g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