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노인복지인 게시물 표시

2025 고령자 하루 일과 변화… 여가 늘고 일은 줄었다

이미지
고령자의 하루, 어떻게 달라졌을까? 2025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통계청 은 고령자의 일상생활에서 시간 활용의 뚜렷한 변화를 확인했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자는 하루 평균 12시간을 수면·식사 등 필수시간에, 약 5시간을 일이나 가사 같은 의무시간에, 그리고 7시간 이상을 여가에 사용하며 여가시간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줄어든 수면, 늘어난 미디어 이용 고령자의 수면시간은 평균 8시간 14분으로 5년 전보다 14분 감소했으며, 특히 평일에 더 많이 줄었습니다. 반면, 미디어를 이용한 여가시간은 4시간 6분으로 증가했습니다. 실시간 방송 시청은 여전히 많지만, 동영상 시청 시간이 큰 폭으로 늘어났고, ICT 기기 사용시간도 세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구분 2019년 2024년 변화량 필수시간 12시간 10분 11시간 59분 -11분 의무시간 4시간 59분 4시간 58분 -1분 여가시간 6시간 51분 7시간 3분 +12분 수면시간 8시간 28분 8시간 14분 -14분 미디어 이용시간 3시간 50분 4시간 6분 +16분 혼밥 증가와 비대면 소통 확산 아침과 저녁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상승했고, 대면 교제보다 음성이나 문자로 소통하는 비대면 교제활동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80세 이상 고령자의 비대면 교제시간은 지난 5년간 두 배 가까이 늘어나며 고령자의 소통 방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2025년 고령 인구 분포, 성비, 지역별 고령화 비율 세계 속 한국 ...

전국 총 12곳(1,313호), ‘고령자복지주택’ 공공임대주택 건설

이미지
▲ 고령자복지주택 선정지구 국토교통부 는 주거와 복지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고령자복지주택’ 사업에 대해 지자체 공모를 통해 서울 강북구, 강원도 평창군, 충남 예산군 등 전국에 총 12곳(1,313호)을 선정했다. 고령자복지주택은 65세 이상 저소득 어르신들이 주거지내에서 편리하게 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주택과 복지시설을 복합건설하는 공공임대주택이다. * 저층부에 복지시설(H/W)을 설치하고, 건강관리·생활지원·문화활동 등 프로그램(S/W) 운영을 연계 * 정부(50%), 지자체 및 사업시행자(50%) 이번 2019년 사업 대상지 선정을 위하여 지자체 등으로부터 지난 3월까지 임대주택 규모, 재원분담 방안, 사회복지시설 관리·운영계획 등을 포함한 사업후보지 제안을 받아, 제안서 검토, 현장조사 및 전문가 평가위원회를 통해 입지적정성, 수요타당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거쳤으며, 서울 강북구(100호), 강원도 홍천군(100호), 영월군(100호), 평창군(70호), 충청도 영동군(208호), 청양군(100호), 예산군(120호), 전라도 군산시(120호), 고창군(90호), 영암군(100호), 경상도 경주시(105호), 진주시(100호) 등 고령자 수요가 많은 곳에 총 12곳(1,313호)을 선정했다. 지역 여건을 고려한 고령자복지주택 및 복지시설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업 제안 단계부터 다양한 시설·운영계획을 제시토록 하였으며, 이번에 사업지로 선정된 곳은 연내 사업승인을 완료하고, ’2020년 착공하여 ’2021년부터 입주자모집을 거쳐 순차적으로 입주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 한국토지주택공사(LH) 청약센터( apply.lh.or.kr ) 또는 마이홈포털( www.myhome.go.kr ), 마이홈 전화상담실(1600-1004)에 문의하시면 청약정보를 받으실 수 있음 국토교통부 이병훈 공공주택총괄과장은 “사업지 선정을 통해 생활이 어렵고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과 지역 주민들이 보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생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