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일본뇌염인 게시물 표시

2025년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 예방수칙과 접종이 생명을 지킵니다

이미지
2025년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 소식 질병관리청 은 2025년 10월 14일, 올해 첫 일본뇌염 확진 환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환자는 30대로 최근 캠핑 중 모기에 물린 후 고열과 의식 저하 증상을 보여 입원 치료 중이며, 일본뇌염 항체 검사 결과로 확진되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작은빨간집모기가 10월까지 활발히 활동하므로 모기 물림에 주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는 접종 일정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본뇌염의 주요 위험 요인과 증상 일본뇌염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파되는 제3급 법정감염병으로, 감염 시 두통·발열 등 가벼운 증상부터 뇌염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에서 전체 환자의 약 88%가 발생하며,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사망률은 20~30%에 이릅니다. 주요 매개체인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돼지 축사 주변에서 주로 발생하며,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 활발히 흡혈 활동을 합니다. 예방접종 및 생활 속 예방법 현재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은 12세 이하 어린이로, 표준 일정에 따라 불활성화 백신 5회 또는 생백신 2회를 접종합니다. 또한 위험지역 거주자, 해외 유행국가 여행자, 장기 체류 외국인 등은 유료 접종이 권장됩니다. 야외 활동 시 밝은 색 긴 옷을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며, 집 주변의 고인 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도 주의보 발령 경보 발령 첫 환자 발생 환자 수 사망자 수 2021 3.22 8.5 8.30 23 5 2022 4.11 7.23 9.7 11 0 2023 3.23 7.27 9.6 17 2 2024 3.30 7.25 8.29 21 6 2025 3.27 8.1 10.14 1* - 향후 전망 10월은 일본뇌염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입니다. 올해는 기온이 평년보다 다소 낮아 모기 개체 수는 줄었으나, 전국적으로 매개모기가 여전히 확인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은 개인의 예방수칙 준수와 예방접종 참여가 ...

질병관리본부,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 발령

이미지
▲ 모기퇴치 국민행동수칙7 질병관리본부 는 모기감시 결과 부산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하루 평균 1,037마리(전체 모기의 71.2%) 채집됨에 따라 7월 22일 전국에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 * 경보발령 기준 중 “주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일 때”에 해당, 올해 첫 환자발생은 아직 없음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일본뇌염 경보가 발령되면 주변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본뇌염의 예방을 위하여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적기 예방접종을 시행하여야 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이 무증상 또는 경증을 나타내나, 일부에서는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 중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어,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 일본뇌염 환자의 250명 중 1명에서 증상 발현, 2018년 17명 발생 중 1명 사망 * 국내 일본뇌염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20건 내외로 발생하고 있으며, 신고된 환자의 90%가 40세 이상임 또한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하여야 한다. *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 https://nip.cdc.go.kr ) 또는 모바일 앱에서 확인 가능)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성인의 경우,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높은 대상자는 일본뇌염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 일본뇌염 생백신 1회 접종 후 감염 예방효과는 96% 이상 <성인 대상 일본뇌염 예방접종 기준> *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제주지역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견,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이미지
▲ 모기퇴치 국민행동수칙7 질병관리본부 는 제주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채집(4월 6일)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매년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사업(3~11월)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를 처음 발견한 때 발령하며, * 일본뇌염 예측을 위해 매년 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등 59개 조사 지점에서 공동으로 모기를 채집하여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생, 밀도 및 분포를 분석하는 사업으로,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을 위한 자료로 활용 현재 제주 이외 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며,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은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서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뇌염의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최근 10년간 일본뇌염 감시결과, 신고된 환자의 약 90%가 40세 이상으로 나타나 해당 연령층에서 예방접종 권장 대상자의 경우에는 접종을 완료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아동은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하여야 한다. * 만 12세 이하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https://nip.cdc.go.kr ) 또는 모바일 앱에서 확인 가능)에서 주소지에 관계없이 무료접종 가능 성인의 경우,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높은 대상자는 일본뇌염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성인 대상 일본뇌염 예방접종 기준> *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 중 ① 위험지역(논,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