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기후위기인 게시물 표시

경기연구원, ‘2050 탄소중립 실행하려면 지역 여건 따라 목표와 경로 다양하게 설계’

이미지
경기도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약 50% 증가하는 동안 서울시의 배출량은 감소하는 등 지역마다 다른 배출 여건을 고려해 ‘경기도형 탄소중립 실행전략’을 추진하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 은 <지역의 탄소중립, 목표 선언 넘어 실행이 중요!>를 발간하고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과 감축 여건, 경기도의 대응 방안을 살펴봤다. 우리나라는 226개 시·군·구가 ‘기후위기 비상선언’을 선포하는 등 탄소중립(배출되는 탄소와 흡수·제거되는 탄소량을 동일하게) 이행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방안, 예산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화성시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탄소중립 목표와 방향성에 대한 동의 수준이다. 이처럼 2050년 탄소중립을 이행하기 위해 광역·기초 지방정부가 유사한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역마다 온실가스 배출 특성과 감축 여건은 제각각인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연구원이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자료(2020년)를 재분석한 결과, 2018년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에서 온실가스 총배출량(소비 기준)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다. 경기도는 전국 17.9%인 약 1억3,000여만톤을 배출했다. 비슷한 인구 규모인 서울시(5,000여만톤)의 2.6배 수준이다. 경기도는 산업, 수송(도로), 건물 부문 배출량이 골고루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지역에서 2005년부터 2018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충남(증가율 129.4%), 제주(68.1%), 경기(50.5%), 광주(32.2%) 등 4곳은 국가 평균(29.7%) 보다 빠르게 증가했다. 다만 서울시는 같은 기간 0.7% 증가율을 보였는데 2018년 폭염에 따른 일시적 증가세를 제외하면 2013년 이후 감소세를 유지했다. 아울러 2011년 온실가스 배출량 정점을 기록한 서울, 대구, 강원에 비해 아직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나고 있는 경기, 충남, 제주의 경우 온실가스 감축 부담이 더 클 전망이다. 또한 지역 간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지역내총생산 10억원당 온

국립과천과학관, 기후 위기 기획전 개최

이미지
국립과천과학관 은 10월 27일(화)부터 12월 31일(목)까지 기후 위기의 심각성, 온실 가스 및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생활 속 실천 방법 등을 소개하는 ‘기후 위기, 당장 행동하라’ 기획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전에는 신재생 태양광 에너지와 풍력 에너지의 과학 원리를 이해하는 작동형 전시물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대기 중 이산화탄소 양을 줄이는 관객참여형(인터렉티브) 체험 영상이 설치되어 있다. 관람객은 가스 수집기를 사용하여 대기 중의 탄소 가스를 빨아들인 후 지하에 묻는 ‘탄소 가스를 빨아 들여라‘ 영상 체험으로 ’마이너스 에미션‘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 (마이너스 에미션) 대기 중 탄소 가스를 강제로 빨아들여 땅이나 바다에 묻고 제거하는 방법 ‘나의 멸종도감’ 코너에는 지구 온난화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의 군집 크기와 활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한반도의 기후 변화 예측에 유용한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표본도 전시한다. ※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계절에 따른 생물의 활동, 분포지역, 개체군 크기 변화 등이 기후 변화에 따라 뚜렷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100종을 지표화하여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조사·관리하는 생물종 체온 조절 시스템이 없어 다른 생물에 비해 기후변화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나비류와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어류 등을 탐구하면서 지구 온난화가 생물의 서식과 멸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자녀와 이야기해보는 의미 깊은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관람객이 전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시를 만들어가는 시민 참여형 전시공간도 마련하였다. ‘지구 온난화 진실에 대한 나의 생각’ 코너에서 지구 온난화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전시로 표현해 볼 수 있고,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한 생활 속 실천 방법을 협약서에 적은 후 사진 촬영도 하며, 대형 그림판 위에 깨끗해진 지구를 색칠하는 다양한 체험형 전시가 마련되어 있다. 11월 나들이 계획을 세우는 가족 단위 관람객이라면 눈여겨 볼만하다. 출처:  국립과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