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동차안전인 게시물 표시

현대·기아·BMW 등 26만 대 리콜… 전기차 화재 위험 포함

이미지
전기차 포함, 현대·기아 등 26만여 대 리콜 실시 국토교통부 는 2025년 10월 30일, 현대자동차·기아·BMW·스텔란티스코리아 등 4개사가 제작·판매한 총 57개 차종, 260,184대의 차량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리콜은 차량 화재나 시동 꺼짐, 주행 중 동력 상실 등 안전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들이 확인되면서 진행되는 조치입니다. 현대·기아, 전기차 BMS 결함으로 화재 가능성 현대차의 ‘포터Ⅱ Electric’ 85,355대와 기아의 ‘봉고Ⅲ EV’ 54,532대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소프트웨어 설계 미흡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두 회사는 10월 30일부터 순차적으로 무상 수리를 시행합니다. 또한 현대차 ‘투싼’, 기아 ‘셀토스’ 및 ‘스포티지’ 등 일부 내연기관 모델에서도 연료필터 설계 오류로 시동 꺼짐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이미 10월 29일부터 리콜이 진행 중입니다. 제조사 주요 차종 결함 원인 대상 대수 현대자동차 포터Ⅱ Electric, 투싼 등 BMS 소프트웨어 설계 미흡, 연료필터 오류 101,559대 기아 봉고Ⅲ EV, 셀토스, 스포티지 BMS 설계 미흡, 연료필터 오류 84,212대 BMW 520d 등 50개 차종 시동모터 수분 유입 71,010대 스텔란티스 짚그랜드체로키 엔진 감지부품 제조 불량 3,403대 자동차리콜센터 리콜 확인 및 향후 조치 차량 소유자는 자동차리콜센터( www.car.go.kr )에서 차량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하면 본인의 차량이 리콜 대상인지 즉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 자비로 수리한 경우, 해당 제작사에 수리비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향후 국토교통부는 제작 결함 관리 강화 및 리콜 정보 투명 공개를 통해 소비자 안전 확보에 더욱 힘쓸 계획입니다.

2025 대형 SUV 안전도 평가, 아이오닉9·팰리세이드·익스플로러 결과 공개

이미지
2025년 대형 SUV 안전도 평가 결과, 현대차 두 모델 ‘1등급’ 한국교통안전공단 과 국토교통부는 2025년 10월 23일 ‘대형 SUV 부문’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평가는 국내에서 판매 중인 현대 아이오닉9, 현대 팰리세이드, 포드 익스플로러 3개 차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충돌안전성·외부통행자안전성·사고예방안전성 세 분야를 기준으로 종합등급을 산정했습니다. 현대 아이오닉9·팰리세이드 ‘1등급’, 포드 익스플로러 ‘5등급’ 평가 결과, 현대차의 아이오닉9과 팰리세이드가 모든 항목에서 별 5개를 받아 종합 ‘1등급’을 획득했습니다. 특히 아이오닉9은 충돌안전성 90.1%, 외부통행자안전성 86.0%, 사고예방안전성 90.0%로 ‘매우 우수’ 평가를 받았습니다. 반면 포드 익스플로러는 충돌안전성 ★★★(76.4%), 외부통행자안전성 ★★★★(81.5%), 사고예방안전성 ★(40.0%)으로 종합 ‘5등급’에 머물렀습니다. 차종 충돌안전성 외부통행자안전성 사고예방안전성 종합등급 현대 아이오닉9 ★★★★★ (90.1%) ★★★★★ (86.0%) ★★★★★ (90.0%) 1등급 현대 팰리세이드 ★★★★★ (85.3%) ★★★★★ (79.0%) ★★★★★ (80.5%) 1등급 포드 익스플로러 ★★★ (76.4%) ★★★★ (81.5%) ★ (40.0%) 5등급 안전도 강화와 향후 전망 공단 관계자는 “자율주행 및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대비해 사고예방안전성 평가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오는 11월에는 중형 픽업 부문(기아 타스만, KGM 무쏘EV)의 평가 결과도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번 결과는 대형 SUV를 고려하는 소비자에게 중요한 안전 정보가 될 것입니다. 2025년 대형 SUV 안전도 평가 자세히 보기

자동차 안전·친환경 3대 제도 개정…페달오조작방지부터 전기차 배터리까지

이미지
국토교통부, 자동차 안전·친환경 기준 3대 제도 개정 추진 국토교통부 는 국민 안전과 친환경차 활성화를 위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2025.10.24.~12.23.) 했습니다. 이번 개정은 급발진 사고를 막는 ‘페달오조작방지장치’ 의무화, 전기차 배터리의 ‘잔존수명 표시장치’ 의무화, 그리고 전기·수소 트랙터 길이 기준 완화 등 총 세 가지 주요 제도 개선이 핵심입니다. 페달오조작방지장치 의무화 2029년부터 신형 승용차에는, 2030년부터는 3.5톤 이하 승합·화물·특수차에도 ‘페달오조작방지장치’ 장착이 의무화됩니다. 운전자가 실수로 급가속 페달을 밟을 때 차량이 전·후방 1~1.5m 범위의 장애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출력을 제한하여 사고를 방지합니다. 이는 2025년 발효되는 국제기준(UN R175)과 동일한 수준으로, 주차장 급발진이나 골목길 충돌 사고를 크게 줄일 전망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잔존수명 표시장치 의무화 전기차 사용자의 가장 큰 불안 요소 중 하나가 배터리 성능 저하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 배터리의 잔존수명(State of Health)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배터리 잔존수명 표시장치’ 설치를 의무화합니다. 이를 통해 중고 전기차 거래의 투명성이 높아지고, 재사용·재제조 등 2차 배터리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기·수소 트랙터 길이 기준 완화 기존 경유 트랙터는 16.7m로 제한되어 있었으나, 전기·수소 트랙터의 배터리·수소용기 배치 특성을 고려해 19m까지 허용됩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 화물차 보급이 한층 확대되고, 운송 효율성과 탄소 저감 효과가 동시에 기대됩니다. 또한 자동차 전후면 등화장치에 제작사 상표를 결합할 수 있도록 규정을 완화해 브랜드 식별성과 기술 개발을 지원합니다. 정책 구분 시행 시기 적용 대상 핵심 효과 페달오조작방지장치 2029~2030 승용·3.5톤 이하 차량 급발진 사고...

급발진 의심사고, 페달 블랙박스로 원인 규명할 수 있을까?

이미지
서울시 14개 택시 운수회사 155대 차량에 페달 블랙박스가 시범 장착되었습니다. 급발진 의심사고와 페달 오인 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이번 시범사업은 한국교통안전공단 (이하 TS)이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운전자의 페달 오인 행동 패턴 분석 등 안전한 운전 환경 조성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 페달 블랙박스 설치 모습 페달 블랙박스의 필요성과 시범사업 배경 급발진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페달 블랙박스가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TS는 서울시 14개 택시 운수회사에 페달 블랙박스를 시범 장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번 사업은 운전자의 페달 오인 사고를 예방하고, 급발진 의심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페달 블랙박스 장착 사진 급발진 의심사고 원인 규명 페달 블랙박스는 운전 중 페달 조작을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급발진 의심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고 원인을 명확히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사고 발생 시 차량의 페달 밟기 정도, 속도, 브레이크와 가속 페달 사용 기록 등을 통해 사고의 원인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택시 운전자뿐만 아니라 일반 운전자들에게도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으며, 차량 제조사의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입니다. 운전자의 페달 오인 사고 예방 운전 중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혼동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사고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페달 블랙박스는 이러한 운전자의 실수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되며, 운전자가 페달을 잘못 밟아 사고가 나는 경우를 사전에 감지하고, 경고를 통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해당 상황을 영상과 음성으로 기록하여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사고 후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유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데이터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기대효과와 향후 전망 페달 블랙박스의 도입은 급발진 의심사고와 페달...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