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수도권부동산인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전국 주택건설 동향 한눈에 보기

이미지
2025년 8월 주택건설 현황 요약 2025년 8월 기준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주택 인허가는 17,176호로 전월 대비 6.6% 증가 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 39.9%나 감소했습니다. 특히 수도권은 53.5%나 감소한 반면, 지방은 22% 줄어드는 데 그쳐 지역 간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아파트와 비아파트 간 공급 격차와 함께 주택 수급 불균형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주택 착공·분양 현황 분석 같은 달 착공 물량은 16,304호로 전월 대비 23.8% 감소했고, 분양 승인 물량 역시 16,681호로 26.7% 줄어들며 전반적인 주택 공급이 위축된 모습입니다. 특히 수도권 착공은 9,012호로 15.8% 감소했고, 지방은 31.8% 급감했습니다. 분양 승인 또한 서울의 경우 전년 대비 42.8% 줄어들었고, 인천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전반적인 공급 불균형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항목 8월(2025) 8월(2024) 전년대비 증감 인허가 17,176호 28,586호 ▼39.9% 착공 16,304호 29,227호 ▼44.2% 분양 16,681호 16,077호 ▲3.8% 준공 20,018호 42,391호 ▼52.8% 준공 현황과 지역별 격차 8월 준공된 주택은 20,018호로 전월 대비 21.7%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수도권은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하며 강한 입주 수요를 보여주었습니다. 서울의 아파트 준공은 218.7% 증가하며 눈에 띄는 회복세를 보였으나, 지방은 10.4% 감소하며 여전히 침체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도권 쏠림 현상이 공급단계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전반적으로 주택 인허가부터 착공, 분양, 준공까지 모든 단계에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 중심의 공급 감소는 실수요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

2025년 8월 전국 미분양 주택 66,613호 전월 대비 7.0% 증가

이미지
2025년 8월, 미분양 주택 6만6천 세대 넘겨 2025년 8월 말 기준,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66,613호로 집계되어 전월보다 7.0%(4,369호) 증가했습니다. 이는 3개월 만에 다시 6만6천 호를 넘긴 수치로,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수도권·지방 모두 증가… 준공 후 미분양도 여전 수도권 미분양은 14,631호로 전월 대비 10.1% 증가했고, 지방은 51,982호로 6.2% 늘어났습니다. 특히 서울은 1,106호로 7.1% 증가, 경기도는 12.8% 급등했습니다. 준공 후에도 미분양 상태인 주택은 27,584호로 전월보다 1.9% 증가해 완공 후에도 분양이 안 되는 구조적 문제도 엿보입니다. 전용 85㎡ 초과 대형 주택 미분양 급증 전용면적 85㎡ 초과 주택의 미분양은 11,361호로 전월 대비 11.8% 증가했으며, 중소형 주택(85㎡ 이하)도 6.1% 증가했습니다. 수요자 중심의 실수요 위주 시장에서 대형 주택은 상대적으로 외면받고 있는 셈입니다. 구분 2025년 7월 2025년 8월 증감률 전국 62,244 66,613 +7.0% 수도권 13,283 14,631 +10.1% 지방 48,961 51,982 +6.2% 준공 후 미분양 27,057 27,584 +1.9% 미분양 장기화 우려… 정책 전환 필요성 대두 현재 추세라면 미분양은 연말까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급 위주 정책보다는 수요 회복을 위한 금융 완화, 실수요자 지원책 강화 등이 절실해 보입니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 장기화는 건설사의 자금난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시장 안정화를 위한 신속한 대응이 요구됩니다.

2025년 8월 주택거래량, 수도권·서울 모두 큰 폭 하락…왜?

이미지
2025년 8월, 전국 주택거래량이 뚝 떨어졌습니다 올해 8월,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46,252건으로, 전월 대비 28.0%, 전년 동월 대비 2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서울의 거래량은 무려 44.1% 줄며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주택 시장의 변화가 어떤 흐름을 보이는지, 주요 지표를 중심으로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수도권 중심의 거래 급감… 서울은 반토막 2025년 8월 수도권 매매거래량은 21,673건으로 전월 대비 37.5% 줄었으며, 서울은 7,293건으로 44.1% 감소했습니다. 이는 최근 5년 평균 대비로도 22.8% 낮은 수치입니다. 아파트 거래량만 보면 서울은 51.0%나 급감하며 주택 수요 위축이 확연히 드러났습니다. 반면 1~8월 누계 기준으로는 전국적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해, 상반기 거래가 많았음을 보여줍니다. 전월세 거래는 주춤, 월세 비중은 계속 상승 전월세 거래량은 213,755건으로 전월 대비 12.4%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보다는 2.1% 증가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월세 비중이 62.2%에 달해 2021년(42.6%)보다 20%p 가까이 늘었다는 점입니다. 특히 지방의 비아파트 월세 비율은 83.2%에 육박하며 주거 형태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구분 ’25.8월 거래량 전월比 전년동월比 전국 매매 46,252건 △28.0% △23.7% 서울 매매 7,293건 △44.1% △33.7% 전국 전월세 213,755건 △12.4% +2.1% 월세 비중 62.2% 전년比 +4.8%p 5년...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3% 상승, 전세 0.04% 상승

이미지
2025년 9월 넷째 주, 아파트값 어디로 향하나? 2025년 9월 22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이 소폭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3%, 전세가격은 0.04% 각각 오르며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수요가 살아나고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단지와 역세권 중심의 거래가 활발하게 나타났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상승, 지방은 주춤 서울은 0.19% 상승하며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성동·마포·광진구 등 인기 지역에서 거래가 활발했고, 경기 성남 분당구(0.64%), 광명시(0.24%)도 상승세를 탔습니다. 반면 대구(-0.06%), 제주(-0.05%) 등 일부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전세도 매물 부족에 상승세 지속 전세가격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 중입니다. 서울은 0.09% 상승하며 양천·송파·서초구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고, 경기 하남시(0.19%), 광주시(0.22%)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제주(-0.05%)와 강원(-0.03%) 등은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전망 추석 연휴 이후 관망세가 일부 해소되며, 수도권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값 상승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다만 지방은 수요 회복이 더딘 만큼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발표를 통해 향후 흐름을 꾸준히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2025년 7월 주택건설 실적, 인허가·착공 모두 감소세

이미지
주택건설 전반 실적, 전월 대비 큰 폭 하락 2025년 7월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이 전월 대비 42.5% 감소한 16,115호로 집계되며, 착공(21,400호), 준공(25,561호) 실적 역시 각각 25.9%, 36.3% 감소했습니다. 이는 계절적 요인과 경기 위축 등의 복합적 영향으로 보이며, 주택 공급 전반에 다소 위축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국토교통부 는 관련 통계를 통해 이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수도권과 지방, 엇갈린 흐름 보여 수도권 인허가는 전월보다 28.4% 줄었지만, 서울은 오히려 14.6% 증가했습니다. 반면 지방은 56.2% 감소하며 뚜렷한 침체 양상을 보였고, 착공 실적은 수도권이 크게 감소한 데 반해 지방은 오히려 증가하는 등 지역 간 명확한 온도 차를 나타냈습니다. 분양만이 유일한 상승세 7월 분양 승인 물량은 22,752호로 전월 대비 51.9% 늘며 유일하게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경기도에서 657.3%의 급증을 보였으며, 임대주택은 전월 대비 518.3% 증가한 3,957호로 급증했습니다. 이는 분양 시장이 회복 가능성을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향후전망 전반적인 주택공급 지표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분양 시장이 활기를 띠며 하반기 회복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금리 안정과 정책적 지원이 병행된다면, 인허가 및 착공 실적도 점차 회복세에 접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5년 7월 주택 거래, 감소세 속 수도권·월세 비중 증가

이미지
2025년 7월, 주택시장 흐름이 바뀌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4,235건으로 전월 대비 13.0%, 전년동월 대비 5.9% 감소하였습니다. 거래 감소는 특히 수도권에서 두드러졌으며, 서울은 전월 대비 15.5% 줄었으나 전년보다는 소폭 증가한 모습입니다.     전월세 거래는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전월세 거래는 243,983건으로 전월 대비 0.7%, 전년동월 대비 11.8% 늘어났습니다. 특히 월세 거래량은 155,917건으로 전년대비 28.0% 급증하였으며,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61.8%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임대차 수요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 중심의 회복 조짐 수도권 아파트 매매는 전년 동월 대비 14.6% 감소했지만, 1~7월 누계로 보면 25.5% 증가하여 회복 흐름이 감지됩니다. 서울 아파트는 같은 기간 51.3%나 늘어났습니다. 수도권 비아파트 거래도 소폭 증가하여 시장 내 다양한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향후전망 하반기에는 금리 동향과 정책 변화에 따라 거래량에 변동성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수도권과 서울 중심의 거래 회복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월세 비중 증가 추세도 지속될 전망입니다. 시장의 흐름을 면밀히 살펴보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7월 미분양 주택 6만2천호…수도권·지방 모두 감소세

이미지
2025년 7월 미분양 주택, 다시 감소세 전환 국토교통부 가 발표한 2025년 7월 말 기준 자료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 수는 총 62,244호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월보다 2.3% 감소한 수치로, 연초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 2025년 7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수도권·지방 모두 감소…준공 후 미분양은 증가 수도권의 미분양은 13,283호로 전월 대비 4.7% 줄었으며, 지방도 48,961호로 1.7%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7,057호로 1.3% 증가해, 공급 이후에도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이 일부 지역에서 지속되고 있습니다. 서울은 오히려 소폭 증가했고, 경기는 5.2% 줄어든 모습이 눈에 띕니다. 면적별 격차 뚜렷…대형 평형은 증가 85㎡를 초과하는 대형 평형 미분양 주택은 전월보다 4.3% 증가한 10,166호로 집계된 반면, 85㎡ 이하 소형 평형은 3.5% 감소한 52,078호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실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접근 가능한 중소형 주택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택시장 향후 전망 전국적으로 미분양 물량이 감소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부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증가와 대형 평형의 누적은 주택시장 회복이 지역과 면적에 따라 상이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향후 금리 변화와 정책 방향에 따라 미분양 흐름은 유동적일 수 있으며, 예의주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0% 보합, 전세 0.02% 상승

이미지
아파트값, 보합세 속 상승과 하락 혼재 2025년 8월 4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0%로 보합을 유지했고, 전세가격은 0.02% 소폭 상승 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은 재건축 단지와 정주여건이 좋은 지역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경기 상승세, 지방은 지역별로 엇갈려 서울은 0.08%, 경기는 0.01% 상승했으며, 강남·강북 모두 재건축과 학군지 위주로 올랐습니다. 반면 강원(-0.08%)과 대구(-0.04%) 등 일부 지방은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전세시장도 안정세, 일부 지역 상승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02% 상승했고, 서울은 0.06% 올라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한 모습입니다. 수도권 외 세종, 울산 등도 상승 전환되며 전세시장은 점차 안정세로 접어드는 분위기입니다. 향후전망 매매와 전세 모두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정주여건이 우수한 지역은 추가 상승 가능성도 있습니다. 시장은 지역별로 차별화되는 흐름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2025년 8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0% 보합,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8월 셋째 주, 아파트 시장은 안정세를 이어갑니다 한국부동산원 의 발표에 따르면 2025년 8월 18일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0% 보합세를 보였고, 전세가격은 0.01% 소폭 상승하며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울은 여전히 재건축 및 인기 단지 중심으로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지방은 지역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5년 8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과 수도권은 소폭 상승, 지방은 지역 차별화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이어졌으나, 지난주보다 상승폭은 줄었습니다(0.10%→0.09%). 수도권 전체도 상승폭이 축소되었고, 경기 지역은 보합 전환되었습니다. 반면 지방은 -0.02% 하락하며 강원, 제주, 전남 등 일부 지역에서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전세 시장은 서울과 수도권이 상승세를 유지했고, 지방은 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향후전망 8월 말까지 거래 비수기와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금리와 공급 요인에 따라 하반기 시장 흐름이 달라질 전망입니다. 특히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지역 중심의 국지적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전세 시장은 계절적 수요 증가로 인해 소폭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6월 주택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실적

이미지
2025년 6월, 주택 건설 지표 반등 국토교통부 의 발표에 따르면, 2025년 6월, 국내 주택 인허가와 착공 물량이 전월 대비 크게 증가하며 주택 건설 시장이 다시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 중심으로 인허가와 착공 모두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으며, 이는 향후 주택 공급 확대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 2025년 6월 주택 건설: 한눈에 보는 전국 주택건설실적     수도권 중심 반등, 그러나 연간 누계는 하락세 전국 인허가는 2만8천여 호로 전월 대비 37.2% 증가했고, 착공은 2만8천8백여 호로 무려 89.8% 증가했습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은 각각 40% 이상, 일부는 100% 이상 상승하며 수도권 수요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올해 누계 인허가와 착공은 여전히 전년 대비 각각 7.6%, 18.9% 감소하여 연간 회복세는 더딘 상황입니다. 향후전망 단기적으로는 수도권 공급 확대로 인해 시장의 숨통이 트일 전망이나, 지방의 감소세는 주택 공급 불균형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습니다. 정부의 안정적인 공급 정책과 지역 간 균형 잡힌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서울 0.43% 급등의 의미는?

이미지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상승세, 서울은 왜 유독 올랐을까? 한국부동산원 이 6.23일 기준 발표한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6%, 전세가격은 0.02% 상승 했습니다. 수치는 작지만 의미는 큽니다. 특히 서울은 0.43%로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죠.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 0.06% 상승. 상승 지역은 71곳, 하락 지역은 97곳으로 하락 지역이 여전히 많습니다. 수도권 : 0.16% 상승. 서울 0.43%, 경기 0.05%, 인천 0.01%로 서울의 영향력이 큽니다. 지방 : -0.03% 하락 지속. 대구, 광주, 경북 등은 하락폭이 확대되었습니다. → 해석: 서울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이 시장을 이끄는 상황입니다. 강남 0.54%, 강북도 0.31% 상승하며 가격 회복세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 전국 : 0.02% 상승. 지난주보다 상승폭 확대 수도권 : 0.04% 상승. 서울 0.09%, 경기 0.03%, 인천 0.00%로 보합 지방 : -0.01% 하락. 다만 세종시는 0.13%로 이례적 상승 → 해석: 전세 시장도 서울 중심으로 반등 중입니다. 대단지, 역세권 중심으로 '임차인 매물 선택권'이 줄고 있습니다. 그래프가 보여주는 진짜 신호 아래 이미지는 매매/전세가격이 다시 우상향 곡선을 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최근 1년간 전국 평균은 거의 '플러스 전환' 상태입니다. ▲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또 다른 그래프를 보면, 상승 지역이 다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격 하락 국면이 마무리되고 있다는 시장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지금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 2025년 6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을 보면 일부 지역은 분명히 반등 조짐이 보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