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경제동향인 게시물 표시

수출입 현황 2024년 10월 1~10일: 수출 33% 급증! 수입은 왜 3%만 증가?

이미지
2024년 10월 초, 한국의 수출입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놀랍게도 수출은 전년 대비 33%나 증가하며 153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수입은 3% 증가에 그치며 175억 달러에 머물렀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한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주요 품목별 수출입 변화와 주요 국가별 동향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이유들을 간단하게 풀어보겠습니다. KOSIS통계보기 ▲ 2024년 10월1일~1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단위:백만 달러,%) ※ 조업일수[(2023)4.5일,(2024)5.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3.10.)25.5,(2024.10.)27.8억 달러] 9.0% 증가 주요 품목별 수출입 현황 10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 품목을 살펴보면, 반도체와 승용차, 선박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이 두드러졌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무려 45.5%나 증가해 3,065억 달러에 달했으며, 승용차 수출도 28.9% 상승해 1,39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선박은 265%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석유제품과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각각 23.6%, 9.7% 감소하며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수입 측면에서는 반도체가 18.8% 증가했으며, 가스 수입도 16.4%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에너지 관련 수입품인 원유와 석유제품은 각각 20.7%, 4.9% 감소했습니다. 이는 최근 국제 유가 하락과 에너지 수요 감소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전체적으로 에너지 수입액은 13.1% 줄어든 것이 특징적입니다. 주요 국가별 수출입 동향 국가별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 미국, 베트남 모두 수출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중국에 대한 수출은

산업활동동향 2024년 8월: 광공업 성장과 소매 판매 증가

이미지
2024년 8월의 산업 활동 동향은 한국 경제의 다양한 변화를 보여줍니다. 이번 달은 광공업과 서비스업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졌으며,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 산업이 높은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설비 투자와 건설 경기는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전체적인 생산 지표는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 활동은 글로벌 경제 상황과 맞물려 한국 경제의 향후 흐름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산업별 동향과 미래 경제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전 산업 생산 동향 2024년 8월 전 산업 생산은 광공업과 서비스업의 성장에 힘입어 전월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가 높은 성과를 기록하며 생산량 증대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이 같은 성장세는 글로벌 시장 수요 증가와 제조업계의 꾸준한 기술 혁신 덕분으로 분석됩니다. 이와 같은 생산 증가는 한국 경제의 지속적인 회복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광공업 및 제조업 동향 광공업 생산은 4.1% 상승하며 전월 대비 큰 폭의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제조업 역시 자동차와 반도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3.8% 증가했습니다. 자동차 부문에서는 하이브리드와 중형 승용차의 수요가 급증하였고, 반도체 부문은 시스템 반도체와 D램 생산이 호조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통신·방송 장비와 전기장비 부문에서는 여전히 생산량이 감소하여 향후 대비가 필요합니다. 서비스업과 소매 판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 대비 0.2% 증가하였으며,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특히 높은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소매 판매는 전월 대비 1.7% 증가하였으며, 주로 승용차와 음식료품의 판매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러한 소비 회복세는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소비 패턴 변화에 따라 더 큰 성장이 예측됩니다. 설비 투자 및 건설 경기 설비 투자는 전월 대비 5.4%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운송 장비에 대한 투자가 급감하

수출입 현황: 2024년 9월 1일~20일 수출 1.1% 감소, 수입 4.5% 감소

이미지
2024년 9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면, 수출은 356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으며, 수입은 348억 달러로 4.5% 감소했습니다. 주요 품목으로는 반도체와 컴퓨터 주변기기의 수출이 크게 증가한 반면, 승용차와 석유제품의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KOSIS통계보기 수출 현황 1.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 2024년 9월 1일에서 20일까지의 수출 주요 품목 중 반도체는 26.2% 증가하여 7,48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출에서 21.0%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반면, 승용차 수출은 8.8% 감소한 2,976백만 달러, 석유제품 수출은 5.0% 감소한 2,849백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컴퓨터 주변기기는 75.6% 증가한 764백만 달러로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반도체: 7,481백만 달러 (26.2% 증가) 승용차: 2,976백만 달러 (8.8% 감소) 석유제품: 2,849백만 달러 (5.0% 감소) 컴퓨터 주변기기: 764백만 달러 (75.6% 증가) 자동차 부품: 1,128백만 달러 (13.3% 감소) 선박: 1,045백만 달러 (9.3% 감소) 2. 주요 국가별 수출 변화 주요 국가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중국과 대만에 대한 수출이 각각 2.7%, 79.8% 증가한 반면, 미국과 유럽연합으로의 수출은 각각 5.9%, 15.1% 감소했습니다. 상위 3국(중국, 미국, 유럽연합)에 대한 수출 비중은 49.0%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7,703백만 달러 (2.7% 증가) 미국: 6,173백만 달러 (5.9% 감소) 유럽연합: 3,551백만 달러 (15.1% 감소) 베트남: 3,325백만 달러 (1.2% 증가) 대만: 1,991백만 달러 (79.8% 증가) 수입 현황 1. 주요 품목별 수입 실적 2024년 9월 1일에서 20일까지의 수입 주요 품목 중 반도체 수입은 17.4% 증가한 4,449백만 달러, 가스 수입은 0.2% 증가한 1,591백만 달

한국은행, 2021년 1월 최근 국내외 경제동향

이미지
Ⅰ. 세계경제 1. 주요국 경제동향 (미국) 소비와 고용을 중심으로 경기 회복세가 주춤 * 2020.12월중 취업자수는 5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 (유로지역)소비 부진으로 경기가 둔화 (중국)내수와 수출 모두 견조한 회복세를 지속 (일본)미약한 경기흐름을 지속 2. 국제유가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배럴당 50달러대 중반 수준으로 상승 백신 접종 개시로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OPEC+의 생산량 조절, 미 원유생산 감소 등으로 수급 상황도 개선 * OPEC+는 21.1월 이후 당초 계획(190만배럴 증산)을 크게 하회하는 50만배럴 증산에 합의(20.12.3일)하였으며 이와 별개로 사우디아라비아는 100만배럴 규모의 추가 감산 계획을 발표(1.5일) * 시추활동 위축에 주로 기인하며 앞으로도 바이든 신정부의 친환경기조 등으로 크게 늘어나기 어려울 전망 Ⅱ. 국내경제 1. 내수 및 대외거래 ◆ 소매판매 감소, 투자 및 수출 증가 지난해 11월중 소매판매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가 늘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와 승용차 등 내구재가 줄면서 전월대비 0.9% 감소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줄었으나 기계류가 늘어 3.6% 증가 건설기성은 토목이 줄었으나 건물이 늘어 2.1% 증가 12월 중 수출(514.1억달러, 통관기준)은 반도체, 선박을 중심으로 전년동월대비 12.6% 증가(일평균 7.9%) 11월 중 경상수지(89.7억달러)는 전년동월(59.7억달러)에 비해 흑자규모가 확대 2. 생산활동 및 고용 ◆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 증가, 취업자수 감소 지난해 11월중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 화학제품 등이 줄었으나 반도체, 전자부품 등이 늘면서 전월대비 0.3% 증가 11월중 서비스업 생산은 숙박·음식, 도소매 등이 줄었으나 금융·보험, 운수·창고 등이 늘면서 전월대비 0.7% 증가 12월중 취업자수는 전년동월대비 62.8만명 줄어 전월(-27.3만명)에 비해 감소폭이 크게 확대 전월대비(계절조정)로는 24.8만명 감소 실업률(계절조정)은 4.6%로 전월(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