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전세가격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1월 2주차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동향 요약

이미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요약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2025년 11월 2주차(11.10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6%, 전세가격은 0.08% 상승했습니다. 수도권은 0.11% 상승하며 서울(0.17%), 경기(0.10%), 인천(0.04%) 모두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방은 전체적으로 0.01% 상승으로, 전북·울산 지역이 두드러졌습니다. 전반적으로 거래는 한산하지만 선호 단지 중심으로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매매시장: 서울 강세, 지방은 혼조세 전국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주보다 소폭 둔화되었으나 상승세는 지속 중입니다. 서울은 0.17%로 송파·동작·용산·성동구 등 재건축 및 인기 단지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경기에서는 분당(0.58%)과 과천(0.40%)이, 지방에서는 전북(0.11%)과 울산(0.11%)이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지역 매매 변동률(%) 전국 0.06 수도권 0.11 서울 0.17 경기 0.10 지방 0.01 전세시장: 수도권 중심 안정적 상승세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08% 상승하며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서울은 0.15% 상승으로 강남권 학군지 및 역세권 수요가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경기(0.10%)는 영통·분당·하남이 상승을 주도했고, 세종(0.49%)은 정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지역 전세 변동률(%) 전국 0.08 수도권 0.11 서울 0.15 경기 0.10 세종 0.49 ▲ 2025년 11월 둘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 2025년 11월 둘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 전망 연말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은 거래 위축 속에서도 수도권 중심의 완만한 상승세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매매는 재건축 기대감과 실수요 중심으로 움직이고, 전세는 학군·입지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금리 변동 및 공급 일정에 따라 지역별 차별화...

2025년 11월 첫째주 아파트값 동향, 매매·전세 모두 소폭 상승

이미지
2025년 11월 1주 아파트 가격 흐름 요약 한국부동산원 이 발표한 2025년 11월 1주(11월 3일 기준)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전세가격은 0.08% 상승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은 재건축 추진 단지와 대단지 아파트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고, 지방은 하락세에서 보합 또는 상승으로 전환된 지역이 늘었습니다. 이번 주 시장은 거래량은 다소 줄었으나, 실수요 중심의 안정적 상승 흐름이 지속된 모습입니다. 매매가격 동향: 수도권 강세 속 상승지역 확대 전국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07%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19% 상승하며 강북·강남 모두 재건축 단지 위주로 오름세를 보였고, 수도권 전체는 0.13% 상승했습니다. 지방은 0.01% 상승하며 보합에서 상승 전환했습니다. 특히 전북, 울산, 경기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지방 변동률(%) 0.07 0.13 0.19 0.01 상승 지역 수는 106개로 전주보다 11개 증가했으며, 하락 지역은 64개로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국적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2025년 11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 동향: 수도권 수요 꾸준, 세종 강한 반등 전국 전세가격은 0.08% 상승하며 지난주(0.07%)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서울은 0.15%, 수도권은 0.11% 상승했고, 세종시는 0.36%로 큰 폭의 반등을 보였습니다. 특히 서울 송파구(0.34%), 강동구(0.28%), 양천구(0.27%) 등 인기 대단지 지역의 전세가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세종 변동률(%) 0.08 0.11 0.15 0.36 매물 부족과 역세권·신축 단지 중심의 수요가 이어지며 임대시장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5년 11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 ...

2025년 10월 4주 아파트 매매·전세 모두 상승세…수도권 강세 지속

이미지
10월 4주차 전국 아파트가격 동향 요약 한국부동산원 은 2025년 10월 4주(10월 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은 모두 0.07% 상승하며, 전반적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재건축 단지 및 주요 입지 아파트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지방은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매매 시장 동향 전국 매매가격은 0.07%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2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경기(0.12%)와 인천(0.02%)도 소폭 올랐습니다. 수도권은 0.14%로 상승세를 이어갔고, 지방은 보합(0.00%)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서울에서는 송파·동작·강동구 등 재건축 및 대단지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고, 세종·제주는 약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구분 전주(10.20) 금주(10.27) 비고 전국 0.12% 0.07% 소폭 상승 서울 0.50% 0.23% 재건축 단지 중심 상승 경기 0.16% 0.12% 분당·과천 등 강세 지방 0.00% 0.00% 보합 유지 전세 시장 동향 전국 전세가격은 0.07% 상승하며 2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서울(0.14%), 경기(0.09%), 인천(0.05%) 모두 상승했으며, 수도권 평균은 0.10%를 기록했습니다. 서울은 매물 부족과 수요 지속으로 대단지·역세권 중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구분 전주(10.20) 금주(10.27) 비고 전국 0.06% 0.07% 완만한 상승 서울 0.13% 0.14% 대단지 중심 상승 경기 0.09% 0.09% 안정적 상승 지방 0.03% 0.03% 보합 유지 ▲ 2025년 10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 2025년 10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 전망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 기대감과 거래심리 회복이 맞물리며 수도권 중심의 완만한 상승세가 당분간 이...

2025년 3분기 오피스텔 매매·전세·월세 동향

이미지
2025년 3분기 오피스텔 시장 개요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전국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전분기 대비 0.39% 하락 , 전세가격은 0.20% 하락 , 월세가격은 0.30% 상승 했습니다. 수도권은 전체적으로 하락폭이 줄었으며, 서울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최근 1~2인 가구 증가와 주거 대체재로서의 오피스텔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매매시장 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평균 -0.39% 로, 지방 하락폭이 확대되며 전체 시장을 끌어내렸습니다. 수도권은 -0.32%, 서울은 +0.11%로 상승 전환되었으며, 지방은 -0.65% 하락했습니다. 서울은 아파트 가격 상승 영향으로 중대형 오피스텔 중심의 수요가 늘었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지방 매매가격 변동률(%) -0.39 -0.32 0.11 -0.65 평균 매매가격(천원) 221,315 238,500 277,597 154,082 전세시장 동향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20% 로 전분기보다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서울은 +0.07% 로 상승 전환하며, 교통 여건이 좋은 역세권과 대학가 중심으로 수요가 유지되었습니다. 반면, 지방은 신축 공급 증가로 인해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지방 전세가격 변동률(%) -0.20 -0.17 0.07 -0.32 평균 전세가격(천원) 176,572 191,623 220,967 117,687 월세시장 동향 월세는 전국 평균 0.30% 상승 으로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서울은 0.53% 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전세사기 우려로 월세 선호현상이 강해졌습니다. 울산과 광주 등 지방도 지역 산업 종사자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구분 전국 수도권 서울 지방 월세가격 변동률(%) 0.30 0.32 0.53 0.22 평균 월세가격(천원...

2025년 10월 3주차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상승세 분석

이미지
2025년 10월 3주차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 요약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2025년 10월 3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전세가격은 0.06% 상승했습니다. 서울(0.50%)과 수도권(0.25%)이 상승세를 주도했으며, 지방은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서울의 강남·강북 주요 지역에서 재건축과 대단지 중심의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매매 시장 동향 전국 매매가격은 0.12%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50%, 경기 0.16%, 인천 0.02%로 수도권이 상승을 이끌었으며, 지방은 0.00% 보합을 유지했습니다. 강동·광진·성동·분당·과천 등 인기 지역은 1% 이상 상승했습니다. 지역 매매 변동률(%) 전국 0.12 서울 0.50 수도권 0.25 지방 0.00 전세 시장 동향 전국 전세가격은 0.06% 상승했습니다. 서울(0.13%)과 경기(0.09%)에서 매물 부족 현상이 이어지며 상승세를 유지했습니다. 세종은 0.26%로 상승폭이 가장 컸고, 제주(-0.05%)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지역 전세 변동률(%) 전국 0.06 서울 0.13 수도권 0.09 세종 0.26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향후 전망 가을 이사철 수요와 금리 완화 기대감으로 단기적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거래 회복세가 지역별로 엇갈리고 있어, 매수·전세 수요는 입지와 생활여건에 따라 양극화가 심화될 전망입니다. 향후 시장 방향은 금리 동향과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9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 요약: 매매·전세·월세 모두 상승세

이미지
전국 주택가격 동향 요약 (2025년 9월 기준) 한국부동산원 의 2025년 9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전세·월세 가격지수 모두 소폭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은 재건축 단지와 역세권 중심의 수요 회복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세종·울산 등 일부 지방 대도시에서도 상승 흐름이 확인되었습니다. R-ONE 부동산통계 매매시장 동향 9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9% 상승하며 6개월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습니다. 수도권은 0.22% 상승했고 지방은 0.03% 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서울은 0.58% 상승하며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상승세를 주도했고, 연립·단독주택도 소폭 상승 전환했습니다. 주택유형 전국 수도권 서울 아파트 0.08% 0.19% 0.70% 연립주택 0.21% 0.29% 0.35% 단독주택 -0.04% -0.08% 0.03% 전세시장 동향 전국 전세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10%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30% 로 상승폭이 확대되었고, 세종은 0.77% 로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역세권·학군지 중심의 수요가 이어지며 수도권 전세가격도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주택유형 전국 수도권 서울 아파트 0.14% 0.21% 0.37% 연립주택 0.08% 0.12% 0.21% 단독주택 0.00% 0.06% 0.13% 월세시장 동향 월세가격지수 역시 전월 대비 0.13%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30% , 수도권은 0.17% 로 오름세가 이어졌으며, 학군지와 소형 평형 중심의 월세 수요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택유형 전국 수도권 서울 아파트 0.07% 0.10% 0.30% 연립주택 0.20% 0.13% 0.35% 단독주택 0.03% 0.00% 0.27% ▲ 202...

2025년 9월 다섯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6% 상승, 전세 0.06% 상승

이미지
9월 마지막 주, 서울·수도권 아파트 가격 강세 지속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2025년 9월 5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각각 0.0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서울은 매매 0.27%, 전세 0.12%로 두 지표 모두 전국 평균을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하며 강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구분 전국 서울 경기 인천 지방 매매(%) 0.06 0.27 0.07 0.00 0.00 전세(%) 0.06 0.12 0.06 0.04 0.03 수도권 상승 견인…서울 성동·송파·마포 강세 두드러져 서울은 재건축 기대감 있는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증가했고, 특히 성동구(0.78%), 마포구(0.69%), 송파구(0.49%) 등이 두드러졌습니다. 경기 지역에서는 성남 분당구(0.97%), 과천시(0.54%) 등이 강세를 보였으며, 인천은 전체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전세시장도 서울 강남권과 교육환경이 우수한 지역 위주로 상승폭이 컸습니다. 지방은 대체로 보합 또는 하락세…제주는 매매·전세 모두 하락 지방은 전반적으로 매매는 보합(0.00%), 전세는 소폭 상승(0.03%)에 그쳤으며, 제주와 전남 등은 매매·전세 모두 하락했습니다. 세종시는 정주여건이 좋은 단지를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0.39% 상승해 주목받았습니다. ▲ 2025년 9월 다섯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향후전망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및 금리 안정세가 맞물리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매매·전세 모두 상승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지역별 양극화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 시에는 개별 지역...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3% 상승, 전세 0.04% 상승

이미지
2025년 9월 넷째 주, 아파트값 어디로 향하나? 2025년 9월 22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이 소폭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3%, 전세가격은 0.04% 각각 오르며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수요가 살아나고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단지와 역세권 중심의 거래가 활발하게 나타났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상승, 지방은 주춤 서울은 0.19% 상승하며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성동·마포·광진구 등 인기 지역에서 거래가 활발했고, 경기 성남 분당구(0.64%), 광명시(0.24%)도 상승세를 탔습니다. 반면 대구(-0.06%), 제주(-0.05%) 등 일부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전세도 매물 부족에 상승세 지속 전세가격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 중입니다. 서울은 0.09% 상승하며 양천·송파·서초구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고, 경기 하남시(0.19%), 광주시(0.22%)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제주(-0.05%)와 강원(-0.03%) 등은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 2025년 9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전망 추석 연휴 이후 관망세가 일부 해소되며, 수도권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값 상승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다만 지방은 수요 회복이 더딘 만큼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발표를 통해 향후 흐름을 꾸준히 체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2025년 9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2% 상승, 전세 0.03% 상승

이미지
아파트값, 다시 오름세로 전환 2025년 9월 3주(9월 15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0.02% 상승하고, 전세가격은 0.03% 올랐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의 조사에 따르면 서울은 특히 재건축 추진 단지와 역세권 대단지를 중심으로 매매 수요가 활발해지며 0.12% 상승했습니다. 전세시장도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 매매와 전세 모두 상승세 지속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12% 상승하며 강남과 강북 모두에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성동구는 0.41%, 마포구는 0.28%, 송파구는 0.19% 상승하며 선호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가격 강세가 뚜렷했습니다. 전세가격도 평균 0.07% 상승했고, 송파구(0.21%)와 강동구(0.16%) 등 인기 학군 지역 중심으로 전세 수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2025년 9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지방은 혼조세, 세종은 상승 전환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0.01%로 여전히 약세를 보였으나, 세종시는 0.10% 상승하며 반등했습니다. 반면 대구(-0.05%), 대전(-0.04%), 제주(-0.04%)는 하락세가 지속됐습니다. 전세가격은 전북(0.05%), 울산(0.04%) 등이 상승세를 보였으나, 제주(-0.05%)는 전세 수요가 줄며 하락했습니다. ▲ 2025년 9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향후전망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 지역에서의 거래 회복세와 전세 수요 증가가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특히 재건축 및 개발 기대감이 있는 단지들 위주로 매매가 상승폭이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지방은 지역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어 시장 전반의 안정세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2025년 8월 전국 집값 동향: 서울 상승, 지방은 혼조세

이미지
2025년 8월 주택가격 동향 한눈에 보기 2025년 8월 전국 주택가격이 전반적으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6%, 전세가격은 0.04%, 월세는 0.10% 상승 했습니다. 특히 서울은 매매·전세·월세 모두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으며, 인기 지역과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두드러졌습니다.     서울 중심 상승, 지방은 엇갈림 서울은 송파구(1.20%), 용산구(1.06%) 등 재건축과 교통 여건이 우수한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인천은 -0.08%, 대구는 -0.19%로 하락했습니다. 수도권 외 지역은 지역별로 차별화된 흐름을 보이며, 울산(0.09%), 세종(0.15%) 등 일부 지역은 상승한 반면, 제주(-0.14%)는 미분양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전세·월세 시장도 완만한 상승세 전세 시장은 서울이 0.21%, 경기가 0.05% 상승하며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월세는 서울 0.24%, 경기 0.10%로 상승했으며, 매물 부족과 정주 여건이 좋은 지역에 수요가 몰렸습니다. 특히 하남, 과천, 성남 분당 등 수도권 주요 단지들의 전세·월세 수요가 두드러졌습니다.     R-ONE 부동산통계   향후전망 금리 인하 기대감과 정책 변화에 따라 하반기에도 서울 중심의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지역별 편차는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며, 미분양 해소 여부가 지방 시장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주택 구매나 임대를 고려하신다면, 현재 지역별 흐름을 면밀히 살펴보시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2025년 9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0% 보합, 전세 0.02% 상승

이미지
서울은 강세, 지방은 혼조세…2025년 9월 첫째 주 아파트 가격 동향 2025년 9월 1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이 발표되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0.00%로 보합세를 유지한 반면, 전세가격은 0.02% 상승하며 시장의 온도차를 보였습니다. 서울은 재건축 단지와 선호 지역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일부 지방은 여전히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매매가격 동향 – 서울은 상승 지속, 수도권은 주춤 서울은 0.08% 상승하며 상승폭을 유지했습니다. 성동·광진·용산구 등 인기 지역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으며, 송파·서초 등 강남권도 재건축 기대감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인천은 -0.04% 하락했고, 경기도는 보합세(0.00%)로 전환했습니다. 지방은 지역별로 편차가 컸으며, 전북은 0.07% 상승한 반면 전남은 -0.06% 하락했습니다. ▲ 2025년 9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 동향 – 전국적으로 소폭 상승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02% 상승했습니다. 서울은 0.07% 오르며 역세권과 학군지 중심으로 임차 수요가 이어졌습니다. 인천(0.01%)과 경기도(0.02%)도 소폭 상승하며 수도권 전반에 걸쳐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방에서는 울산(0.07%), 부산(0.05%) 등이 상승한 반면, 제주(-0.04%)와 전남(-0.04%) 등 일부 지역은 하락했습니다. 향후전망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 지역의 매수 및 임차 수요가 유지되면서 당분간 보합 내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다만, 금리 동향과 공급 이슈, 지역별 경기 차이에 따라 변동성은 지속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추진 단지의 움직임이 시장 흐름에 적잖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 2025년 9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가격지수 변동률 그래프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0% 보합, 전세 0.02% 상승

이미지
아파트값, 보합세 속 상승과 하락 혼재 2025년 8월 4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0%로 보합을 유지했고, 전세가격은 0.02% 소폭 상승 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은 재건축 단지와 정주여건이 좋은 지역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2025년 8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경기 상승세, 지방은 지역별로 엇갈려 서울은 0.08%, 경기는 0.01% 상승했으며, 강남·강북 모두 재건축과 학군지 위주로 올랐습니다. 반면 강원(-0.08%)과 대구(-0.04%) 등 일부 지방은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전세시장도 안정세, 일부 지역 상승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0.02% 상승했고, 서울은 0.06% 올라 학군지와 역세권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한 모습입니다. 수도권 외 세종, 울산 등도 상승 전환되며 전세시장은 점차 안정세로 접어드는 분위기입니다. 향후전망 매매와 전세 모두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정주여건이 우수한 지역은 추가 상승 가능성도 있습니다. 시장은 지역별로 차별화되는 흐름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2025년 8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0% 보합,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8월 셋째 주, 아파트 시장은 안정세를 이어갑니다 한국부동산원 의 발표에 따르면 2025년 8월 18일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0% 보합세를 보였고, 전세가격은 0.01% 소폭 상승하며 대체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서울은 여전히 재건축 및 인기 단지 중심으로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지방은 지역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5년 8월 셋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과 수도권은 소폭 상승, 지방은 지역 차별화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이어졌으나, 지난주보다 상승폭은 줄었습니다(0.10%→0.09%). 수도권 전체도 상승폭이 축소되었고, 경기 지역은 보합 전환되었습니다. 반면 지방은 -0.02% 하락하며 강원, 제주, 전남 등 일부 지역에서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전세 시장은 서울과 수도권이 상승세를 유지했고, 지방은 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향후전망 8월 말까지 거래 비수기와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금리와 공급 요인에 따라 하반기 시장 흐름이 달라질 전망입니다. 특히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지역 중심의 국지적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전세 시장은 계절적 수요 증가로 인해 소폭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7월, 서울 중심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이미지
2025년 7월, 서울 중심의 주택가격 상승세 지속 한국부동산원 에 발표에 따르면 2025년 7월 전국 주택시장은 서울을 중심으로 매매·전세·월세 가격 모두 소폭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서울 강남, 용산, 마포 등 재건축 추진 단지와 정주여건이 우수한 지역들이 가격 상승을 주도하며 전반적인 분위기를 견인했습니다. ▲ 2025년 7월 전국 주택 가격 동향     수도권은 상승, 지방은 혼조세 서울은 매매가 0.75%, 전세 0.24%, 월세 0.23%로 모두 상승하며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경기 일부 지역도 분당(2.42%), 과천(2.24%) 등에서 뚜렷한 상승세가 나타났습니다. 반면 대구(-0.28%), 제주(-0.14%) 등 일부 지방 도시는 매수 수요 감소와 공급 증가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하반기 전망 하반기에도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지역과 입지가 뛰어난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고금리 지속 여부와 공급 물량 확대에 따라 지역 간 가격 차별화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입니다.

2025년 8월 둘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1% 상승,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8월 둘째 주 아파트 가격, 여전히 완만한 상승세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2025년 8월 2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전세가격도 0.01% 상승하며 지난주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서울은 재건축과 학군 중심지의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매매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전세가 역시 공급 부족으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 2025년 8월 둘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 중심의 상승세, 지방은 지역별 차이 서울은 송파, 서초, 성동, 광진 등 주요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고, 경기 과천과 분당, 안양 동안구 등도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반면 대구, 전남, 대전 등 일부 지방 도시는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전세 시장에서는 울산과 부산은 상승, 인천과 전남 등은 하락세를 보이며 지역별 편차가 나타났습니다. 향후전망 매매 및 전세가격 모두 당분간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서울 및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는 수요가 지속되며 완만한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금리, 공급계획, 정책 변화 등에 따라 향후 시장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2025년 8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1% 상승,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8월 1주, 아파트 가격 소폭 상승세 유지 한국부동산원 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가격이 전주 대비 소폭 상승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은 재건축과 학군·역세권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이어져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전세 시장도 전국적으로는 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매물 부족 현상으로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 2025년 8월 첫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서울·수도권 중심으로 상승세, 지방은 혼조세 이번 주(8월 4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상승하였으며, 서울은 0.14%로 전주보다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송파, 강남, 성동 등 선호 지역에서 거래가 늘어난 점이 주요 요인입니다. 경기도 분당과 과천 등도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지방은 대체로 약보합세이며, 충남, 대구, 강원 등은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는 0.01% 상승했으며, 세종은 0.11%로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향후전망 당분간 서울 및 수도권 주요 지역은 수요 집중과 매물 부족으로 인해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금리와 공급 요인, 정책 변화에 따라 시장은 유동적일 수 있으므로, 향후 시장 흐름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합니다. 지방의 경우 지역별 편차가 커질 전망입니다.

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 0.01% 상승, 전세 0.01% 상승

이미지
2025년 7월 넷째 주, 아파트 시장 동향 요약 한국부동산원 에 발표에 따르면, 2025년 7월 넷째 주(7월 28일 기준), 전국 아파트 시장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 0.01% 소폭 상승하며 지난주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2025년 7월 넷째주 아파트가격 매매,전세 가격지수 변동률 주요 지역별 아파트 가격 변화 매매가격을 보면, 서울은 재건축 이슈 단지 위주로 상승했지만, 관망 심리가 지속되며 전체 상승 폭이 지난주 0.16%에서 0.12%로 줄었습니다. 강남에서는 송파구(0.41%)와 서초구(0.21%)가, 강북에서는 성동구(0.22%)와 광진구(0.17%)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수도권 전체는 상승 폭이 0.06%에서 0.04%로 줄었고, 인천은 0.03% 하락했습니다. 경기도는 0.01% 상승했으나 평택(-0.17%), 시흥(-0.10%) 등 일부 지역은 하락했습니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하락 폭이 0.03%에서 0.02%로 줄었습니다. 대구(-0.10%), 대전(-0.06%) 등 5대 광역시는 하락했지만, 세종은 보합에서 0.04% 상승으로 전환했습니다. 8개도 중 충북(0.05%), 울산(0.02%), 전북(0.01%) 등이 상승했습니다.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0.01% 상승 폭을 유지 했습니다. 서울은 매물 부족으로 역세권 및 대단지 중심으로 0.06% 상승을 유지했습니다. 수도권은 상승 폭이 0.02%에서 0.01%로 줄었고, 경기도는 0.00%로 보합, 인천은 0.05% 하락했습니다. 지방 전세가격은 0.00% 보합을 유지했으며, 5대 광역시에서는 부산(0.06%), 울산(0.05%) 등이 상승했습니다. 세종은 0.02% 상승했고, 8개도 중에서는 충북(0.00%), 전북(0.00%), 경남(0.00%) 등이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향후 전망 아파트 시장은 전반적으로 관망세가 짙지만, 서울 일부 재건축 및 선호 단지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세시장은 ...

2023년 3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이미지
한국부동산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23년 3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23년 7월 1일 대비 2023년 10월 1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37% 하락, 전세가격은 0.27% 하락, 월세가격은 0.16% 상승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부동산원은 1∼2인 가구 증가, 주택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방 광역시(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 및 세종시 총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37%로 하락폭이 축소(-0.85%→-0.37%)됐다. 수도권·서울·지방 모두 하락폭이 축소(수도권 –0.78%→-0.26%, 서울 -0.55%→-0.14%, 지방 -1.15%→-0.82%)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7%로 하락폭이 축소(-1.07%→-0.27%)됐다. 수도권·서울·지방 모두 하락폭이 축소(수도권 –1.06%→-0.14%, 서울 -0.82%→-0.04%, 지방 -1.09%→-0.78%)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16%로 보합에서 상승 전환(0.00%→0.16%)됐다. 수도권·서울은 상승폭 확대(수도권 0.05%→0.23%, 서울 0.03%→0.12%), 지방은 하락폭이 축소(–0.23%→-0.10%)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37% 하락, 수도권 0.26% 하락, 지방 0.82% 하락한 가운데, 시도별로는 대구(-0.91%), 광주(-0.90%), 부산(-0.88%), 세종(-0.65%), 인천(-0.56%) 순으로 하락 [서울 : -0.14%] 오피스텔 규제 완화 기대 좌절된 가운데 수요 약세로 하락 지속되나, 하락세는 둔화되며 ...

2021년 2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이미지
한국부동산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21년 2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21년 3월 15일 대비 2021년 7월 1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37% 상승, 전세가격은 0.42% 상승, 월세가격은 0.1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월 단위 국가승인통계와의 대상기간 통일성 제고를 위한 통계청  통계변경승인사항에 따라 6월은 조사 대상기간(5.11∼6.14→  5.11∼6.30), 조사기준일(6.14→ 7.1) 및 공표일(7.1→ 7.15) 등 변경 ※ 한국부동산원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ㆍ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37%로 상승폭 확대(0.23%→0.37%)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확대(0.31%→0.43%)됐으며, 서울은 상승폭 축소(0.22%→0.07%), 지방은 상승 전환(-0.11%→0.12%)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42%로 상승폭 축소(0.57%→0.42%)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축소(0.62%→0.45%)됐으며, 서울·지방은 상승폭 축소(서울 0.58%→0.26%, 지방 0.33%→0.32%)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19%로 상승폭 축소(0.26%→0.19%)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축소(0.28%→0.21%)됐으며, 서울·지방은 상승폭 축소(서울 0.22%→0.11%, 지방 0.20%→0.14%)됐다. 지역별 세부적인 매매, 전세, 월세 가격과 전월세전환율, 수익률 등 구체적인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37% 상승, 수도권 0.43% 상승, 지방 0.12% 상승한 가운데, 인천(1.03%), 경기(0.64%), 대전(0....

2021년 1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조사 결과 공표

이미지
한국부동산원 은 오피스텔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2021년 1분기 기준 전분기 대비(2020년 12월 14일 대비 2021년 3월 15일 기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0.23% 상승, 전세가격은 0.57% 상승, 월세가격은 0.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 한국부동산원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 주택의 대체재로서 오피스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2018년 1월부터 서울시, 6대 광역시, 세종시 및 경기도 등 9개 시·도를 대상으로 매월 오피스텔 매매, 전세, 월세 등 가격동향을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다. * 통계청 국가통계승인(2017.12.27, 승인번호 : 408002) (매매)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3%로 상승폭 확대(0.05%→0.23%)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확대(0.10%→0.31%)됐으며, 서울은 상승폭 확대(0.01%→0.22%), 지방은 하락폭 축소(-0.14%→-0.11%)됐다. (전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57%로 상승폭 축소(0.62%→0.57%)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축소(0.70%→0.62%)됐으며, 서울은 상승폭 확대 (0.57%→0.58%), 지방은 상승폭 확대(0.28%→0.33%)됐다. (월세) 전국은 전분기 대비 0.26% 상승하며 상승폭이 확대(0.25%→0.26%)됐다. 수도권은 상승폭 축소(0.29%→0.28%)됐으며, 서울·지방은 상승폭 확대(서울 0.10%→0.22%, 지방 0.06%→0.20%)됐다. 1. 매매가격동향 매매가격은 전국 0.23% 상승, 수도권 0.31% 상승, 지방 0.11% 하락한 가운데, 경기(0.53%), 서울(0.22%)은 상승한 반면, 울산(-0.31%), 대전(-0.22%) 등 지방 지역은 하락 [서울 : 0.22%] 전반적인 주택 가격 상승에 따라 대체재인 중대형 면적의 오피스텔로 수요가 유입되어 오피스텔 가격이 동반 상승하며 전분기 대비 0.22% 상승 [인천 : 0.00%] GTX-B노선 기대감이 있는 송도, 부평과 대학생·산업단지 근로자 위주의 수요가 있...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