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디지털인 게시물 표시

특허청, 임플란트도 디지털 시대

이미지
코로나19 영향으로 언택트,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며 전 분야에 걸쳐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 분야에서도 인공지능, 3D 프린팅 등 4차 산업기술이 결합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특허출원 동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허청 에 따르면, 디지털 임플란트 분야 특허출원건수는 2010년 41건에서 2019년 113건이 출원되며 연평균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임플란트 분야 특허출원은, 같은 기간 전체 임플란트 출원건수(2010년 258건 →2019년 397건) 연평균 증가율(5%)보다 2배가 넘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디지털 임플란트 과정은 구강정보 획득, 모의 시술·치료계획 수립, 기공물 디자인, 수술 가이드 마련, 3D 프린팅(또는 밀링가공) 및 시술 단계로 구분되며, 전 단계에 걸쳐 디지털화가 이뤄진다.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임플란트 시술을 디지털로 전환하게 되면, 인상채득 대신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모형 배송 대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환자의 병원방문 횟수,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보다 편의성, 정확성 등에서 장점이 크다. □ 세부기술별 출원 동향을 살펴보면(2010~2019) 구강스캐너 관련 출원이 46.1%, 시뮬레이션·컴퓨터 디자인 관련 출원이 33.8%, 기공물 가공 관련 출원이 20.1%을 차지했다. 구강스캐너가 디지털 임플란트를 위한 핵심기기로 여겨지는 만큼 이에 대한 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 출원인 유형별로 살펴보면(2010~2019) 중견·중소기업이 50.8%(430건)을 출원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개인이 16.9%(143건), 대학·연구소가 8.1%(69건), 외국인 출원은 24.2%(205건)으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의료기기와 마찬가지로 치과용 디지털 임플란트 분야도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성이 있어 중견·중소기업이 특허 출원을 주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최근 3년 연속 국내 의료기기 생산품목 중 1위를

차세대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 시제품 개발 시범운영 진행 중

이미지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은 감전 및 화재 위험이 있는데다 인도를 점유하여 보행권익을 침해하고 도시미관을 해치는 시설물로 지목되고 있는 아날로그 교통신호제어기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 시제품을 개발하여 시범운영을 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현재 교차로와 횡단보도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아날로그 교통신호제어기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감전 위험이 있는 220V의 고전압을 직접 신호등에 연결하는 방식이어서 화재위험과 감전위험이 상존하고 있다. 또한, 제어함을 설치하는데 콘크리트 구조물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도를 점유하여 보행권익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노후 신호기는 도시미관을 해치는 악성 시설물로 지목되어 왔다. 시설비용 측면에서도 신호등 수만큼 고전압 케이블을 지중 매설하는데 따른 토목공사 비용과 고압 송전에 따른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에너지 손실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로교통공단이 이번에 개발한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는 모든 신호등이 하나의 저전압 케이블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신호등이 하나의 케이블로 모두 연결되므로 누설전류 차단은 물론 화재위험이 없고 도로가 물에 잠기더라도 감전사고 위험이 없다. 이와 함께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는 통신방식으로 신호등을 켜거나 끄는 방식이어서 제어함의 크기를 아날로그 교통신호제어기의 13% 미만으로 제작하여 신호등 기둥에 부착하므로 보행공간이 확보되고 도시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로교통공단은 ‘신기술 개발 2020 비전’을 완성하기 위해 4개년 계획으로 지난 2014년부터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 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했으며, 관련 중소기업들과 협력한 공동연구를 통해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를 개발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17일 경기도 군포시 당정동에서 1차 시범운영을 성공적으로 완료한데 이어 지난해 12월 4일부터 강원도 원주시 반곡동에 위치한 배울로삼거리에서 본격적인 시범운영을 진행하고 있다.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가 도입되면 교차로 환경개선은 물론 보행자 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