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생산금액인 게시물 표시

2020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잠정)

이미지
1. 총괄 2020년 어업생산량은 371만톤으로 전년(386만톤) 대비 3.8%(-15만톤) 감소 일반해면(연·근해)어업은 수온 상승 영향으로 난류성 어종인 멸치, 갈치, 살오징어 등의 자원량 증가로 전년 대비 2.2% 증가 천해양식어업은 전년에 비해 해양환경(긴 장마, 기상악화) 변화 등으로 생산 비중이 높은 김류, 미역류, 굴류 등의 양식 작황 부진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 원양어업은 어획 비중이 높은 가다랑어, 꽁치 등의 자원량 감소에 따른 어획 부진으로 전년 대비 13.3% 감소 내수면어업은 전염병(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활동 자제로 뱀장어, 메기, 송어류의 소비 부진 등으로 전년 대비 3.8% 감소 2020년 어업생산금액은 8조 7,582억 원으로 전년(8조 3,663억 원) 대비 4.7%(3,919억 원) 증가 연․근해어업은 어획 비중이 높은 멸치, 갈치, 참조기, 살오징어 등 어획량 증가 및 출하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 천해양식어업은 해양환경 악화, 양식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굴류, 김류, 미역류 등의 판매 가격 상승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 원양어업은 어획량 비중이 높은 다랑어류(68.2%) 중 가다랑어, 꽁치 등은 자원량 감소에 따른 조업 부진으로 전년 대비 6.7% 감소 내수면어업은 경기침체(코로나19)로 생산량이 많은 뱀장어, 메기, 송어류의 출하량 감소 및 소비 부진으로 전년 대비 8.4% 감소 2. 어업별 생산동향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3만 2천톤으로 전년(91만 2천톤) 대비 20천톤 (2.2%) 증가 연·근해 주변 해역 수온 상승 등의 영향으로 멸치, 갈치, 살오징어 등의 어획량은 증가한 반면, 고등어류, 삼치류 등은 해양환경(긴 장마, 기상악화) 등에 의해 대형선망어업 등 출어 자제 및 조업 부진으로 어획량 감소 천해양식어업 생산량은 230만9천톤으로 전년(2,410천톤) 대비 10만 1천톤(-4.2%) 감소 경기침체에 따른 경영자금 확보를 위해 중․대형어인 조피볼락 등 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