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상록수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1월의 정원식물 사철나무, 사계절 푸르름을 담은 대표 상록수

이미지
2025년 11월의 정원, 푸르름을 더하는 사철나무 국립수목원 은 2025년 11월 ‘우리의 정원식물’로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us )를 선정했습니다. 사철나무는 윤기 나는 짙은 녹색 잎이 특징인 상록 활엽 관목으로, 사계절 내내 푸르름을 유지합니다. 정원의 배경 식재나 경계선 조성에 활용되며, 관리가 쉬워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폭넓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사철나무의 생육 특징과 관리 요령 사철나무는 추위와 더위에 모두 강해 우리나라 기후에 잘 적응하며, 병해에도 비교적 강한 편입니다. 심기 적기는 11월 초순에서 중순으로, 햇빛이 잘 드는 곳이나 반그늘의 배수가 좋은 토양이 이상적입니다. 식재 전 퇴비로 토양을 개선하고, 심은 뒤에는 과습을 피하며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식물 간 간격을 50~70㎝로 유지하면 통풍이 잘되어 곰팡이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구분 내용 적정 심기 시기 11월 초~중순 식재 간격 50~70㎝ 햇빛 조건 양지 또는 반그늘 번식 방법 종자 파종, 절단 삽목 특징 사계절 푸르름, 병해 강함, 공기정화 효과 사철나무의 가치와 향후 전망 사철나무는 정원의 경계선, 녹화벽, 토피어리(조형수)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며, 도심의 공기 정화와 생태적 다양성 유지에도 기여합니다. 국립수목원 은 ‘우리의 정원식물’ 시리즈를 통해 국민이 정원 문화를 가까이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식물 정보를 지속적으로 소개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사철나무처럼 사계절 아름다움을 주는 토종 식물들이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겨울 정원의 보석, 동백나무 제대로 키우는 법

이미지
겨울 정원의 보석, 동백나무 겨울철 눈 덮인 정원 위로 붉게 피어난 동백나무는 마치 풍경화 속 장면처럼 감탄을 자아냅니다. 국립수목원 은 9월의 정원식물로 동백나무를 선정하며, 이 식물이 지닌 매력과 가꾸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정원의 품격을 높이는 동백나무 동백나무는 키가 7m까지 자라는 상록수로, 겨울철 붉은 꽃과 초록 잎이 어우러져 정원의 분위기를 한층 살려줍니다. 초기에 경계목이나 배경수로 활용되다가 일정 크기 이후에는 정원의 중심 수목으로 자리잡습니다. 가지치기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연출 가능해 조경에 유용합니다. 동백나무 잘 심고 가꾸는 법 동백나무는 9월 초에서 중순 사이 심는 것이 적기입니다. 반그늘이나 햇볕이 적당히 드는 배수가 잘되는 토양이 적합하며, 유기질 비료와 충분한 물 관리를 통해 건강하게 자랍니다. 특히 중부내륙지방에서는 겨울철 냉해에 주의가 필요하며, 어린 나무는 실내 보관이 권장됩니다. 향후전망 국립수목원은 ‘우리의 정원식물’ 시리즈를 통해 계절별 정원 식물을 소개하고 있으며, 동백나무는 그 중에서도 겨울철 정원에 생기를 불어넣는 대표 식물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적절한 관리로 일상 속 정원이 더욱 아름다워지길 기대합니다.

강진의 천연기념물, 2023년 8월 무인도서 ‘대오도’ 선정

이미지
해양수산부 는 2023년 8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 마량리에 위치한 ‘대오도(大烏島)’를 선정하였다. 대오도는 고도 10m, 길이 약 200m, 면적 12,145㎡인 작은 무인도서로, 마량항 서쪽 어선 선착장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 있다. 대오도는 옛날에 까마귀 수천 마리가 떼로 날아와 섬을 뒤덮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대오도 옆에는 ‘소오도’라는 작은 섬이 있는데, 두 섬 모두 검푸르게 울창한 숲으로 뒤덮어 있어 주민들은 두 섬을 함께 ‘까막섬’이라고도 부른다. 대오도 섬 전체에는 상록수들이 고루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높이 10~12m의 후박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대오도는 소오도와 함께 1966년 인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으로 지정되었으며, 「무인도서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절대보전무인도서’로 지정되어 있다. 대오도에서 볼 수 있는 주상절리 바위군은 파도와 비바람으로부터 대오도를 지켜주는 천연 울타리로, 대오도가 강풍과 높은 파도를 막아주는 덕분에 마량포구를 예로부터 ‘바닷길의 요지’라고 부르기도 했다. 대오도를 포함한 무인도서 정보는 해양수산부 무인도서 종합정보제공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인근 관광 정보는 강진문화관광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강진문화관광 누리집 https://www.gangjin.go.kr/culture * 해양수산부 무인도서 종합정보제공시스템 http://uii.mof.go.kr 출처:  해양수산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