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곡물가격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FAO 세계식량가격지수, 두 달 연속 하락세 지속

이미지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 두 달 연속 하락 FAO(유엔 식량농업기구) 가 발표한 2025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6.4포인트로, 전월(128.5포인트)보다 1.6% 하락하며 두 달 연속 내림세를 보였습니다. 곡물·육류·유제품·설탕은 모두 하락했고, 유지류만 소폭 상승했습니다. FAO는 24개 품목의 국제가격을 바탕으로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의 가격지수를 매월 산출합니다. 이번 결과는 세계 식량시장의 전반적 안정세를 시사하지만, 일부 품목은 지역적 요인으로 변동성이 여전히 크다고 밝혔습니다. 품목별 식량가격 동향 한눈에 보기 10월에는 설탕(-5.3%)과 유제품(-3.4%)의 하락 폭이 가장 컸습니다. 곡물 가격은 1.3% 떨어졌으며, 남반구의 풍작과 북반구의 파종 진전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면 유지류는 동남아 바이오디젤 정책과 흑해 지역 공급 차질로 0.9% 상승했습니다. 육류는 돼지고기와 가금육 가격 하락으로 전체 2% 내렸으나, 쇠고기는 일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품목 지수(’25.10월) 전월 대비 전년 대비 곡물 103.6 -1.3% ▼ -9.4% ▼ 유지류 169.4 +0.9% ▲ +11.0% ▲ 육류 125.0 -2.0% ▼ +4.8% ▲ 유제품 142.2 -3.4% ▼ +2.6% ▲ 설탕 94.1 -5.3% ▼ -27.4% ▼ 향후 전망과 의미 FAO는 2025/26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이 전년 대비 4.4% 증가한 2,989.6백만 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소비량과 재고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보여, 단기적으로는 가격 안정이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기후 변화와 지역 분쟁, 국제 유가 변동 등은 여전히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우리 정부도 김장철을 맞아 비축물량 방출 및 할인 행사를 추진하며, 국민 식탁 물가...

2025년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 하락…설탕·유제품 가격 큰 폭 조정

이미지
9월 세계식량가격지수, 왜 떨어졌을까요? 2025년 9월, FAO(유엔 식량농업기구) 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128.8포인트로 전월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설탕(-4.1%)과 유제품(-2.6%)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고, 곡물과 유지류도 소폭 내렸습니다. 반면 육류는 0.6% 상승해 주목됩니다.     가격 하락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설탕은 브라질의 높은 생산량과 인도·태국의 우호적인 수확 전망으로, 유제품은 북반구의 수요 감소와 뉴질랜드의 공급 증가 기대감으로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곡물은 밀과 옥수수의 풍작, 유지류는 팜유와 대두유의 공급 증가가 원인이며, 육류는 미국과 오세아니아의 공급 제약으로 상승했습니다. 품목별 지수 변화 한눈에 보기 품목군 2025년 9월 지수 전월 대비 증감률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곡물 105.0 -0.6% -7.6% 유지류 167.9 -0.7% +17.9% 육류 127.8 +0.6% +6.6% 유제품 148.3 -2.6% +8.6% 설탕 99.4 -4.1% -21.3% 향후 세계 식량 가격은 어떻게 될까요? FAO는 2025/26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이 전년 대비 3.8%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는 공급이 늘어나 식량 가격의 추가 안정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다만 기상이변, 국제 정세 등에 따라 급격한 변동도 배제할 수 없어,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겠습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