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무역수지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1월 1-20일 수출입 현황: 반도체·승용차 주도 성장

이미지
11월 수출입 동향 핵심 정리 관세청 이 발표한 2025년 11월 1~20일 수출입 잠정치에 따르면, 같은 기간 수출은 385억 달러로 8.2% 증가하고 수입은 361억 달러로 3.7% 증가했습니다. 무역수지는 24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본 글은 방문자께서 한 번에 이해하실 수 있도록 기간별 핵심 변화를 집중 정리했습니다. 주요 품목별 증감 요약 수출은 반도체와 승용차가 성장세를 이끌었으며, 석유제품과 자동차 부품은 감소했습니다. 수입은 기계류·정밀기기·승용차가 증가했고, 원유와 반도체는 감소했습니다. 구분 증가 품목 감소 품목 수출 반도체(+26.5%), 승용차(+22.9%) 석유제품(-19.3%), 자동차부품(-8.1%) 수입 기계류(+13.6%), 승용차(+35.6%) 원유(-16.4%), 반도체(-3.8%) 국가별 수출입 동향 수출은 중국(+10.2%), 미국(+5.7%), EU(+4.9%) 중심으로 증가했습니다. 반면 베트남과 일본은 소폭 감소했습니다. 수입은 중국·미국·EU 모두 증가세를 보이며 안정적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향후전망 반도체 회복세가 뚜렷해 연말 수출 흐름은 긍정적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글로벌 수요 변동성과 에너지 가격의 불확실성은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산업별 대응 방향을 점검하신다면 향후 시장 흐름을 더욱 효과적으로 대비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 11월 1-20일 수출입 자세히 보기

2025년 11월 1~10일 수출입: 반도체·자동차 수출이 성장 견인

이미지
2025년 11월 초 수출입 동향 요약 관세청 이 발표한 2025년 11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잠정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수출은 15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하였고, 수입은 170억 달러로 8.2% 늘었습니다. 무역수지는 12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수출 성장세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 주력 품목의 회복세가 눈에 띄며, 중국과 미국, 유럽연합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품목별 수출입 변화와 특징 이번 기간 동안 반도체 수출이 17.7%, 승용차 16.2%, 선박 8.7% 증가하며 전체 수출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석유제품(-14.0%)과 무선통신기기(-21.1%)는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수입에서는 반도체 제조장비(59.2%), 기계류(20.1%)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에너지 수입은 원유(-20.1%), 가스(-50.3%) 등 전체적으로 28% 감소했습니다. 구분 금액(억달러) 전년동기대비 수출 158 +6.4% 수입 170 +8.2% 무역수지 -12 적자 지속 주요국가별 수출입 동향 국가별로는 중국(수출 +11.9%, 수입 +19.9%)과 미국(수출 +11.6%, 수입 +25.5%)이 모두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유럽연합으로의 수출도 10.0% 증가했으며, 반면 베트남과 일본은 각각 -11.5%, -11.9% 감소했습니다. 상위 3개국(중국, 미국, 베트남)의 수출 비중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9.3%를 차지했습니다. 향후 전망 11월 중순 이후에도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글로벌 유가 하락과 원자재 수입 둔화로 무역수지 적자는 일정 부분 유지될 수 있습니다. 관세청 은 향후 정정 통계(2026년 2월 확정)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연간 흐름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기업들은 반도체와 기계류 중심의 수출 기회를 확대하고, 원자재 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2025년 9월 ICT 수출입: 반도체 사상 최대, 무역수지 116억 달러 흑자

이미지
2025년 9월 ICT 수출, 사상 최대 실적 달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9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ICT 수출은 254.3억 달러 로 전년 동월 대비 14.0%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수입은 137.8억 달러로 10.4% 늘었고, 무역수지는 116.5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역대 2위 수준을 보였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도 반도체와 통신장비의 호조가 전체 수출을 이끌었습니다. 반도체가 ICT 성장 견인, 디스플레이·통신장비 동반 상승 9월 수출의 핵심은 단연 반도체(166.2억 달러, 21.9%↑) 였습니다.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과 AI 서버용 고성능 메모리(DRAM, HBM 등) 수요가 급증하며 2개월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디스플레이(19.2억 달러, 1.3%↑)는 OLED 패널 수요 확대로 상승세로 전환했고, 통신장비(2.2억 달러, 38.3%↑)도 미국·인도의 5G 인프라 수요가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반면, 휴대폰과 컴퓨터·주변기기는 부품 수출 부진으로 각각 10%대 감소했습니다. 2025년 9월 ICT 수출 주요 품목 수출액(억 달러) 전년 대비 증감률(%) 반도체 166.2 +21.9 디스플레이 19.2 +1.3 통신장비 2.2 +38.3 휴대폰 14.9 −10.7 컴퓨터·주변기기 14.7 −10.1 향후 ICT 수출 전망과 성장 포인트 향후에도 반도체 중심의 수출 호조세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특히 AI 인프라 확충 과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가 이어지면서 4분기에도 두 자릿수 성장률이 예상됩니다. 다만, 미국과 중국의 수요 불확실성, 부품 단가 변동성 등은 주의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첨단 ICT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AI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통신장비 분야의 기술 자립과 글로벌 공급망 협력 을 지속 추진할 계획입니다.

2025년 10월 1~10일 수출입 동향: 반도체 급증, 자동차 급감

이미지
2025년 10월 초 한국 수출입 동향 한눈에 보기 관세청 은 2025년 10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입 잠정치를 발표했습니다. 이 기간 수출은 130억 달러, 수입은 13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5.2%, 22.8% 감소했습니다. 다만 조업일수를 고려하면 일평균 수출은 33.2% 증가한 37억 달러로 회복세의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주요 품목별 수출입 증감 현황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와 석유제품은 각각 47.0%, 6.2% 증가했으나, 승용차(-51.8%)와 무선통신기기(-28.9%)는 크게 줄었습니다. 수입에서는 원유(+22.2%)와 석탄(+17.8%)이 늘었고, 반도체(-20.0%), 가스(-29.1%) 등은 감소했습니다. 구분 주요 품목 금액(억달러) 증감률(%) 수출 반도체 45.1 +47.0 수출 승용차 6.7 -51.8 수입 원유 27.3 +22.2 수입 반도체 19.7 -20.0 10월 무역수지와 향후 전망 10월 초 무역수지는 5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반도체 수출 확대와 에너지 수입 감소세로 적자 폭은 점차 완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회복과 함께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자동차 산업의 조정이 마무리되면 무역 균형도 안정될 전망입니다. 자세한 통계는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수출입통계보기

2025년 9월 1일~10일 수출입: 반도체 호조 속 무역적자 확대

이미지
9월 초 수출입 실적, 수출 증가에도 불구 무역적자 관세청 은 2025년 9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입 통계를 발표하였습니다. 해당 기간 동안 수출은 192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8% 증가한 반면, 수입은 204억 달러로 11.1%나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12억 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하며,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입의 급증으로 무역수지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도체·선박 수출 호조, 미국·EU 수출은 감소 이번 실적에서 반도체 수출은 28.4% 증가해 전체 수출의 23.2%를 차지하며 주력 품목의 위상을 재확인했습니다. 선박(55.3%), 자동차 부품(2.1%)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승용차와 석유제품은 각각 1.9%, 21.1% 감소하였습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24.0%), 대만(31.2%) 등 아시아권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나, 미국(△8.2%), 유럽연합(△21.6%)으로의 수출은 줄어들었습니다. 에너지 및 장비 수입 증가…에너지 가격 부담 가중 수입 부문에서는 반도체 제조장비(55.9%)와 가스(49.3%), 기계류(17.6%) 등의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에너지 자원인 원유·가스·석탄의 총 수입액이 9.4% 증가하며, 에너지 가격 상승이 수입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 주요 수입국 중에서는 중국(16.2%), 베트남(23.3%), 일본(8.1%)이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향후전망 반도체 수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과 글로벌 수요 둔화는 무역수지 회복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연합과의 교역 감소는 단기적인 수출 성장에 제약을 줄 수 있어, 국가별 맞춤형 수출 전략과 수입 다변화 노력이 요구됩니다. 관세청의 후속 통계 발표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3개월 연속 상승…반도체가 이끈 8월 수출 최대 실적

이미지
8월 수출,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역대 최고 실적 경신 2025년 8월, 우리나라 수출은 58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하며 역대 8월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는 반도체와 자동차가 수출 성장을 주도했으며, 조업일수가 하루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성과를 달성한 점에 주목했습니다. 수입은 518.9억 달러로 4.0% 감소했고, 무역수지는 65.1억 달러 흑자를 기록해 7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반도체·자동차 수출 호조…주력 품목 선전 반도체 수출은 서버 및 모바일 수요 확대와 메모리 가격 상승에 힘입어 151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자동차 수출도 전기차·하이브리드차·중고차 호조로 55억 달러를 달성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선박 역시 고가선박 인도로 6개월 연속 플러스를 유지했으며, 농수산식품·화장품·전기기기 등 비주력 품목도 역대 8월 중 최고 실적을 올렸습니다. 대외 여건 속에서도 긍정적 흐름 지속 지역별로는 아세안·중동·CIS 수출이 증가했고, 중국 수출은 반도체가 견인하며 보합세를 유지했습니다. 미국·EU 등은 일부 주력 품목의 부진으로 감소했지만, 전반적으로 수출 경쟁력은 견고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특히, EU향 전기차 수출 확대가 눈에 띕니다. 향후전망 정부는 미 관세정책 등 불확실성 속에서도 수출 모멘텀 유지를 위해 시장 다변화와 중소기업 지원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9월 초에는 단기 경영지원, 수출시장 확대,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등 3대 축의 지원대책이 발표될 예정이며, 산업통상자원부 는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정책 마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025년 7월 수출입 현황

이미지
2025년 7월 한국 수출입 현황과 무역수지 분석 2025년 7월 한국의 수출입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수출과 수입이 모두 증가하며 경제 회복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7월 한국의 무역 실적과 그 배경을 간단히 살펴보고 앞으로의 무역 환경 전망을 정리하여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2025년 7월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단위:백만 달러,%) ※ 조업일수[(2024)25.0일,(2025)25.0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4.7.)23.0,(2025.7.)24.3억 달러] 5.9% 증가 수출 608억 달러 기록, 무역수지 흑자 지속 2025년 7월 한국의 수출은 608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33.6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수입은 542억 달러로 0.7%(3.7억 달러) 소폭 증가했습니다. 수출 증가율이 수입 증가율을 앞지르면서 무역수지는 6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수출 증가는 반도체, 전기차 등 주요 산업에서의 글로벌 수요 회복 덕분입니다. 특히 조업일수 평균 수출액이 전년 대비 5.9% 상승하며 한국 경제의 수출 경쟁력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반면 수입은 원자재 가격 안정 등의 요인으로 증가폭이 크지 않았습니다. ▲ 2024~2025년 월별 수출입 및 무역수지 비교 (1~7월)   향후전망 앞으로 한국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 주력 품목의 수요 회복과 함께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다만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미·중 무역 갈등과 같은 외부 변수도 존재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께서는 시장 변화에 맞춘 유연한 전략을 마련하시고, 정부 역시 수출 다변화 정책을 통해 대외 리스크 관리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출처 : 관세청

수출입 현황 2024년 10월 1~10일: 수출 33% 급증! 수입은 왜 3%만 증가?

이미지
2024년 10월 초, 한국의 수출입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놀랍게도 수출은 전년 대비 33%나 증가하며 153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수입은 3% 증가에 그치며 175억 달러에 머물렀습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한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주요 품목별 수출입 변화와 주요 국가별 동향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이유들을 간단하게 풀어보겠습니다. KOSIS통계보기 ▲ 2024년 10월1일~10일 수출입실적(통관기준 잠정치), (단위:백만 달러,%) ※ 조업일수[(2023)4.5일,(2024)5.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3.10.)25.5,(2024.10.)27.8억 달러] 9.0% 증가 주요 품목별 수출입 현황 10월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 품목을 살펴보면, 반도체와 승용차, 선박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이 두드러졌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무려 45.5%나 증가해 3,065억 달러에 달했으며, 승용차 수출도 28.9% 상승해 1,391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선박은 265%라는 놀라운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석유제품과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각각 23.6%, 9.7% 감소하며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수입 측면에서는 반도체가 18.8% 증가했으며, 가스 수입도 16.4%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에너지 관련 수입품인 원유와 석유제품은 각각 20.7%, 4.9% 감소했습니다. 이는 최근 국제 유가 하락과 에너지 수요 감소에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전체적으로 에너지 수입액은 13.1% 줄어든 것이 특징적입니다. 주요 국가별 수출입 동향 국가별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 미국, 베트남 모두 수출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중국에 대한 수출은...

수출입 현황: 2024년 9월 1일~20일 수출 1.1% 감소, 수입 4.5% 감소

이미지
2024년 9월 1일부터 20일까지의 수출입 현황을 살펴보면, 수출은 356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으며, 수입은 348억 달러로 4.5% 감소했습니다. 주요 품목으로는 반도체와 컴퓨터 주변기기의 수출이 크게 증가한 반면, 승용차와 석유제품의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KOSIS통계보기 수출 현황 1.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 2024년 9월 1일에서 20일까지의 수출 주요 품목 중 반도체는 26.2% 증가하여 7,48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출에서 21.0%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반면, 승용차 수출은 8.8% 감소한 2,976백만 달러, 석유제품 수출은 5.0% 감소한 2,849백만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컴퓨터 주변기기는 75.6% 증가한 764백만 달러로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반도체: 7,481백만 달러 (26.2% 증가) 승용차: 2,976백만 달러 (8.8% 감소) 석유제품: 2,849백만 달러 (5.0% 감소) 컴퓨터 주변기기: 764백만 달러 (75.6% 증가) 자동차 부품: 1,128백만 달러 (13.3% 감소) 선박: 1,045백만 달러 (9.3% 감소) 2. 주요 국가별 수출 변화 주요 국가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중국과 대만에 대한 수출이 각각 2.7%, 79.8% 증가한 반면, 미국과 유럽연합으로의 수출은 각각 5.9%, 15.1% 감소했습니다. 상위 3국(중국, 미국, 유럽연합)에 대한 수출 비중은 49.0%를 기록했습니다. 중국: 7,703백만 달러 (2.7% 증가) 미국: 6,173백만 달러 (5.9% 감소) 유럽연합: 3,551백만 달러 (15.1% 감소) 베트남: 3,325백만 달러 (1.2% 증가) 대만: 1,991백만 달러 (79.8% 증가) 수입 현황 1. 주요 품목별 수입 실적 2024년 9월 1일에서 20일까지의 수입 주요 품목 중 반도체 수입은 17.4% 증가한 4,449백만 달러, 가스 수입은 0.2% 증가한 1,591...

2021년 3월 수출입현황 및 무역수지(확정치)

이미지
1. 수출 현황 전년 동월 대비 16.5% 증가한 538억 달러 기록 반도체(8.3%)․승용차(14.7%)․석유제품(17.4%)․선박(67.3%)․자동차 부품(12.1%)․무선통신기기(8.5%)․가전제품(2.4%) 등 증가, 액정디바이스(△22.8%)는 감소 중국(26.0%)․미국(9.2%)․유럽연합(36.7%)․베트남(5.4%)․대만(51.3%) 등은 증가, 일본(△2.6%)․중동(△17.5%) 등은 감소 (수출중량) 전년 동월 대비 8.2% 감소한 1,626만 톤 (주요품목별) 석유제품․가전제품․무선통신기기․반도체․승용차․자동차 부품․선박 등은 증가, 액정디바이스는 감소 (석유제품) 전년 동월 대비 17.4% 증가한 27억 6천만 달러 (철강제품) 전년 동월 대비 14.8% 증가한 41억 9천만 달러 (가전제품) 전년 동월 대비 2.4% 증가한 7억 1천만 달러 (유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20.0% 증가한 9천만 달러 (무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8.5% 증가한 19억 1천만 달러 * 베트남(14.3%), 중국(21.7%), 영국(1247.3%), 독일(636.5%) 등으로 수출 증가 (반도체) 전년 동월 대비 8.3% 증가한 97억 1천만 달러 * 중국(37.4%), 베트남(10.3%), 대만(8.1%), 미국(7.3%) 등의 비중으로 수출 (액정디바이스) 전년 동월 대비 22.8% 감소한 2억 9천만 달러 (승용차) 전년 동월 대비 14.7% 증가한 42억 달러 * 최대 수출국인 미국(비중44.5%) 수출이 15.3% 증가하였으며, 캐나다(21.0%), 호주(5.5%), 러시아(40.2%), 독일(15.5%), 영국(13.7%) 등으로 수출 증가 (자동차부품) 전년 동월 대비 12.1% 증가한 21억 달러 (선박) 전년 동월 대비 67.3% 증가한 23억 3천만 달러 (주요 지역별) 중국․미국․유럽연합․베트남 증가, 일본․중동 감소 (중국) 전년 동월 대비 26.0% 증가한 134억 1천만 달러 메모리 반도체(5.9)․석유제품(95.6)․정밀기...

2021년 2월 수출입현황 및 무역수지(확정치)

이미지
1. 수출 현황 전년 동월 대비 9.5% 증가한 448억 달러 기록 반도체(12.6%)․승용차(48.5%)․자동차 부품(7.2%)․무선통신기기(23.2%)․선박(4.9%)․가전제품(3.8%)․액정디바이스(8.6%) 등 증가, 석유제품(△13.4%)은 감소 중국(26.9%)․미국(7.9%)․유럽연합(48.2%)․대만(56.4%) 등은 증가, 베트남(△0.6%)․일본(△3.7%)․중동(△23.8%)․싱가포르(△39.5%) 등은 감소 (수출중량) 전년 동월 대비 10.8% 감소한 1,448만 톤 (주요품목별) 가전제품․무선통신기기․반도체․액정디바이스․승용차․선박 등은 증가, 석유제품은 감소 (석유제품) 전년 동월 대비 13.4% 감소한 24억 달러 (철강제품)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한 35억 4천만 달러 (가전제품)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한 5억 6천만 달러 (유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11.0% 증가한 7천만 달러 (무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23.2% 증가한 18억 5천만 달러 * 베트남(19.9%), 중국(66.0%), 독일(702.0%), 영국(606.9%) 등으로 수출 증가 (반도체) 전년 동월 대비 12.6% 증가한 85억 6천만 달러 * 중국(38.3%), 베트남(10.9%), 대만(8.6%), 미국(6.7%) 등의 비중으로 수출 (액정디바이스) 전년 동월 대비 8.6% 증가한 3억 달러 (승용차) 전년 동월 대비 48.5% 증가한 33억 8천만 달러 * 최대 수출국인 미국(비중38.5%) 수출이 27.5% 증가하였으며, 캐나다(70.6%), 러시아(53.3%), 호주(125.0%), 영국(108.1%), 독일(126.2%) 등으로 수출 증가 (자동차부품) 전년 동월 대비 7.2% 증가한 18억 7천만 달러 (선박) 전년 동월 대비 4.9% 증가한 14억 6천만 달러 (주요 지역별) 중국․미국․유럽연합 등 증가, 베트남․일본 등 감소 (중국) 전년 동월 대비 26.9% 증가한 112억 달러 메모리 반도체(4.5)․석유제품(85.2)...

2021년 1월 수출입 현황(잠정치)

이미지
2021년 1월 수출 480억 달러, 수입 441억 달러, 무역수지 40억 달러 흑자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 11.4%(49.0억 달러↑) 증가, 수입 3.1%(13.4억 달러↑) 증가(무역수지 9개월 연속 흑자) ※ 조업일수[(2020)21.5일,(2021)22.5일]고려 시 일평균수출액[(2020.1.)20.1,(2021.1.)21.3억 달러]] 6.4% 증가 출처:  관세청

2020년 11월 월간 수출입 현황(확정치)

이미지
2020년 11월 월간 수출입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4.1% 증가한 458억 달러, 수입은 1.9% 감소한 399억 달러로, 무역흑자 59억 달러를 기록하여 7개월 연속 흑자 1. 수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16.4.%)․승용차(2.5%)․무선통신기기(37.5%)․자동차 부품(7.0%)․선박(32.0%) 등은 증가, 석유제품(△49.1%)․가전제품(△7.9%)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중국(1.2%), 미국(6.8%), EU(24.6%), 베트남(11.2%) 등 증가, 일본(△12.1%), 중동(△20.7%) 등 감소 2. 수입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기계류(2.7%)․승용차(73.8%)는 증가, 원유(△51.1%)․의류(△6.9%)는 감소 (소비재 : 15.3% 증가) 승용차(73.8%)․가전제품(5.2%)․조제식품(8.0%) 등은 증가, 의류(△6.9%)․사료(△0.7%) 등은 감소 (원자재 : 17.8% 감소) 비철금속(13.9%)․의약품(10.1%) 등은 증가, 원유(△51.1%)․가스(△32.9%)․석유제품(△39.7%) 등은 감소 (자본재 : 13.5% 증가) 기계류(2.7%)․메모리 반도체(24.1%) 등은 증가, 측정시험기(△2.4%)․컴퓨터 주변기기(△15.1%) 등은 감소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에 중국(14.7%), EU(23.2%), 일본(15.0%) 등 증가, 미국(△20.6%), 중동(△49.9%), 베트남(△8.9%) 등 감소 3. 수출입 특이사항 11월 수출은 전월 감소(△3.8%)에서 4.1% 증가 전환, 일평균 수출은 2개월 연속 증가하며 올해 최고치 기록 * 일평균 수출 증감률(%): (2020.7)△7.1 → (8)△4.2 → (9)△4.4 → (10)5.4 → (11)6.4 수출 중량(순중량)은 석유제품, 승용차를 중심으로 전월 (△11.7%)에 이어 감소(△9.7%) 국가별로는 미국, EU, 베트남이 3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며, 중국은 2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 *...

2020 상반기 저작권 무역수지, 역대 최고 흑자 약 1조 2천억 원 달성

이미지
2020년 상반기 우리나라 저작권 무역수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0년 이래, 10억 4천만 달러(약 1조 2천억 원)에 달하는 반기 최대 규모 흑자를 달성했다.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 역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0년 이래 사상 최초로 반기별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했다.  9월 18일(금)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20년 상반기 중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에 따르면 2020년도 상반기 우리나라 저작권 무역수지는 1억 6천만 달러가 증가한 10억 4천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전체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총 7억 5천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하고, 산업재산권 무역수지 역시 전기 대비 적자 폭이 심화되었으나, 저작권 무역수지만 홀로 흑자를 기록하고, 흑자 폭도 확대된 것이다. * 우리나라의 지식재산권 국제거래 현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무역수지 통계로, 저작권과 산업재산권, 기타 지식재산권 등 여러 유형의 지식재산권 매매와 사용거래를 포괄 올 상반기 저작권 반기 수출액 50억 달러 돌파하며 역대 최대 흑자 기록 문화체육관광부 (이하 문체부)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반기별 저작권 무역수지가 지난 2013년 2분기에 처음으로 흑자로 돌아선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2020년 상반기에는 저작권 분야 반기 총수출액이 50억 달러를 돌파한 데 힘입어 역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저작권 무역수지’는 ‘문화예술저작권’과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 저작권’과의 수출입 통계를 기반으로 한국은행이 반기별로 집계해 발표한다. ‘문화예술저작권’에는 음악, 영화, 애니메이션, 뮤지컬, 드라마 등의 방영, 복제, 배포 등에 대한 권리가 포함되며,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 저작권’은 우리가 해외에 수출하는 게임, 데이터베이스, 연구저작물 등에 인정되는 저작권을 포괄한다. 문화예술저작권 중 음악·영상 저작권의 괄목할 만한 성장세 돋보여 이번 통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 사상 첫 6조원 돌파

이미지
식품의약품안전처 는 지난해 화장품 무역수지 흑자가 6조 1,503억 원으로 2018년(5조 4,698억 원) 대비 12.4% 증가하며 처음 흑자를 낸 2012년부터 계속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5억 2,479만 달러(7조 6,086억 원)로 전년대비 4.2%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매년 평균 26.0%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6조 2,633억 원으로 2018년(15조 5,028억 원) 대비 4.9% 증가하여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화장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무역수지 8년 연속 흑자 ▲러시아연방 등 북방국가 수출 증가  ▲수출 규모 세계 4위의 견고한 입지 확보 ▲생산실적의 꾸준한 증가 등입니다. ■ 무역수지 흑자 6조 달성, 8년 연속 흑자  화장품 무역수지는 최근 8년 연속 흑자를 달성하였으며, 2015년 1조원, 2018년 5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2019년에는 6조원을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65억 2,479만 달러(7조 6,086억 원)로 2018년 62억 6,019만 달러(6조 8,898억 원) 대비 4.2%(달러 기준)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2015~2019년) 평균성장률은 26.0%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 수출액 : (2015년) 25억 8,780만 달러 → (2016년) 41억 7,842만 달러 → (2017년) 49억 4,464만 달러 → (2018년) 62억 6,019만 달러 → (2019년) 65억 2,479만 달러 또한, 수입은 지난해 12억 5,058만 달러(1조 4,583억 원)로 2018년 12억 9,026만 달러(1조 4,200억 원) 대비 3.1%(달러 기준) 감소했습니다. ※ 수입액 : (2015년) 10억 8,770만 달러 → (2016년) 10억 8,020만 달러 → (2017년) 11억 7,623만 달러 → (2018년) 12억 9,026만 달러 → (2019년) 12억 5,058만 ...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