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연보호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멸종위기종 ‘노란잔산잠자리’, 생태와 보호 필요

이미지
10월의 멸종위기종, 노란잔산잠자리를 아시나요? 환경부 는 2025년 10월 ‘이달의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노란색 줄무늬가 특징인 ‘노란잔산잠자리’를 선정하였습니다. 이 잠자리는 하천 중류의 고운 모래에 서식하며, 모래 채취와 환경 변화로 생존 위협을 받고 있어 보호가 절실한 종입니다. 멸종위기종 검색 노란잔산잠자리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노란잔산잠자리는 몸길이 약 70~77mm로 대형 잠자리에 속합니다. 금속성 광택의 짙은 청록색 몸통에 노란 줄무늬가 있으며, 성숙한 암컷은 등황색 날개를 지녔습니다. 유충은 고운 모래 속에 숨어 지내며, 2년에 한 번 성충으로 우화합니다. 성충과 유충 모두 육식성으로 곤충을 먹습니다. 항목 내용 서식지 하천 중류의 저산지 및 구릉지 서식형태 유충은 모래 속, 성충은 큰 나무 주변 식성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 육식성 분포 한국(연천, 경상도), 일본, 극동 러시아 보호등급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노란잔산잠자리, 왜 보호가 필요한가요? 노란잔산잠자리 유충은 하천의 고운 모래에서만 서식하기 때문에, 모래 채취나 개발로 인한 서식지 훼손은 치명적인 위협이 됩니다. 현행법에 따라 무단 포획·훼손 시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노란잔산잠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하천 생태계 보전이 중요합니다. 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멸종위기종 보존에 큰 힘이 됩니다. 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은 지속적인 서식지 모니터링과 교육 캠페인을 통해 이들을 보호하고자 합니다.

방향에 따라 다른 얼굴, 제주 추자도 무인도서 ‘섬생이’

이미지
다양한 지질과 생태가 어우러진 섬, 섬생이 해양수산부 는 2025년 9월 이달의 무인도서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신양리 앞바다에 위치한 ‘섬생이’를 선정하였습니다. 섬생이는 해발 약 60m, 둘레 약 1,000m, 면적 33,636㎡ 규모의 종상형 무인도로, 독특한 지질 구조와 생태적 가치로 주목받는 자연보전의 보석 같은 섬입니다.     자연이 만든 바다 속 조각미술관 섬생이는 대부분이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파도에 의해 형성된 해식애, 해식동굴, 파식대지, 벌집구멍 구조인 타포니 등 다양한 해안 지형을 갖추고 있어,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특히 햇빛에 따라 음영이 생기며 마치 조각 작품처럼 신비로운 풍경을 연출합니다. 풍부한 식생과 관찰 포인트 섬의 상부는 곰솔나무 군락으로 덮여 있으며, 사철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돈나무 등 다양한 식물이 자라고 있습니다. 낮은 지대에는 천문동, 사철쑥, 덩굴민백미꽃, 갯장구채 등 독특한 식생이 공존하며, 생태학적 연구는 물론 자연 관찰에도 훌륭한 장소입니다. 향후전망 섬생이는 향후 생태자원 보전과 지질학적 연구 가치를 높이 평가받아 지속적인 보호와 관리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관광객들은 추자도 묵리고개 전망대에서 섬생이의 경관을 감상할 수 있으며, 제주도와 해양수산부 누리집을 통해 관련 정보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자연 친화적 여행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2025년 9월 이달의 무인도서 포스터 (출처: 해양수산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