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고용동향: 취업자 증가, 실업률 안정세 속 청년층은 부진

2025년 9월, 일자리는 늘고 실업은 안정세

최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5세 이상 취업자는 2,915만4천 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31만2천 명 늘었습니다. 고용률은 63.7%로 0.4%p 상승하며 안정적인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2025년 9월 고용동향: 취업자 증가, 실업률 안정세

 특히 여성과 60세 이상 고령층의 고용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반면 청년층(15~29세)은 다소 감소세를 보였는데, 경기 둔화와 기업 채용 축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구분2024년 9월2025년 9월증감
고용률(15~64세)69.9%70.4%+0.5%p
실업률(전체)2.1%2.1%변동없음
청년층 고용률45.8%45.1%-0.7%p

15~64세 고용률 상승의 의미

올해 9월 기준 15~64세 인구의 고용률은 OECD 기준으로 70.4%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0.5%p 상승한 수치로, 코로나 이후 회복 국면에서 이어지는 긍정적인 흐름입니다. 특히 30대와 40대에서 고용률이 상승해 경제활동의 중심 세대가 다시 일터로 복귀하는 모습이 두드러졌습니다.

2025년 9월 고용동향: 경제활동인구 구조 ()수치는 전년동월대비 증감
▲ 2025년 9월 고용동향: 경제활동인구 구조 ()수치는 전년동월대비 증감 (출처: 통계청)

산업별 취업자, 복지·교육·여가 분야가 견인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30만4천 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7만5천 명), 교육서비스업(+5만6천 명) 등에서 고용이 크게 늘었습니다. 반면 농림어업(-14만6천 명)제조업(-6만1천 명)은 감소세를 보여 산업 구조 전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9월 고용동향: 연령계층별 고용률 현황
▲ 2025년 9월 고용동향: 연령계층별 고용률 현황 (출처: 통계청)

실업률 2.1% 유지, 청년층은 여전히 부담

2025년 9월 전체 실업률은 2.1%로 지난해와 동일했습니다. 남성 실업률은 다소 높아졌지만, 여성 실업률은 하락했습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4.8%로 전년보다 0.3%p 하락했으나, 체감 구직난은 여전합니다. 이는 단기 일자리 증가보다는 장기 안정직 부족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2025년 9월 고용동향: 산업별 취업자 현황 ()수치는 전년동월대비 증감
▲ 2025년 9월 고용동향: 산업별 취업자 현황 ()수치는 전년동월대비 증감 (출처: 통계청)

향후전망

정부는 인공지능, 반도체, 복지서비스 등 신산업 중심의 고용 창출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국가데이터처는 지속적으로 월별 고용동향을 공개하며, 고용 안정성과 일자리 질 개선을 위한 통계 기반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청년층 맞춤형 일자리 정책과 고령층 고용 연장 방안이 고용시장 회복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고용통계보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