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소비자물가, 전기·외식·커피값까지 줄줄이 올랐다
2025년 6월 소비자물가 전년보다 얼마나 올랐을까?
2025년 6월 소비자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 막연히 숫자만 보면 감이 안 오시죠?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체감 물가가 생각보다 더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
장바구니와 전기요금, 외식비까지 모두 영향을 받은 이번 소비자물가동향을 이미지와 함께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2025년 6월 소비자물가 핵심 요약
2025년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2% 상승했습니다. 전기·가스·수도(3.1%), 서비스(2.4%), 공업제품(1.8%) 등 전반적으로 상승세였으며,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했습니다.
한눈에 보는 소비자물가 인포그래픽
아래 이미지는 통계청이 제공한 2025년 6월 소비자물가 개요입니다. 특히 생활물가와 서비스 부문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신선식품지수는 다소 하락해 대조를 이룹니다.
![]() |
| ▲ 2025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 인포그래픽 |
생활 속 물가 체감은 어떤가요?
정부 자료에 따르면 돼지고기(4.4%), 커피(12.4%), 마늘(24.9%) 등이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반면 수박, 배, 무 등의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외식비도 3.1% 상승해 자주 외식하는 분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더 컸을 수 있습니다.
이 표 하나로 체감 물가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분류 | 상승 품목 (상승률) | 하락 품목 (하락률) |
|---|---|---|
| 농축수산물 | 돼지고기 (4.4%), 마늘 (24.9%), 고등어 (16.1%) | 사과 (-12.6%), 배 (-25.2%), 당근 (-30.6%) |
| 공업제품 | 커피 (12.4%), 빵 (6.4%), 햄/베이컨 (8.1%) | 수입차 (-5.6%), TV (-8.3%), 염색약 (-15.9%) |
| 서비스 | 보험료 (16.3%), 생선회(외식) (5.9%) | 호텔숙박료 (-5.4%), 해외여행비 (-1.2%) |
구입을 미루거나 대체할 수 있는 품목은 신중히 판단해보세요.
단순 숫자가 아닌 나의 소비 전략
물가 상승을 막을 순 없지만 대응은 가능합니다. 이번 달처럼 외식비와 전기요금이 올랐을 때는 가정식 비중을 늘리고, 전력 사용량을 관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농축수산물처럼 계절에 따라 가격이 요동치는 품목은 대체식품으로 선택지를 넓히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내가 사는 지역의 물가가 전국 평균과 비교해 어떤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지역 | 전년동월대비 상승률 |
|---|---|
| 강원 | 2.4% |
| 경기 | 2.3% |
| 서울·대구·인천 외 다수 | 2.1% |
| 광주 | 1.9% |
| 제주 | 1.7% |
앞으로 물가는 더 오를까?
현재 추세대로라면 큰 폭의 급등은 없더라도, 서비스나 공공요금 분야를 중심으로 완만한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도 함께 비교해보면 이번 달 물가 변화가 더 잘 이해될 수 있습니다.
또한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 페이지를 즐겨찾기 해두고 매월 동향을 확인하는 것도 좋은 경제 습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