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2025년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 오피스 상승 vs 상가 하락 심화

한국부동산원에서 발표한, 2025년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최신 동향을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게요. 복잡한 숫자와 그래프 대신, 핵심만 쏙쏙 뽑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오피스와 상가(중대형, 소규모, 집합)를 대상으로 임대료 변동, 투자 수익률, 그리고 빈 점포 비율(공실률) 등을 꼼꼼하게 살펴보았어요. 과연 우리 주변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요?

2025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시도별 투자수익률 지도
▲ 2025년 2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시도별 투자수익률 지도

상업용 부동산 시장, 오피스와 상가의 온도차!

2025년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오피스와 상가가 서로 다른 모습을 보였어요. 마치 한쪽은 따뜻하고, 다른 한쪽은 쌀쌀한 날씨 같다고 할 수 있죠.

먼저, 오피스(사무실)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경기 지역의 오피스는 낮은 공실률이 유지되면서 대형 오피스를 중심으로 임대료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어요.

서울의 도심, 강남, 여의도마포 같은 주요 업무 지구는 프라임급 오피스의 선호 현상이 강해지며 임대인 우위 시장이 지속되고 있고,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진행 중인 용산은 신축 오피스를 중심으로 임대료 상승세를 보이며 서울의 임대가격지수는 전분기 대비 1.06% 상승했어요.

경기 지역의 판교·분당 지역도 IT 업계의 오피스 수요 대비 공급 부족으로 임대료 상승이 지속되고 있어 전분기 대비 0.45% 상승했습니다. 다만, 지방 시도는 수도권으로의 기업 집중 현상에 따른 오피스 임차 수요 감소로 인해 임대료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어요.

전국 오피스의 평균 임대료는 1제곱미터당 18,600원 수준이며, 투자 수익률은 1.36%를 기록했어요. 빈 사무실은 전국 평균 8.6%인데, 충북(31.1%), 강원(24.1%), 경북(23.8%) 등 지방은 빈 사무실이 많은 편이에요.

반면에, 상가 시장은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물가가 계속 오르면서 사람들이 돈을 아껴 쓰다 보니 상점들의 매출이 줄어들고 있어요.

이 때문에 상가 임대료는 전국적으로 내려가는 추세입니다. 서울은 뚝섬, 용산역 등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유동 인구 및 매출이 증가하며 임대료 상승세가 지속되었으나, 서울을 제외한 지역은 원도심 상권이 침체되면서 임대시장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어 서울과 그 외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인천은 대체상권 개발에 따른 수요층 이동으로 상권이 분산되며 원도심 상권에서 큰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노후 상가와 후면 상가를 중심으로 공실이 장기화되면서 상권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고 해요.

전국 상가의 평균 임대료는 집합 상가가 1제곱미터당 27,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대형 상가는 26,500원, 소규모 상가는 20,600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상가 투자 수익률은 중대형 상가 0.83%, 소규모 상가 0.69%, 집합 상가 1.07%로 모두 전 분기보다 하락했습니다. 빈 점포 비율은 중대형 상가가 13.4%로 가장 높았고, 집합 상가 10.5%, 소규모 상가 7.5% 순입니다.

특히 세종시의 집합 상가는 빈 점포가 많아 투자 수익률이 -0.16%로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고 합니다.


향후 전망: 양극화 심화와 스마트 투자 전략 필요

앞으로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오피스와 상가 간의 양극화가 더욱 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좋은 위치에 있는 오피스는 계속해서 인기를 누리겠지만, 지방이나 특정 상권의 상가들은 어려움이 이어질 수 있어요.

따라서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하거나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점들을 꼭 생각해야 합니다.

  • 지역별, 유형별 특성 파악: 무턱대고 투자하기보다는 각 지역과 오피스, 상가 같은 건물 유형별로 시장 상황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해요. 서울의 중심 오피스나 특정 상권은 여전히 기회가 될 수 있지만, 그 외 지역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 수익률 및 공실률 분석: 단순히 임대료가 높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실제 투자 수익률이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빈 점포가 얼마나 되는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빈 점포가 많으면 임대료를 낮춰야 할 수도 있거든요.
  •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주시: 상가 시장은 특히 사람들의 소비 방식 변화에 민감해요. 온라인 쇼핑의 증가, MZ세대의 선호 상권 변화 등을 잘 파악해서 유동 인구가 많고 특색 있는 상권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부 정책 및 경제 지표 확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나 경제 상황(물가, 소비 심리 등)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니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번 2025년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 동향은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eb.or.kr/r-one), 국토교통부 통계누리(stat.molit.go.kr),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kr) 및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정보 앱을 통해서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요. 똑똑한 정보를 바탕으로 현명한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