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혼인율인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인구동향, 출생 증가·사망 감소로 인구감소폭 완화

이미지
2025년 8월, 인구 감소세 완화의 신호 2025년 8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구조에 긍정적인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국가데이터처 가 발표한 통계에 의하면, 출생아 수는 2만 86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했습니다. 사망자는 2만 8,971명으로 9.8% 감소하며, 자연감소 인구 규모는 –8,105명으로 완화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혼인은 늘고, 이혼은 줄어들며 전반적인 사회 회복세가 감지됩니다. 구분 2024년 8월 2025년 8월 증감률(%) 출생아 수 20,103명 20,867명 +3.8% 사망자 수 32,121명 28,971명 -9.8% 혼인 건수 17,527건 19,449건 +11.0% 이혼 건수 7,616건 7,196건 -5.5% 자연증가(명) -12,018 -8,105 감소폭 완화 출생률 회복과 혼인 증가의 의미 출생아 수가 20개월 만에 꾸준히 상승세를 보인 것은 저출산 완화의 신호로 평가됩니다. 특히 서울과 경기 지역의 출생 증가율이 각각 9.3%, 7.6%로 높았으며, 첫째아 비중이 62.9%로 2%p 증가했습니다. 이는 결혼과 첫 출산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혼인 건수 또한 전년 대비 11% 증가해,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 2025년 8월 인구동향: 출생․사망 (출처: 국가데이터처) 사망자 감소와 사회 회복세 올해 여름 폭염과 감염병 영향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수는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2025년 8월 사망자 수는 2만 8,971명으로, 2024년 대비 약 3,150명 줄었습니다. 특히 고령층 사망률이 안정세를 보이며, 의료 접근성과 예방의료 확대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편, 이혼율은 1.7로 낮아져 가족 관계 유지율이 개선된 모습입니다. ▲ 2025년 8월 인구동향: 혼인․이혼 (출처: 국가데이터처) 향후전망 이번 인구동향은 인구 감소세가 다소 완화되는 ...

2025년 6월 인구동향: 출생은 늘었지만, 인구는 여전히 줄어

이미지
출생은 늘었지만, 인구는 여전히 줄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통계청 이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9.4% 증가해 1만 9,953명이었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사망자 수는 2만 7,270명으로, 여전히 출생보다 많아 인구 자연감소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혼인 건수는 18,487건으로 9.1% 늘고, 이혼은 6,777건으로 6.0% 줄었습니다.     출산율 소폭 상승, 자연감소폭은 줄었지만…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으며, 특히 30~39세 여성의 출산율이 뚜렷하게 증가했습니다. 자연감소폭은 전년 대비 1,317명 줄었지만, 여전히 인구 감소세를 반전시키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시도별로는 세종과 경기에서만 인구가 소폭 증가했고, 나머지 지역은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 2025년 6월 인구동향: 출생․사망     이혼 감소, 결혼 생활의 변화 시사 이혼 건수가 전년 대비 6.0% 감소하며 전체 가정 구조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결혼 5~9년차 부부의 이혼이 큰 폭으로 줄었고, 전 연령대에서 이혼율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경제 안정, 가치관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 2025년 6월 인구동향: 혼인․이혼     향후전망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의 동반 증가는 긍정적 신호이지만, 고령화와 낮은 출산율의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인구 반등을 위해서는 일자리, 주거, 양육환경 개선 등 실질적인 정책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