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질병관리청인 게시물 표시

열대야 온열질환 예방법, 밤새 뒤척이는 당신을 위한 해답

이미지
열대야 온열질환 예방법, 당신의 여름밤을 지키는 가장 현실적인 수칙 창문을 열어도, 선풍기를 켜도… 도무지 잠들기 어려운 밤.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열대야. 하지만 그냥 ‘덥다’고 넘기기엔 너무 위험합니다. 질병관리청 은 최근 밤에도 온열질환자가 급증했다고 경고했죠. 열대야 온열질환 예방법 ,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온열질환 카드뉴스 열대야는 왜 위험할까요? 온열질환은 단지 더운 날 일어나는 일이 아닙니다. 열대야 온열질환 예방법 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수면 중 체온 조절 실패” 때문이에요. 어르신이나 아이들, 에어컨 없이 지내는 분들은 땀을 배출하지 못해 열사병이나 열탈진에 쉽게 노출됩니다. 밤에도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잠들기 전, 작은 실천이 생명을 지킵니다 자기 전에 꼭 지켜야 할 열대야 온열질환 예방법 이 있습니다. 수면 1~2시간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기 커피, 술, 야식 줄이고 물은 충분히 섭취 잠자기 직전엔 물을 너무 많이 마시지 않기 습관 하나만 바꿔도, 다음날 아침 몸이 다릅니다. 시원한 수면 환경 만드는 법 무더운 날씨에도 숙면을 위한 환경은 만들 수 있어요. 열대야 온열질환 예방법 에 따르면, 가장 중요한 건 ‘공기 흐름’과 ‘습도 조절’입니다. 에어컨이 없다면 선풍기 방향을 창문 밖으로 실내 온도는 25도 내외, 습도는 50~60% 유지 얇고 통풍 잘되는 면소재 잠옷 착용 밤새 뒤척이지 않으려면, 잠자리부터 바꿔야 합니다. 낮 동안의 관리가 밤을 바꿉니다 낮에 너무 지치면, 밤에도 회복이 어렵습니다. 열대야 온열질환 예방법 은 하루 전체를 통틀어 지켜야 하는 것이죠. 폭염 시간대(낮 12시~4시) 외출 자제 기상정보 자주 확인하고 폭염특보 시 실내 대피 만성질환자는 무리하지 않기 지금 여러분이 지키는 생활이, 밤의 컨디션을 결정합니다. ▲ 무더운 여름, 온열질환을 조심하세요!...

신속한 역학조사로 결핵환자 200명 조기 발견, 지역사회 결핵전파 차단

이미지
2023년 1만 7,663가구와 3,620개 집단시설 대상 총 10만 7,804명 결핵 역학조사 시행 결핵환자의 가족과 집단시설 접촉자 조사결과, 추가 결핵환자 200명(접촉자 10만 명당 185.5명, 일반인 발생률 대비 약 5배 높음) 조기 발견, 결핵 전파 차단을 위해 역학조사 적극 협조 및 잠복결핵감염 등 치료 당부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발생한 결핵환자의 접촉자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추가로 결핵환자 200명을 조기에 발견하였고 이는 일반인에 비해 약 5배 높다고 발표하였다. 결핵 역학조사는 지자체가 결핵환자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한 가족과 집단시설 접촉자를 대상으로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시행하여, 추가 결핵환자와 잠복결핵감염자를 신속히 발견하고 치료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 잠복결핵감염자: 결핵균에 감염되었으나 결핵균이 면역력에 억제되어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은 상태 2023년 결핵환자의 전체 접촉자는 10만 7,804명이었고 결핵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200명(접촉자 10만 명당 185.5명)을 조기에 발견하였다. 또한 5만 4,354명에 대해 잠복결핵감염 검사를 한 결과, 1만 4,207명(26.1%)이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되었고, 잠복결핵감염 치료대상자 1만 3,102명 중 52.1%(6,829명)가 치료를 시작하였다. * 잠복결핵감염 검사는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와 집단시설 내 밀접접촉자 대상으로 시행 * 잠복결핵감염 치료대상자: 잠복결핵감염자 중 △다제내성, 광범위 약제내성 및 광범위약제내성 전단계 결핵환자의 접촉자, △과거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치료자, △잠복결핵감염 치료 전 검사 이상자 제외 먼저, 가족접촉자 대상 결핵 역학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3년 결핵환자의 가족접촉자는 2만 1,502명으로 전년(22,297명) 대비 3.6%(795명)가 감소하였다. 이는 국내 결핵환자 감소 및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평가하였다. 결핵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는 99명이었고(접촉자 10만 명당 460.4명), 잠...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