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률, 2023년 기준 공공부문 3.86%·민간부문 2.99% 10년간 상승세

2023년 장애인 고용률이 전년 대비 상승하며 3.17%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장애인 의무고용현황에 따른 결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모두 장애인 고용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2023년 장애인 고용현황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공공 및 민간부문에서의 고용률 변화와 향후 장애인 고용 증대 방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장애인 고용현황 개요

2023년 장애인 고용률은 전년 대비 0.05%p 상승한 3.17%로 나타났습니다. 공공부문은 3.86%, 민간부문은 2.99%로, 전체적으로 고용률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사업체가 의무고용대상으로 포함되었으며, 32,316개소의 사업체가 해당되었습니다. 2023년 장애인 고용인원은 12,500명 증가하여 총 215,195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의무 고용 사업체 장애인 고용현황


공공부문 장애인 고용률 분석

공공부문에서는 자치단체가 5.9%로 가장 높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공공기관은 3.90%, 중앙행정기관은 3.43%, 헌법기관은 2.86%, 교육청은 2.51%로 나타났습니다.

자치단체는 일자리 사업에 장애인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공공기관은 ‘장애인 고용현황 공시 의무화’ 등의 정책이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정부부문에서 공무원과 비공무원의 고용률은 각각 2.86%, 6.14%로 비공무원이 의무고용률을 크게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 분석

민간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2.99%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1,000인 이상 기업의 고용률이 전년 대비 0.11%p 상승하여 전체 장애인 고용률 상승의 주요 요인이 되었습니다.

장애인 고용인원은 215,195명으로, 500인 이상 기업이 전체의 51%를 차지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민간기업의 경우, 장애인 고용을 어려워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컨설팅 확대와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규제 완화 등의 지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장애인 고용 증대 방안

고용노동부는 장애인 고용률을 더욱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공공부문은 장애인 고용이 어려운 분야에 대해 관계부처와 전담팀(TF)을 구성하여 고용률을 높이도록 적극 독려할 계획입니다.

민간부문은 장애인 고용을 어려워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확대하고, 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규제를 완화하여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할 방침입니다. 또한, 장애인 구분모집 확대, 응시자 맞춤형 편의제공, 임용 후 근무여건 지원 강화 등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2023년 장애인 고용률 상승은 고용노동부의 노력과 각 업계의 협력 결과입니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모두 장애인 고용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이 시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장애인의 고용 기회를 확대하고, 안정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더 나은 사회적 통합과 경제적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날씨정보 2017년 08월 16일 수요일 11시 발표

LG전자, 빌트인 고압 스티머 탑재 ‘올 뉴 스타일러’ 출시

봄철에는 영양소가 풍부한 ‘숭어’와 ‘해조류’를 맛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