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 대회
요즘 사람들은 농식품을 주로 온라인에서 가정간편식이나 디저트, 맞춤형 이유식을 구매함으로써 소비하며, 새벽 배송을 통해 신선하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생활환경이 빠르게 바뀌면서 농식품 소비 형태도 그에 맞춰 달라지고 있다고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분석 결과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농식품 소비 경향의 변화를 간략히 살펴보면, (오프에서 온으로) 지난 8년간(2010∼2017) 온라인 농식품 구매액은 354% 치솟은 반면, 오프라인 구매액은 6% 증가에 그쳤다. (엄마에서 셰프로) ‘싱글족’ 증가와 맞물려 ‘건강과 맛’을 공략한 가정간편식(2017, 3조 원) 시장은 엄마의 ‘집밥’을 대신하며 성장했다. * 가정간편식: HMR로 불리며,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대체 식품을 통칭 (주식에서 간식으로) 디저트 시장은 8.9조 원(2016) 규모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커진데다, 수입 과일도 꾸준히 찾고 있다(2000년 이후 121% 증가). (당일에서 새벽으로) 새벽 배송 시장도 100억 원(2015)대에서 4,000억 원(2018)으로 급성장하며, 신선도에 대한 수요를 반영했다. (연령에서 월령으로) 20배(2013∼2017) 증가한 친환경 이유식 시장(70억 원)은 아이의 ‘월령(개월 수)별’로 맞춤 재료를 제공하고 있다. 887만 개(2010∼2017) 이상의 가계부 구매 건수와 온라인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28일 오전 9시 농촌진흥청에서 열리는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곁들여 더욱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 2010∼2017 연속 기장 패널: 수도권 653가구, 2017 단년도 분석: 지방광역시 포함 1,678 가구 또한, 도시 가구의 가계부에서 엄선한 14품목(식량작물부터 GAP까지)의 구매 동향도 눈길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쌀) 지난해 가구당 쌀 구매액(2010년 대비)은 28% 준 반면, 즉석밥(햇반 등)은 46% 상승한 까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