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통계인 게시물 표시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송도컨벤시아 개최

이미지
2024년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가 개최됩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드론 관련 정부 정책 및 사업, 드론 교육 및 자격 관리,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등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드론 산업에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를 적극 권장합니다! 드론 기술, 미래를 날다! 최근 드론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드론은 물류, 의료, 농업, 건설, 안전, 여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는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을 추진하며 드론 산업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드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내 드론 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가 개최되어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개요 주요 정보 주제: 드론으로 실현하는 세상, Drones Come True! 기간: 2024년 5월 9일 (목) ~ 11일 (토) 장소: 인천 송도컨벤시아 주최: 국토교통부, 인천광역시, 한국교통안전공단(TS) 등 주요 내용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 전시 드론 관련 정부 정책 및 사업 소개 드론 교육 및 자격 관리 홍보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소개 드론 관련 학술 컨퍼런스 및 세미나 개최 주요 행사 및 전시 내용 TS 홍보관: 드론 기체신고, 드론조종자자격, 드론 사용사업 관리 등 TS 주요 사업 소개, 드론정보통합시스템, 전문인력 양성, 국가 R&D, 드론 보험협의체 등 소개 드론인프라관: TS 화성·김천 드론 자격센터, 시흥 드론교육센터 소개, 국민 대상 드론교육 및 드론자격관리 업무 소개 K-드론배송특별관: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개요 및 주요 내용 소개, TS 드론상황관리센터 및 드론 배

2019년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 전년대비 116명(11.9%) 감소

이미지
▲ 2010~2019년 산재 사고 사망자 통계 고용노동부 는 2019년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 수 등 관련 통계(잠정)와 2020년 사업장 관리‧감독 방향을 발표했다. <2019> 2019년 산재 사고 사망자는 855명으로 2018년에 비해 116명 감소(△11.9%)했고 2018년과 동일 기준으로는 132명 감소(△13.6%)했다. * 2018. 7. 1.부터 2천만 원 미만 건설공사도 산재보상이 되어 건설업 사고사망자 16명이 추가로 사망자 통계에 포함됨 사고 사망자 통계가 시작(1999년)된 이후 가장 큰 감소 규모이다. * 감소율 순(%): 2019년(△11.9)>2014년(△8.99)>2005년(△8.55)>2001년(△7.71)감소자 순(명): 2019년(△116)>2005년(△111)>2001년(△109)>2014년(△98) 이에 따라, 사고 사망자가 처음으로 800명대로 하락했으며, 사고사망 만인율도 0.51‱에서 0.45~0.46‱으로 하락하여 최초로 0.4대에 진입했다. * 사고사망만인율: (사고사망자 수/상시근로자 수)10,000, 분모인 상시근로자 수 산정은산재보험 가입 사업장이 입력하고 이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약 1개월의 시간이 소요 업종별로는 건설업 57명(지난해 같은 기준 73명), 제조업 11명, 기타 업종 48명 등 업종 전반에서 사고 사망자 수가 감소했다. * 건설업(485명→428명), 제조업(217명→206명), 기타 업종(269명→221명) 건설업의 경우에는 중·소규모(3∼120억)의 현장 중심으로 모든 공사 규모에서 사고 사망자 수가 감소했으며, 발생 형태별로는 건설업 사망 사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추락‧부딪힘에서 각각 25명, 19명이 감소했다. 제조업의 경우에는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9명이 증가하면서 전체 사고 사망자 수는 소폭 감소했다. 발생 형태별로는 사망 사고가 많이 발생했던 끼임 사고에서 가장 많이(9명)

2018년 기준 신혼부부, 132만 2천 쌍 전년대비 4.2% 감소

이미지
▲  2018년 기준 신혼부부 통계 1. 기본현황 2018년 11월 1일 기준 신혼부부는 132만 2천 쌍으로 전년대비 4.2% 감소 재혼부부의 비중은 20.3%로 전년 대비 0.3%p 상승 신혼부부의 거주지역은 경기(27.7%), 서울(18.7%), 경남(6.4%) 순이고, 전년대비 세종만 신혼부부 수가 유일하게 증가 2. 가구 구성 함께 살고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86.8%로 전년대비 0.1%p 하락(혼인종류별로는 초혼부부는 88.5%, 재혼부부는 80.7%가 함께 거주) 3. 출산 및 보육(초혼부부)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의 비중은 40.2%로 전년대비 2.6%p 상승 평균 출생아 수는 외벌이 부부(0.83명)가 맞벌이 부부(0.66명)보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0.81명)가 무주택 부부(0.69명)보다 많음 만 5세 이하 자녀의 보육은 어린이집 보육 48.4%, 가정양육 45.6% 순이고, 전년대비 어린이집 보육은 상승(2.4%p)한 반면, 가정양육은 하락(-2.1%p) 4. 경제활동 현황(초혼부부) 맞벌이 부부의 비중은 전체의 47.5%로 전년대비 2.7%p 상승 부부 합산 평균 소득(연간)은 5,504만원으로 전년대비 4.3% 증가 금융권 대출잔액을 보유한 부부는 85.1%이며, 중앙값은 1억원임 금융권 대출잔액의 중앙값은 맞벌이 부부가 외벌이 부부보다 약 1.3배 높고, 주택을 소유한 부부가 무주택 부부보다 약 1.8배 높음 5. 주거 현황(초혼부부) 가장 많이 거주하는 거처 유형은 아파트(67.6%)로 전년대비 1.4%p 상승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43.8%로 전년대비 0.2%p 상승 6. 종단면 분석(초혼부부) * 동일한 집단(혼인 4년차 신혼부부)을 대상으로 시간변화에 따른 변화상을 분석, 시간 경과에 따라 주택을 소유한 부부 비중(14.8%p)과 출산한 부부의 비중(54.5%p)은 점차 상승하고, 맞벌이 부부 비중은 혼인 3차년도까지 하락(-7.5

2019년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전년동월대비 18.6% 증가 11조 1,953억원

이미지
▲ 2019년 3월 온라인쇼핑 동향 2019년 3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18.6% 증가한 11조 1,953억원 수준이며,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은 27.9% 증가한 7조 486억원을 기록 전월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7.1%,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4.4% 각각 증가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3.0%로 전년동월(58.4%)에 비해 4.6%p 증가 2019년 3월 상품 부문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서비스(26.5%), 가전(27.3%), 패션(11.3%) 순으로 증가 전월대비로는 패션(24.5%), 가전(19.5%), 식품(18.4%) 순으로 증가 2019년 3월 세부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가전·전자·통신기기(40.1%), 음식서비스(89.8%), 화장품(22.6%) 등에서 증가 전월대비로는 의복(34.1%), 가전·전자·통신기기(31.5%) 등에서 증가했으나, 여행 및 교통서비스(-2.1%), 컴퓨터 및 주변기기(-2.1%)에서 감소 2019년 3월 상품 부문별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서비스(44.1%), 패션(19.3%), 가전(39.2%) 순으로 증가 전월대비로는 패션(20.8%), 가전(19.0%), 식품(17.3%) 순으로 증가 2019년 3월 세부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음식서비스(94.7%), 가전·전자·통신기기(49.5%), 화장품(38.0%) 등에서 증가 전월대비로는 의복(36.1%), 가전·전자·통신기기(30.0%) 등에서 증가했으나, 여행 및 교통서비스(-3.3%), 컴퓨터 및 주변기기(-7.7%) 등에서 감소 2019년 3월 상품 부문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서비스(71.3%), 식품(68.9%), 생활(65.4%) 순으로 높음 전년동월대비 서비스(8.7%p), 도서(6.0%p), 가전(4.5%p) 등에서 확대되었으나, 기타(-12.7%p)에서 축소 전월대비

2019년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전년동월대비 16.4% 증가 9조 5,966억원

이미지
▲ 2019년 2월 온라인쇼핑 동향 2019년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16.4% 증가한 9조 5,966억원 수준이며,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은 26.0% 증가한 6조 1,817억원을 기록 전월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0.4%,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8.9% 각각 감소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4.4%로 전년동월(59.5%)에 비해 4.9%p 증가 2019년 2월 상품 부문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서비스(28.9%), 가전(31.0%) 등에서 증가했으나, 식품(-3.6%)에서 감소 전월대비로는 식품(-32.1%), 패션(-7.5%), 서비스(-5.9%) 순으로 감소 2019년 2월 세부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음식서비스(90.2%), 가전·전자·통신기기(30.7%), 컴퓨터 및 주변기기(31.5%)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축수산물(-24.7%)에서 감소 전월대비로는 음·식료품(-28.0%), 농축수산물(-44.3%), 의복(-13.8%)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문화 및 레저서비스(11.8%), 가방(6.0%)에서 증가 2019년 2월 상품 부문별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서비스(43.6%), 패션(19.6%), 가전(41.9%) 순으로 증가 전월대비로는 식품(-28.8%), 패션(-6.0%), 생활(-9.8%) 순으로 감소 2019년 2월 세부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음식서비스(97.5%), 가전·전자·통신기기(40.1%), 화장품(28.1%)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농축수산물(-9.0%)에서 감소 전월대비로는 음·식료품(-25.6%), 농축수산물(-38.9%), 의복(-12.3%)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문화 및 레저서비스(19.0%), 가방(7.5%) 등에서 증가 2019년 2월 상품 부문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서비스(71.9%), 식품(70.0%), 생활(65.5%) 순으로 높음 전년동

2019년 1월 온라인쇼핑 동향, 10조 7,034억원 최대 기록

이미지
1. 개  황 2019년 1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17.9% 증가한 10조 7,034억원 수준이며,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은 27.7% 증가한 6조 8,170억원을 기록 전월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보합,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3% 증가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3.7%로 전년동월(58.8%)에 비해 4.9%p 증가 2. 상품군별 거래액 □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2019년 1월 상품 부문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식품(42.8%), 서비스(19.5%), 가전(22.1%) 순으로 증가 전월대비로는 식품(30.0%), 가전(9.2%) 등에서 증가했으나, 패션(-14.1%), 도서(-1.7%) 등에서 감소 2019년 1월 세부 상품군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음·식료품(38.7%), 음식서비스(80.0%), 가전·전자·통신기기(24.1%)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문화 및 레저서비스(-16.3%), 패션용품 및 액세서리(-5.2%)에서 감소 전월대비로는 음·식료품(23.3%), 농축수산물(55.2%) 등에서 증가했으나, 의복(-22.0%), 아동·유아용품(-20.9%) 등에서 감소 □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 2019년 1월 상품 부문별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서비스(34.6%), 식품(45.4%), 패션(18.1%) 순으로 증가 전월대비로는 식품(35.4%), 가전(11.2%) 등에서 증가했으나, 패션(-13.0%) 등에서 감소 2019년 1월 세부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전년동월대비 음식서비스(85.6%), 음·식료품(42.9%), 가전·전자·통신기기(31.4%)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문화 및 레저서비스(-16.7%)에서 감소 전월대비로는 음·식료품(31.6%), 농축수산물(48.7%) 등에서 증가했으나, 의복(-24.4%), 아동·유아용품(-19.8%) 등에서 감소 □ 상품군별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 2019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