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미취업 청년을 위한 어학시험·자격시험 응시료 및 수강료 지원

이미지
경기도가 미취업 청년을 위해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를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신청은 5월 2일부터 시작되며, 자세한 내용은 확인해보세요. 경기도, 미취업청년에게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까지 최대 30만 원 지원 경기도 미취업 청년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소개 경기도에서는 미취업 청년들을 대상으로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와 수강료를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고 청년들의 미래를 밝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신청 자격 및 기간 이 프로그램은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미취업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신청 기간은 5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입니다. 신청은 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 잡아바 어플라이 에서 이뤄집니다. 지원 내용과 범위 응시료뿐만 아니라 수강료까지 실비로 지원되며, 개인당 최대 30만 원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과 범위는 지원 연도 기준 청년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응시료와 수강료 지원 대상 및 지원 방법 응시료는 어학 시험 19종, 자격시험 등 총 909종을 지원하며, 수강료는 응시료 지원 분야와 관련된 내용을 학원 등에서 수강한 경우에 지원됩니다. 신청은 잡아바 어플라이를 통해 이뤄집니다. 어학 시험 19종 (TOEIC, 토플, 영어회화능력평가,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태국어,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중국어회화능력평가, 일본어회화능력평가, 프랑스어회화능력평가, 독일어회화능력평가, 스페인어회화능력평가)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국가기술자격 545종 국가전문자격 248종 (2024년 신규 추가) 국가공인민간자격 96종 지원 사업의 의의와 향후 전망 경기도는 미취업 청년들의 취업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경기청년 역량강화 기회 지원 사업’은 미취업 청년들이 어학·자격시험을 통해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고 취업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18년 소상공인실태조사 잠정결과 사업체 274만개, 종사자 632만명

▲ 2018년 기준 소상공인실태조사

2018년 기준 한국표준산업분류 상 대분류(19개) 중 11개 주요 업종의 소상공인 사업체 274만개, 종사자 632만명

(사업체 수) 소상공인 사업체 274만개, 이 중 개인사업자는 249만개(90.8%), 법인사업자는 25만개(9.2%)

산업별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도‧소매업(89만개), 숙박‧음식점업(65만개), 제조업(36만개), 수리·기타서비스업(29만개) 순

(종사자 수) 소상공인 종사자 632만명, 이 중 개인사업자 종사자는 534만명(84.5%), 법인사업자 종사자는 98만명(15.5%)

산업별 소상공인 종사자 수는 도‧소매업(183만명), 숙박‧음식점업(155만명), 제조업(118만명), 수리·기타서비스업(44만명) 순

(사업체)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125만개, 수도권 이외 149만개

(종사자)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304만명, 수도권 이외 328만명

* 한국표준산업분류 상 대분류(19개) 중 11개 주요 업종의 소상공인 대상

(사업체 수) 경기(60만개, 21.9%), 서울(52만개, 19.0%), 부산(20만개, 7.2%), 경남(20만개, 7.2%), 경북(16만개, 5.9%), 대구(15만개, 5.4%) 순

(종사자 수) 경기(154만명, 24.4%), 서울(118만명, 18.7%), 부산(45만명, 7.1%), 경남(43만명, 6.9%), 경북(35만명, 5.6%), 대구(33만명, 5.1%) 순

1. 대표자 연령 및 성별 사업체 수

대표자 연령은 50대, 40대, 60대 이상, 30대, 20대 이하 순 

여성대표자 비중이 높은 업종은 숙박‧음식점업, 수리·기타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대표자 연령대별 사업체 수는 50대(34.4%), 40대(27.0%), 60대 이상(23.3%), 30대(12.9%), 20대이하(2.4%) 순

도·소매업의 대표자 연령대는 50대(32.0%), 40대(26.5%), 60대 이상(25.7%) 순

교육서비스업의 대표자 연령대는 40대(43.1%), 30대(29.5%), 50대(20.7%) 순

여성대표자인 사업체는 125만개(45.7%)이며, 여성대표자 비중이 높은 업종은 숙박·음식점업(63.6%), 수리·기타서비스업(58.3%), 교육서비스업(57.2%) 순

2. 창업동기 및 준비기간 

창업동기는 자신만의 사업을 경영하고 싶어서(58.6%), 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31.1%), 취업이 어려워서(7.8%) 순

창업에는 평균 9.5개월 소요, 준비기간은 1년 미만이 63.4%

창업동기는 자신만의 사업을 경영하고 싶어서(58.6%), 수입이 더 많을 것 같아서(31.1%), 취업이 어려워서(7.8%), 기타(2.5%) 순이며,

20대 이하, 60대 이상에서는 취업 어려움에 의한 창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창업을 결심한 시점부터 실제 창업까지 준비기간은 평균 9.5개월이며, 창업 준비기간은 1년~2년미만(25.2%)이 가장 많고, 1년 미만이 63.4%

3. 창업 비용  

사업체당 창업비용 103백만원, 이 중 본인부담금 72백만원(70.0%)

창업에 소요된 비용은 사업체당 103백만원이며, 제조업(153백만원), 숙박‧음식점업(105백만원), 도‧소매업(98백만원), 교육서비스업(69백만원) 순

창업비용에서 본인부담금은 사업체당 72백만원(70.0%)이며, 1억원 미만이 76.1%

산업별 창업비용 중 본인부담금은 제조업(93백만원), 숙박‧음식점업(74백만원), 도‧소매업(71백만원), 교육서비스업(54백만원) 순

4. 경영실적

2018년 기준 한국표준산업분류(19개) 중 11개 주요 업종의 소상공인 사업체당 연간 매출액 235백만원, 연간 영업이익 34백만원

사업체당 매출액은 235백만원이며, 제조업(434백만원), 도·소매업(338백만원), 숙박·음식점업(120백만원), 교육서비스업(59백만원) 순

< 평균 상회 > 제조업(434백만원), 도·소매업(338백만원)

< 평균 하회 > 숙박·음식점업(120백만원), 교육서비스업(59백만원), 수리·기타서비스업(53백만원)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34백만원이며, 제조업(53백만원), 도‧소매업(41백만원), 숙박·음식점업(31백만원), 교육서비스업(20백만원) 순

< 평균 상회 > 제조업(53백만원), 도·소매업(41백만원)

< 평균 하회 > 숙박·음식점업(31백만원), 교육서비스업(20백만원), 수리·기타서비스업(18백만원)

5. 부채

부채 보유 사업체는 48.4%, 부채를 보유한 사업체당 부채는 1억 81백만원

소상공인 중 부채가 있는 사업체는 48.4%

산업별로 부채가 있는 소상공인 비중은 제조업(59.7%), 도·소매업(47.5%), 숙박‧음식점업(47.1%), 교육서비스업(39.1%) 순

부채를 보유한 사업체당 부채는 1억 81백만원이며, 제조업(350백만원), 도‧소매업(173백만원), 숙박·음식점업(81백만원), 수리·기타서비스업(66백만원) 순

< 평균 상회 > 제조업(350백만원)

< 평균 하회 > 도‧소매업(173백만원), 숙박·음식점업(81백만원), 수리·기타서비스업(66백만원), 교육서비스업(44백만원)

6. 사업장 점유형태 및 임차비용

사업장은 소유 21.2%, 임차 78.8%, 임차사업장 중 보증부월세 86.1%

사업체당 보증부월세의 보증금 2,201만원, 월세 122만원

사업장의 점유형태는 임차(78.8%)가 대부분이며, 소유는 21.2%로 나타남

(수도권) 임차(86.9%), 소유(13.1%), (비수도권) 임차(72.0%), 소유(28.0%)

임차비용은 보증부 월세가 보증금 2,201만원·월세 122만원, 무보증 월세는 월세 77만원, 전세는 보증금 4,476만원

보증부 월세는 수도권에서 보증금 2,438만원·월세 148만원인 반면, 비수도권은 보증금 1,939만원·월세 93만원

7. 경영애로 및 희망정책

경영애로는 상권쇠퇴(45.1%), 경쟁심화(43.3%), 원재료비(30.2%)를 언급

소상공인은 자금지원(67.2%), 세제지원(55.7%), 판로지원(19.3%)를 희망

경영상 어려움으로 상권쇠퇴(45.1%), 경쟁심화(43.3%), 원재료비(30.2%),  최저임금(18.0%), 임대료(16.2%) 순으로 어려움을 호소(복수응답)

소상공인의 희망정책은 자금지원에 대한 수요(67.2%)가 가장 높았으며, 세제지원(55.7%), 판로지원(19.3%), 인력지원(14.0%) 순으로 희망(복수응답)


출처: 통계청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 현황

봄철에는 영양소가 풍부한 ‘숭어’와 ‘해조류’를 맛보세요

영문 운전면허증 사용국 37개국으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