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송도컨벤시아 개최

이미지
2024년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가 개최됩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드론 관련 정부 정책 및 사업, 드론 교육 및 자격 관리,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등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드론 산업에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를 적극 권장합니다! 드론 기술, 미래를 날다! 최근 드론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드론은 물류, 의료, 농업, 건설, 안전, 여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는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을 추진하며 드론 산업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드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내 드론 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가 개최되어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개요 주요 정보 주제: 드론으로 실현하는 세상, Drones Come True! 기간: 2024년 5월 9일 (목) ~ 11일 (토) 장소: 인천 송도컨벤시아 주최: 국토교통부, 인천광역시, 한국교통안전공단(TS) 등 주요 내용 국내·외 최첨단 드론 기술 전시 드론 관련 정부 정책 및 사업 소개 드론 교육 및 자격 관리 홍보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소개 드론 관련 학술 컨퍼런스 및 세미나 개최 주요 행사 및 전시 내용 TS 홍보관: 드론 기체신고, 드론조종자자격, 드론 사용사업 관리 등 TS 주요 사업 소개, 드론정보통합시스템, 전문인력 양성, 국가 R&D, 드론 보험협의체 등 소개 드론인프라관: TS 화성·김천 드론 자격센터, 시흥 드론교육센터 소개, 국민 대상 드론교육 및 드론자격관리 업무 소개 K-드론배송특별관: K-드론 배송상용화 사업 개요 및 주요 내용 소개, TS 드론상황관리센터 및 드론 배

2020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잠정)

▲ 최근 6년간 어업생산량 및 생산금액 변화 추이

1. 총괄


2020년 어업생산량은 371만톤으로 전년(386만톤) 대비 3.8%(-15만톤) 감소


일반해면(연·근해)어업은 수온 상승 영향으로 난류성 어종인 멸치, 갈치, 살오징어 등의 자원량 증가로 전년 대비 2.2% 증가


천해양식어업은 전년에 비해 해양환경(긴 장마, 기상악화) 변화 등으로 생산 비중이 높은 김류, 미역류, 굴류 등의 양식 작황 부진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


원양어업은 어획 비중이 높은 가다랑어, 꽁치 등의 자원량 감소에 따른 어획 부진으로 전년 대비 13.3% 감소


내수면어업은 전염병(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활동 자제로 뱀장어, 메기, 송어류의 소비 부진 등으로 전년 대비 3.8% 감소


2020년 어업생산금액은 8조 7,582억 원으로 전년(8조 3,663억 원) 대비 4.7%(3,919억 원) 증가


연․근해어업은 어획 비중이 높은 멸치, 갈치, 참조기, 살오징어 등 어획량 증가 및 출하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10.4% 증가


천해양식어업은 해양환경 악화, 양식 작황 부진으로 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굴류, 김류, 미역류 등의 판매 가격 상승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


원양어업은 어획량 비중이 높은 다랑어류(68.2%) 중 가다랑어, 꽁치 등은 자원량 감소에 따른 조업 부진으로 전년 대비 6.7% 감소


내수면어업은 경기침체(코로나19)로 생산량이 많은 뱀장어, 메기, 송어류의 출하량 감소 및 소비 부진으로 전년 대비 8.4% 감소


2. 어업별 생산동향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3만 2천톤으로 전년(91만 2천톤) 대비 20천톤 (2.2%) 증가


연·근해 주변 해역 수온 상승 등의 영향으로 멸치, 갈치, 살오징어 등의 어획량은 증가한 반면, 고등어류, 삼치류 등은 해양환경(긴 장마, 기상악화) 등에 의해 대형선망어업 등 출어 자제 및 조업 부진으로 어획량 감소

▲ 일반해면(연․근해)어업 주요 어(품)종 생산량 변화

천해양식어업 생산량은 230만9천톤으로 전년(2,410천톤) 대비 10만 1천톤(-4.2%) 감소


경기침체에 따른 경영자금 확보를 위해 중․대형어인 조피볼락 등 조기 출하로 생산량이 증가한 반면, 생산 비중이 높은 김류, 미역류, 굴류 등은 해양환경(긴장마, 기상악화) 변화에 따른 양식 작황 부진


원양어업 생산량은 43만 7천톤으로 전년(50만 4천톤) 대비 6만 7천톤(-13.3%) 감소


쿼터량(명태) 확대 및 자원량 증가로 황다랑어, 오징어류 등은 증가한 반면, 어획량 가장 많은 가다랑어, 꽁치 등은 어획 부진 등으로 감소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3만 4천톤으로 전년(3만 5천톤) 대비 1천톤(-3.8%) 감소


경기침체(코로나19)로 생산량이 많은 뱀장어, 메기, 송어류 등은 소비 부진으로 인한 양식 활동 자제로 생산량 감소


3. 시·도별, 어(품)종별 생산동향


① 시·도별 생산동향


국내 어업생산량은 총 327만6천톤 중 전남이 187만8천톤(57.3%)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남 59만7천톤(18.2%), 부산 23만4천톤(7.1%), 충남 15만2천톤(4.6%), 제주 9만9천톤(3.0%), 경북 9만2천톤(2.8%) 순임

▲ 주요 시·도별 어업생산량 변화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93만 2천톤 중 경남 21만 6천톤(23.1%)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산 19만 6천톤(21.0%), 전남 16만 8천톤(18.0%), 경북 8만 5천톤(9.1%), 충남 8만 4천톤(9.0%) 순임


경남은 해면어업의 어선 척수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멸치 잡는 근해어업의 기선권형망어업, 연안어업의 정치망어업, 자망어업에서의 어획량 비중이 높았음


부산은 근해어업의 중․대형 어선 요충지로 고등어, 전갱이를 어획하는 대형선망과 그 외 대형어선에서의 갈치, 삼치 등의 어획 비중이 높았음


전남은 근해어업의 대형 어선어업에서 갈치, 멸치, 참조기, 삼치류 등과 연안복합 및 통발어업에서의 낙지, 주꾸미 등의 어획량 비중이 높았음


경북은 자망어업, 근해통발어업, 근해채낚기, 정치망어업에서 청어, 붉은대게, 살오징어, 고등어 등의 어획량 비중이 높았음


충남은 선망어업 및 근해안강망어업에서 멸치, 까나리, 대구, 오징어 등의 어획량 비중이 높았음


천해양식어업 생산량은 230만 9천톤 중 전남이 170만 1천톤(73.7%)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남 37만 8천톤(16.4%), 충남 6만 4천톤(2.8%), 전북 5만 6천톤(2.4%), 부산 3만 7천톤(1.6%), 경기 2만 9천톤(1.2%) 순임


전남지역은 김류, 다시마, 미역, 전복류 등 생산량의 비중이 높았고, 경남지역은 굴류, 홍합류, 우렁쉥이(멍게) 등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남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3만 4천톤 중 전남이 8천 2백톤(24.1%)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북 6천 7백톤(19.8%), 충남 4천 3백톤(12.8%), 경남 3천 7백톤(10.8%), 경기 2천 8백톤(8.4%), 강원 2천 5백톤(7.5%) 순임


② 어(품)종별 생산동향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총 93만 2천톤 중 멸치 21만 7천톤(23.2%)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등어류가 8만 3천톤(8.9%), 갈치 6만 6천톤(7.0%), 살오징어 5만 7천톤(6.1%), 전갱이류 4만 5천톤(4.9%), 참조기 4만 1천톤(4.4%) 순임


천해양식어업 생산량은 총 230만 9천톤 중 다시마류가 67만 5천톤(29.2%)으로 가장 많았으며, 김류 53만 6천톤(23.2%), 미역류 50만 2천톤(21.7%), 굴류 30만톤(13.0%), 홍합류 6만 2천톤(2.7%), 넙치류 4만 4천톤(1.9%) 순임


원양어업 생산량은 총 43만 7천톤 중 다랑어류* 29만 8천톤(68.2%)으로 가장 많았으며, 남극크릴 4만 5천톤(10.2%), 오징어류 3만 8천톤(8.7%), 명태 2만 7천톤(6.2%), 꽁치 6천톤(1.4%), 민대구류 6천톤(1.3%) 순임


* 다랑어류: 가다랑어, 황다랑어, 눈다랑어, 날개다랑어, 남방참다랑어, 북방참다랑어, 기타다랑어


내수면어업 생산량은 총 3만4천톤 중 뱀장어가 9천 8백톤(28.7%)으로 가장 많았으며, 우렁이류 6천 1백톤(17.9%), 메기 4천톤(11.6%), 붕어류 2천 6백톤(7.7%), 송어류 2천 4백톤(7.1%), 향어 1천 7백톤(4.9%) 순임


출처: 통계청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영양소 섭취기준을 통해 보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 현황

봄철에는 영양소가 풍부한 ‘숭어’와 ‘해조류’를 맛보세요

도로교통공단, 2023년 하반기 체험형 청년인턴 공개 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