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통증인 게시물 표시

대상포진 증상·치료·예방 A to Z 한눈에 정리

이미지
면역력이 떨어지면 찾아오는 대상포진의 경고 수두를 앓은 적이 있는 분이라면 누구나 대상포진의 위험을 안고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신경 속에 숨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지는 순간 재활성화되어 통증과 발진을 일으킵니다. 특히 50세 이상, 스트레스가 많거나 질병 치료 중인 분은 발병률이 높아 조기 인식이 중요합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과 진단 핵심 대상포진은 몸 한쪽에 띠처럼 생기는 발진과 찌르는 듯한 통증이 대표적 입니다. 발진 전 통증, 가려움, 저림이 시작되고 이후 물집이 잡힙니다. 의사는 피부의 형태와 통증 정도로 진단하며, 필요 시 혈액검사로 바이러스 항체를 확인합니다. 구분 주요 내용 대응법 원인 수두 바이러스 재활성화 면역력 유지가 핵심 초기 증상 통증, 저림, 가려움 조기 진료 권장 치료 항바이러스제 72시간 내 투여 진통제·청결 유지 병행 예방 대상포진 백신 접종 50세 이상 적극 권장 면역력 관리가 최고의 예방책 대상포진은 한 번 앓으면 후유증으로 ‘신경통’이 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대응과 예방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수면, 스트레스 관리, 균형 잡힌 식사로 면역력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어입니다. 또한 50세 이상이라면 백신 접종을 통해 발병률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향후전망 고령화로 면역 저하 인구가 늘면서 대상포진 환자 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백신 접종과 면역관리 인식이 확산되면서 중증 환자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는 정기 예방접종과 조기치료 문화가 대상포진 관리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대상포진 증상과 치료 자세히 보기

통증을 조절하는 뇌의 특정 단백질과 메커니즘 최초 발견

이미지
미래창조과학부는 “지속적인 통증을 뇌 속의 칼슘의존성 음이온 채널(아녹타민-2)이 인지하고 조절하는 통증 조절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최초로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 음이온채널 : 음전하 이온이 드나들 수 있는 세포막의 통로 * 아녹타민-2 (Anoctamin-2) : 칼슘-의존성 음이온 채널(CACC: Calcium-activated chloride channel)인 염소채널 연구팀은 칼슘의존성 음이온 채널인 아녹타민(Anoctamin)-2가 뇌에서 발현되고 뇌에서 통증을 인지하고 조절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여 통증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정은지 교수 연구팀(연세대)은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원천기술개발사업(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교육부 BK21플러스사업, 산업통상자원부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연구는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2월 19일자에 게재되었다. o 논문명과 저자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논문명 : The Ca2+-activated chloride channel anoctamin-2 mediates spike-frequency adaptation and regulates sensory transmission in thalamocortical neurons - 저자 정보 : 정은지 교수(교신저자, 연세대), 하고은 박사과정 (제1저자, 연세대), 이재광 박사(공동 제1저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필요성 통증은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감각이지만, 과도한 통증 반응이나 제어 불가능한 통증은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불편한 감각이 될 수 있다. 2010년 만성 통증 환자가 220만명(건강보험공단 통계자료)을 넘었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자극에도 통증을 느끼게 되는 악성 통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아직...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