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한국은행인 게시물 표시

한국은행, 2025년 6월 국제수지 동향

이미지
2025년 6월 국제수지 현황 한국은행 발표에 따르면, 2025년 6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142.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보다 개선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상품수지가 큰 폭의 흑자를 유지했고, 본원소득수지도 배당소득 증가 덕분에 확대되었습니다. 다만 서비스수지는 여행과 기타사업서비스 부문의 적자가 지속되었습니다. ▲ 2025년 6월 경상수지 (억달러, %)     세부 동향 상품수지는 수출 603.7억 달러, 수입 472.1억 달러로 131.6억 달러 흑자를 보였습니다. 수출은 반도체와 선박이 증가세를 이끌었으며, 수입은 자본재와 소비재의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금융계정에서는 내국인의 해외 주식 투자와 외국인의 국내 채권 투자가 늘어 순자산이 172.9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향후전망 하반기에도 반도체와 선박 수출 호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이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서비스수지 개선을 위해 관광산업 활성화와 고부가가치 서비스 수출 확대가 필요하며, 금융시장의 변동성에도 대비한 안정적 외환 운용이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2020년 12월 수출입물가지수

이미지
1. 수출물가지수 2020년 12월 수출물가는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석탄및석유제품은 올랐으나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내려 전월대비 0.1% 하락(전년동월대비 5.4% 하락) * 원/달러 평균환율 : 2020.11월 1,116.76 → 12월 1,095.13(전월대비 1.9% 하락, 전년동월대비 6.9% 하락) 농림수산품:전월대비 1.8% 하락 공산품 :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 운송장비 등이 내려 전월대비 0.1% 하락 ※ 계약통화기준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1.6% 상승(전년동월대비 0.7% 상승) 2020년 수출물가는 전년대비 5.3% 하락(계약통화 기준 6.5% 하락) 2. 수입물가지수 2020년 12월 수입물가는 국제유가가 상승하면서 광산품, 석탄 및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전월대비 1.8% 상승(전년동월대비 10.2% 하락) * 두바이유가(월평균, 달러/bbl) : 2020.11월 43.42 → 12월 49.84(전월대비 14.8% 상승, 전년동월대비 23.2% 하락) 원재료 : 광산품이 올라 전월대비 6.9% 상승 중간재 : 석탄 및 석유제품, 제1차금속제품이 올라 전월대비 0.8% 상승 자본재 및 소비재 : 전월대비 각각 0.7%, 1.0% 하락 ※ 계약통화기준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3.5% 상승(전년동월대비 4.9% 하락) 2020년 수입물가는 전년대비 8.7% 하락(계약통화 기준 9.9% 하락) 첨부파일 출처:  한국은행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1~2022 한국관광 100선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