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반도체 주도, 역대 최대 10월 실적
2025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발표 산업통상부 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10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달 ICT 수출은 233.3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2.2% 증가하며 9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역대 10월 기준 최대 실적이며,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ICT 산업의 경쟁력이 견조함을 보여줍니다. 수입은 129.6억 달러로 2.9% 감소해, 무역수지는 103.7억 달러의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2025년 10월 ICT 수출입 주요 지표 수출액: 233.3억 달러 (전년 대비 +12.2%) 수입액: 129.6억 달러 (전년 대비 -2.9%) 무역수지: 103.7억 달러 흑자 주요 수출 품목: 반도체, 통신장비 반도체 강세, AI 수요가 수출을 이끌다 ICT 수출의 주역은 단연 반도체였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157.4억 달러로 25.4%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3분의 2를 차지했습니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 AI 서버 및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반도체 수출은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가며 한국의 핵심 수출 동력임을 재확인했습니다. 통신장비 역시 베트남과 인도의 수요 증가로 2.5% 상승했으나, 디스플레이(-8.8%)와 휴대폰(-11.8%)은 단가 하락과 부품 수요 둔화로 감소했습니다. 중국·유럽·미국 중심의 지역별 수출 성장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4.9%), 베트남(+3.8%), 유럽연합(+29.2%), 미국(+5.8%) 등 주요 시장에서 수출이 고르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은 반도체 수출이 131.4% 급증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일본은 디스플레이와 휴대폰 수출 부진으로 4.6% 감소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반도체 중심의 글로벌 수요 회복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향후전망 향후에도 반도체 단가 상승과 AI 인프라 수요 확대로 ICT 수출 호조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