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OLED인 게시물 표시

2025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반도체 주도, 역대 최대 10월 실적

이미지
2025년 10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발표 산업통상부 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10월 한 달간의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달 ICT 수출은 233.3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2.2% 증가하며 9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역대 10월 기준 최대 실적이며, 글로벌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ICT 산업의 경쟁력이 견조함을 보여줍니다. 수입은 129.6억 달러로 2.9% 감소해, 무역수지는 103.7억 달러의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2025년 10월 ICT 수출입 주요 지표 수출액: 233.3억 달러 (전년 대비 +12.2%) 수입액: 129.6억 달러 (전년 대비 -2.9%) 무역수지: 103.7억 달러 흑자 주요 수출 품목: 반도체, 통신장비 반도체 강세, AI 수요가 수출을 이끌다 ICT 수출의 주역은 단연 반도체였습니다. 반도체 수출은 157.4억 달러로 25.4%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3분의 2를 차지했습니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 AI 서버 및 데이터센터 수요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반도체 수출은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가며 한국의 핵심 수출 동력임을 재확인했습니다. 통신장비 역시 베트남과 인도의 수요 증가로 2.5% 상승했으나, 디스플레이(-8.8%)와 휴대폰(-11.8%)은 단가 하락과 부품 수요 둔화로 감소했습니다. 중국·유럽·미국 중심의 지역별 수출 성장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4.9%), 베트남(+3.8%), 유럽연합(+29.2%), 미국(+5.8%) 등 주요 시장에서 수출이 고르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은 반도체 수출이 131.4% 급증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일본은 디스플레이와 휴대폰 수출 부진으로 4.6% 감소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반도체 중심의 글로벌 수요 회복이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향후전망 향후에도 반도체 단가 상승과 AI 인프라 수요 확대로 ICT 수출 호조세...

LG OLED TV 패널, 42% 밝아진 화면으로 시청 경험 혁신

이미지
LG디스플레이가 CES 2024에서 공개한 OLED TV는 최대 휘도 3,000니트로 시청 경험을 혁신하고, 메타 테크놀로지 2.0으로 적용된 화면은 생생한 색과 디테일을 자연 그대로 표현한다. 에너지 효율도 22% 향상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LG디스플레이, OLED TV 패널 휘도 42%↑…‘메타 테크놀로지 2.0’ 적용 LG디스플레이가 8일 (현지시간) ‘CES 2024’ 개막을 앞두고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신기술 ‘메타 테크놀로지(META Technology) 2.0’이 적용된 새로운 OLED TV 패널을 발표했다. ‘메타 테크놀로지 2.0’은 화질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휘도(화면 밝기)를 기존 가장 밝은 제품 대비 약 42% 향상시켜 현존 OLED TV 패널 중 가장 밝은 최대 휘도 3,000니트(nit, 1니트는 촛불 한 개의 밝기)를 달성했다. 이는 대형 OLED 패널 중 최초다. 영상은 빛과 색이 실제보다 압축되어 보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휘도가 높을수록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생생한 표현이 가능하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13년 OLED TV 패널 첫 양산 시점부터 고휘도 기술을 구상해 약 10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OLED 화질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기술 ‘메타 테크놀로지'를 개발해 냈다. 지난해 ‘메타 테크놀로지 1.0’으로 압도적인 기술 격차를 확보한 데 이어 1년 만에 ‘메타 테크놀로지 2.0’ 개발에 성공하면서 대형 OLED 기술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했다는 평가다. 메타 테크놀로지 2.0, 빛 방출 극대화하는 424억 개 초미세 렌즈 패턴(MLA+)에 독자 개발 알고리즘 더해 영상의 디테일과 자연 그대로의 색을 정밀하게 표현 ‘메타 테크놀로지 2.0’은 ▲최적화된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렌즈 패턴 ‘MLA+(Micro Lens Array Plus)’ ▲다차원적으로 진화된 휘도 최적화 알고리즘 ‘메타 멀티 부스터(META Multi Booster)’ ▲전계조  화질 강화 알고리즘 ‘디테일 인핸서(Det...

2023년 3월 정보통신산업 수출 157.8억 달러, 수입 118.5억 달러

이미지
2023년 3월 정보통신산업은 수출 157.8억불, 수입 118.5억불, 무역수지 39.9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ICT 수출액(157.8억불)은 전년 동월(232.6억불) 대비 32.2% 감소하고, 글로벌 경기 둔화 및 반도체 업황 부진 지속으로 9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수출규모는 2022.12월(168.8억불) 이후 3개월 만에 150억불 이상으로 회복하였다. ※ ICT 수출(억불) : (2022.12)168.8 → (2023.1)131.0 → (2023.2)128.2 → (2023.3)157.8 품목별로는 반도체(△33.9%), 디스플레이(△41.4%), 휴대폰(△49.3%), 컴퓨터·주변기기(△52.5%), 통신장비(△9.2%)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40.1%), 베트남(△20.0%), 미국(△33.3%), 유럽연합(△30.2%), 일본(△10.7%) 등이 감소하였다. ICT 수입액(118.5억불)은 전년 동월(128.7억불) 대비 7.9%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베트남, 일본, 미국 등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87.3억불, △33.9%) 반도체 업황 부진에 따른 출하 감소 및 단가 하락 지속되며 시스템(36.3억불, △18.4%) 및 메모리(45.7억불, △44.3%) 감소 * 시스템 반도체 수출(억불, %) : (2022.12)42.7(9.9↑) → (2023.1)29.0(△25.0) → (2023.3)36.3(△18.4) * 메모리 반도체 수출(억불, %) : (2023.1)27.7(△57.3) → (2023.2)29.2(△53.9) → (2023.3)45.7(△44.3) 디램 단가 추이(8Gb, $) : (2022.1~4)3.41 → (2022.5~6)3.35 → (2022.7)2.88 → (2022.8~9)2.85 → (2022.10~12)2.21 → (2023.1~3)1.81 다만, 메모리 감소폭 축소, 베트남向 시스템반도체 수출(7.4억불, 20.4...

2021년 9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213.4억불, 수입 113.7억불

이미지
2021년 9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지속되는 코로나19 상황에도 정보통신기술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96년 이래 26년 만에 최고의 월 수출액 달성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은 세계 경기 회복과 디지털 전환 확대로 주력 시장과 주력 품목에서 모두 수출 호조세 지속 * (품목) 반도체·패널 6개월, 휴대폰 3개월, 컴퓨터·주변기기 4개월 연속 두자리 증가 (국가) 중국(홍콩)·베트남·미국 6개월, 유럽연합 8개월, 일본 5개월 연속 두자리 증가 중소‧중견기업들도 정보통신기술 수출비중이 높은 품목 등을 중심으로 11개월 연속 수출액 두 자리 증가를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 * (반도체) 11개월(이중 시스템 반도체는 14개월), (컴퓨터‧주변기기) 6개월 연속 두자리 증가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기술 수출 현황 (전년 동월 대비) (중소·중견기업 49.0억불, 19.8%↑) 반도체(24.3억불, 51.1%↑), 컴퓨터·주변기기(1.9억불, 40.3%↑) 등은 증가, 전기장비(3.3억불, △7.5%)는 감소 * (15.4억불, 2.4%↑) 전기장비(1.8억불, 3.5%↑), 컴퓨터‧주변기기(1.3억불, 19.4%↑) 등은 증가, 접속부품(1.0억불, △4.5%)은 감소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목별 (반도체) 9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27.4% 증가한 122.3억불로 역대 두번째로 높은 수출액을 기록하였으며, 5개월 연속(2021.5~9월)  100억불 상회 * 반도체 역대 수출 순위(억불) : ①(2018.9)125.4, ②(2021.9)122.3, ③(2021.8)117.9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메모리 반도체(79.5억불, 28.6%↑)와 시스템 반도체 (37.5억불, 31.7%↑, 역대 최고 수출액) 동반 상승 * 반도체 수출에서 30%를 차지하는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2020년 연 수출액 최초 300억불 돌파 ※ (2021년 1∼9월까지 누적액 : 282.3억불) (디스플레이) 9월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15.7% 증가한 24.4...

2021년 5월 정보통신기술 수출 177.3억불, 수입 105.1억불

이미지
2021년 5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177.3억불, 수입 105.1억불, 무역수지는 72.2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 (수출)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액(177.3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27.4% 증가하며, 2020.6월 이후 12개월 연속 증가세 * 최근 수출 추이(억불) : (2월)152.6(11.4%↑) → (3월)174.1(8.9%↑) → (4월)170.6(32.6%↑) 이는, 역대 5월 수출액 중 2위 수출 규모에 해당 ※ 5월 수출 순위(억불) : ① 185.0억불(2018), ② 177.3억불(2021) ③ 154.0억불(2017) 일평균 수출(8.5억불, 21.0일)도 전년 동월(6.5억불, 21.5일) 대비 30.5% 증가 반도체 30개월(2018.11월)만에 100억불 돌파 등 ICT 3대 주력 품목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출 호조세 지속 *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중국(홍콩포함, 19.3%↑), 베트남(39.3%↑), 미국(30.5%↑), 유럽연합(34.4%↑), 일본(12.9%↑) 등 주요국 모두 증가 (수입) 정보통신기술(ICT) 수입액(105.1억불)은 전년 동월대비 17.7% 증가 1. 수출 현황 ① 주요 품목별 (전년 동월 대비) (반도체 : 101.1억불, 24.0%↑)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 등으로 메모리(65.7억불, 13.6%↑)와 시스템(30.2억불, 55.7%↑, 역대 최고 수출액) 동반 상승하며, 2018.11월(107.9억불)이후 30개월만에 100억불대 재진입 (디스플레이 : 17.8억불, 38.7%↑) 모바일 수요 확대 등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및 액정표시장치(LCD) 관련 부분품 수출 확대 지속 OLED(9.7억불, 64.2%↑), LCD(4.8억불, 7.1%↑), 부분품(3.3억불, 34.6%↑) 증가 (휴대폰 : 10.4억불, 43.0%↑) 완제품(4.1억불, 20.8%↑)·부분품(6.2억불, 62.9%↑) 동시 증가세가 지속되며, 7개월 연속 수출 증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