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통계데이터인 게시물 표시

2025년 7월 온라인쇼핑 23조 돌파…음식서비스 1위

이미지
7월 온라인쇼핑, 23조 원 돌파 지난 2025년 7월, 국내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3조 335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같은 달보다 7.3%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8조 1,568억 원으로 10% 늘었고, 전체 온라인쇼핑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8.8%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 자료는 통계청 에서 발표한 ‘2025년 7월 온라인쇼핑동향’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음식서비스·음식료품이 가장 큰 비중 상품군별 거래액을 살펴보면, 음식서비스가 3조 5,619억 원으로 전체의 15.5%를 차지해 가장 높았고, 뒤이어 음·식료품(14.0%), 여행 및 교통서비스(12.8%) 순이었습니다. 특히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 부문은 54.8% 증가하며 눈에 띄는 성장을 보였습니다. ▲ 2025년 7월 온라인쇼핑 동향 (출처: 통계청)     종합몰과 모바일쇼핑이 주도 거래 형태별로 보면 종합몰은 12조 6,487억 원, 전문몰은 10조 3,847억 원을 기록하며 각각 6.2%, 8.7%의 성장률을 나타냈습니다. 온라인몰은 17조 8,696억 원으로 7.1% 증가했고, 온·오프라인 병행몰도 5조 1,639억 원으로 8.2% 늘었습니다. ▲ 2025년 7월 모바일쇼핑 거래액 (출처: 통계청)     향후전망 모바일 중심의 소비 패턴은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입니다. 특히 외식, 식료품, 여행 분야를 중심으로 온라인 구매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쇼핑 거래액의 소매판매액 대비 비중도 계속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8월 소비자물가 1.7% 상승…농축수산물·서비스비가 주도

이미지
8월 소비자물가, 농축수산물 상승 영향으로 1.7% 상승 2025년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7% 상승하며 전월보다 상승폭이 둔화되었습니다. 이는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서비스 등 주요 부문 가격이 일제히 오른 영향입니다. 특히 농축수산물은 전월 대비 4.8% 급등하며 전체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자세한 수치는 통계청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서비스 하락, 생활물가는 완만한 오름세 반면, 공공서비스는 전월 대비 4.9% 하락하며 물가 상승을 일부 상쇄했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5% 하락했지만, 전년동월대비로는 1.5% 상승했습니다. 특히 식품 부문은 3.9% 상승한 반면, 식품 이외는 소폭 하락하며 소비자 체감 물가에 차이를 보였습니다. 통신요금 급감, 물가 안정에 기여 눈에 띄는 점은 통신요금이 전년동월대비 -13.3% 하락하며 전체 물가 상승률 억제에 크게 기여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휴대전화 요금 인하와 관련된 정책 변화의 영향으로 해석됩니다. 또한 지역별로는 대부분의 지역이 1.4~1.9% 사이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습니다. 향후전망 향후 물가는 계절적 요인과 정부 정책에 따라 완만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국제 유가 및 농산물 수급 불안 요인이 존재해 예의주시가 필요합니다. 특히 변동성 큰 신선식품지수는 소비자에게 체감도가 높은 만큼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계동향, 2024년 1분기 월평균 소득 512만 2천원…전년대비 1.4% 증가

운전면허증 뒷면 영문 면허정보 표기 ‘영문 운전면허증’ 발급

2025년 5월 소비자상담, 에어컨 수리비 40만 원 진짜일까?